목차
* 지식경영
Ⅰ. 개념 및 특성
Ⅱ. 필요성
1. 지식경영 A
2. 지식경영 B
3. 지식경영 C
Ⅲ. 실천적 전략
1. 베스트 프랙티스의 창출
2. 지식의 긴급창출능력 확보
3. 퇴직자와의 연계성 구축
4. 미래시장 환경변화에 대한 대비
Ⅳ. 지적재산력
1. 전체현황
2. 분야별 현황
3. 특징
Ⅰ. 개념 및 특성
Ⅱ. 필요성
1. 지식경영 A
2. 지식경영 B
3. 지식경영 C
Ⅲ. 실천적 전략
1. 베스트 프랙티스의 창출
2. 지식의 긴급창출능력 확보
3. 퇴직자와의 연계성 구축
4. 미래시장 환경변화에 대한 대비
Ⅳ. 지적재산력
1. 전체현황
2. 분야별 현황
3. 특징
본문내용
제고로 지난 5년간 평균순위인 11위에서 9단계나 급상승하였다. 5위를 차지한 반도체장비업체인 AMD도 과거 5년간 평균치 19에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세계적인 다국적기업들인 루슨트테크놀로지(3위), NEC(4위), 모토
롤라(6위), 캐논(7위), 인텔(8위), 도시바(9위), 소니(10위) 등도 10위내에 포함되었다.
2. 분야별 현황
우주항공분야에서는 미국 방위산업체들인 록히드 마틴,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 보잉 등
이 기술적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동차분야에서는 지난 5년간 평균치 순위와는 달리
순위의 변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임러크라이슬러 (8위->1위 ), TRW(5위->2위), 보쉬 (7위->3위 )는 순위 가 급상승하였
으며 GM(1위->7위), 포드(3위->8위) 등은 순위가 크게 하락하였다. 생명 제약분야에서
는 글락소(9위->1위)와 아이시스제약(16위->3위)의 순위가 급상승한 반면 아벵티 (1위->6
위) 로슈(2위->8위) 등은 크게 하락하였다. 화학분야의 경우 미국의 3M과 P&G등은 여전
히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컴퓨터분야에서는 IBM과 NEC, HP, 후지쓰 등이 상위그룹을
형성하였으며 홍하이(20위-6위), 시스코 시스템스(19위->9위)의 급부상과 제록스(5위->
10위)의 하락이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 전자분야에서는 도시바(4위->2위), 삼성전자(6위->4위)의 순위상승이 돋보이고
히타치(2위->5위)의 순위가 하락하였다. 반도체분야에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위->1
위), AMD(4위->2위), 타이완반도체(9위->4위)의 순위가 상승하였으며 인텔(1위->3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3위->5위)의 순위가 하락하였다.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 지난 5년간
평균순위는 5위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8위로 하락하였다. 통신분야에서는 대체적으로 순위
에 큰 변화가 없었지만 노키아(8위->6위), 퀄컴(6위->8위)의 순위가 소폭 변동하였다. 퀄컴
은 특허수가 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기술중요도지수에 있어서 타 기업을 압도하여
상위로 올라섰다.
3. 특징
이번 조사에서는 첨단기술을 특허화 하는 속도지수에 있어서 반도체, 통신, 컴퓨터 등 IT
(정보기술)분야의 세계적 선두기업들이 타 분야 기업들에 비해 특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특허가 과학논문들에 얼마나 인용되는가의 여부, 즉 기업의 특허와 과학적 학문
연구와의 연계성이 나타났다. 타 업종과 달리 생명, 제약분야의 선두기업들의 특허가 과학논
문에 인용되는 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초과학이 바로 특허로 연결된다
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하나의 특허를 내더라도 특허의 응용범위가 광범위하고 기술적
중요도가 큰 특허를 내는 기업들도 조사되었는데 우주항공분야의 세콰, 자동차분야의 브리드
테크놀로지 , 컴퓨터분야의 시스코 시스템스(Cisco Syste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컴팩(Compaq) 등이 이러한 예에 속하는 기업이라 할 수 있다.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세계적인 다국적기업들인 루슨트테크놀로지(3위), NEC(4위), 모토
롤라(6위), 캐논(7위), 인텔(8위), 도시바(9위), 소니(10위) 등도 10위내에 포함되었다.
2. 분야별 현황
우주항공분야에서는 미국 방위산업체들인 록히드 마틴,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 보잉 등
이 기술적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동차분야에서는 지난 5년간 평균치 순위와는 달리
순위의 변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임러크라이슬러 (8위->1위 ), TRW(5위->2위), 보쉬 (7위->3위 )는 순위 가 급상승하였
으며 GM(1위->7위), 포드(3위->8위) 등은 순위가 크게 하락하였다. 생명 제약분야에서
는 글락소(9위->1위)와 아이시스제약(16위->3위)의 순위가 급상승한 반면 아벵티 (1위->6
위) 로슈(2위->8위) 등은 크게 하락하였다. 화학분야의 경우 미국의 3M과 P&G등은 여전
히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컴퓨터분야에서는 IBM과 NEC, HP, 후지쓰 등이 상위그룹을
형성하였으며 홍하이(20위-6위), 시스코 시스템스(19위->9위)의 급부상과 제록스(5위->
10위)의 하락이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 전자분야에서는 도시바(4위->2위), 삼성전자(6위->4위)의 순위상승이 돋보이고
히타치(2위->5위)의 순위가 하락하였다. 반도체분야에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2위->1
위), AMD(4위->2위), 타이완반도체(9위->4위)의 순위가 상승하였으며 인텔(1위->3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3위->5위)의 순위가 하락하였다.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 지난 5년간
평균순위는 5위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8위로 하락하였다. 통신분야에서는 대체적으로 순위
에 큰 변화가 없었지만 노키아(8위->6위), 퀄컴(6위->8위)의 순위가 소폭 변동하였다. 퀄컴
은 특허수가 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기술중요도지수에 있어서 타 기업을 압도하여
상위로 올라섰다.
3. 특징
이번 조사에서는 첨단기술을 특허화 하는 속도지수에 있어서 반도체, 통신, 컴퓨터 등 IT
(정보기술)분야의 세계적 선두기업들이 타 분야 기업들에 비해 특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특허가 과학논문들에 얼마나 인용되는가의 여부, 즉 기업의 특허와 과학적 학문
연구와의 연계성이 나타났다. 타 업종과 달리 생명, 제약분야의 선두기업들의 특허가 과학논
문에 인용되는 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초과학이 바로 특허로 연결된다
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하나의 특허를 내더라도 특허의 응용범위가 광범위하고 기술적
중요도가 큰 특허를 내는 기업들도 조사되었는데 우주항공분야의 세콰, 자동차분야의 브리드
테크놀로지 , 컴퓨터분야의 시스코 시스템스(Cisco Syste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컴팩(Compaq) 등이 이러한 예에 속하는 기업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