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업문화유형
Ⅰ. 딜과 케네디의 기업문화분류
1. 모험형
2. 근면형
3. 투자형
4. 관료형
Ⅱ. 해리슨의 기업문화분류
Ⅲ. 햄든-터너의 기업문화분류
1. 갈등, 악순환형
2. 조화, 활성화형
Ⅳ. 서인덕의 기업문화분류
1. 친화적 문화
2. 진취적 문화
3. 보존적 문화
4. 합리적 문화
Ⅴ. 한국기업의 기업문화유형
1. 관료적 기업문화
2. 갈등, 악순환형
Ⅰ. 딜과 케네디의 기업문화분류
1. 모험형
2. 근면형
3. 투자형
4. 관료형
Ⅱ. 해리슨의 기업문화분류
Ⅲ. 햄든-터너의 기업문화분류
1. 갈등, 악순환형
2. 조화, 활성화형
Ⅳ. 서인덕의 기업문화분류
1. 친화적 문화
2. 진취적 문화
3. 보존적 문화
4. 합리적 문화
Ⅴ. 한국기업의 기업문화유형
1. 관료적 기업문화
2. 갈등, 악순환형
본문내용
어
나가는 기업문화유형이다. 예를 들면, 집권화와 분권화 그리고 공식화와 비공
식화는 기업체가 기업경영과정에서 항상 당면하는 중요한 이슈인데, 기업체가
이러한 이슈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서 기업문화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기업체가 집권화와 공식화를 일방적으로 강조할수록, 많은 경우에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저항은 커지고 따라서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자율적 재량
과 비공식적인 행동영역을 별혀 나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기업체는 집권화
와 공식화를 더욱 강화시키어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게 되고, 따라서 분권
화와 비공식화를 원하는 구성원들과의 갈등 속에서 관료조직문화는 악순환을
거듭해 나가게 된다.
갈등, 악순환 기업문화유형
(2) 조화 활성화형
조화 활성화형(virtuous circle)은 기업체가 중요 전략적 또는 가치이슈에
시너지적으로 대처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기본가치간에 조화를
이루면서 이를 확대시키고 기업경영을 활성화시켜 나가는 기업문화유형이다.
집권화와 분권화 그리고 공식화와 비공식화의 이슈에 있어서, 기업체는 이들
이슈를 통합가능한 건설적인 대안으로 보고 사업부에 자율적인 경영권한을 위
임하는 동시에 전체 기업체관점에서 사업부의 전략방향과 사업부간의 관계를
조정하여 분권화와 집권화간에 조화를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공식화의 테두리
안에서 비공식적인 관행과 행동도 인정해 줌으로써, 공식화와 비공식화간에
상호보완관계를 강조하면서 역시 조화를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요 전략적
또는 기본가치상의 조화와 시너지를 달성하면서 활성화된 기업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조화 활성화 기업문화유형 이다.
조화, 활성화 기업문화유형
4. 서인덕의 기업문화분류
한국의 기업문화연구에서 서인덕은 기업환경의 동태성-정체성과 경영행
동의 유지지향적 -행동지향적 패턴의 두 축을 중심으로 기업문화를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서인덕의 기업문화유형 분류
(1) 친화적 문화(Affiliation Culture)
기업환경이 동태적이고 조직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구성원들
의 사기와 집단응집력의 유지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할 때 나타나는 조직문화
유형이다. 우의적, 개방적, 상호협조적, 상호관계지향적, 합의에 의한 의사결
정 등이 문화적 특징 이다.
(2) 진취적 문화(Progressive Culture)
기업환경이 동태적이고 불안전한 상황 하에서 조직의 성장과 외향적 진출
을 목적으로 도전적, 모험적, 창업적 행동을 지향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형이
다. 적극성, 창의성, 첨단성, 신속한 문제해결 행동 등이 문화적 특징이다.
(3) 보존적 문화(Maintenance Culture)
기업환경이 안정적이고 확실한 정태적 상황 하에서 조직의 안정, 통제, 조
정 그리고 공식적 형태를 통한 질서의 유지를 목적으로 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
형이다. 표준화, 관습화, 공식화, 통제, 안정 등이 문화적 특징이다.
(4) 합리적 문화(Rationality Culture)
기업환경이 확실하고 안정된 상황 하에서 능률과 생산성 등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지향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형이다. 결과 중
시, 실적위주, 능력위주, 실리주의, 수단-목표 연계관계의 중시 등이 문화적
특징 이다.
5. 한국기업의 기업문화유형
이상 모험도-성과피드백기간, 공식화-집권화, 전략적 의사결정패턴, 그
리고 기업환경에 대한 경영행동패턴 등 네 가지의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한 기
업문화유형들을 살펴보았다. 그러 면 우리 나라 기업문화는 대체로 어느 유형 이
라고 할 수 있을까?
(1) 관료적 기업문화
우리나라 기업은 사업성격과 규모, 창업자의 이념과 경영스타일 그리고
기업경영과정에서 형성된 전통과 관행에 따라서 모두가 각기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모험도와 성과피드백기간을 중
심으로 분류한 모험형과 근면형 그리고 투자형과 관료형의 네 가지 기업문화
유형 중 우리나라 기업은 대체로 모험형과 관료형에 많이 속한다고 할 수 있
다. 우리나라 기업은 일반적으로 창업주나 경영주의 경영이념과 그의 강력한
지도력이 기업경영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목표설정에 있어서도 매우 의욕적
인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러한 경향은 모두 모험형을 입증하는 문화특성
이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은 권한이 상위계층에 집중되어 있고 공식화 및 권
위주의적 경향이 크다. 이러한 경향은 관료적 기업문화유형을 입증하는 특성
들이다. 서인덕의 연구에서 합리적 문화와 보수적 문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
도 우리나라 기업의 관료적 문화를 뒷받침한다.
공식화-집권화를 중심으로 분류한 관료조직, 권력조직, 행렬조직, 핵화
조직 등 네 가지의 기업문화유형 중 우리나라 기업은 역시 관료조직문화와 권
력조직문화 유형에 많이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에
서 고객중심성을 강조하면서 시장경쟁에 보다 강력하게 대응해 나간다면 기업
문화유형도 점차적으로 모험형과 관료형에서 근면형으로 그리고 관료조직문
화형과 권력조직문화형에서 행렬조직문화형과 핵화조직문화형으로 전환될 것
으로 기대된다.
(2) 갈등 악순환형
전략적 의사결정패턴에 의한 햄든-터너의 기업문화분류를 적용할 때, 우
리나라 기업은 대체로 갈등 악순환형의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체가 전통적으로 전략적 대안을 시너지적으로 보지 않고
상호배반적으로 보면서 품질보다는 원가를, 안정보다는 성장을, 인적자원보다
는 생산을, 장기투자보다는 단기성과를 그리고 내부통합보다는 대외관계를 각
각 더 중요시하는 일방적인 의사결정을 해온 데에서 엿볼 수 있다. 그 과정에
서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기반은 빈약해지고, 노사간의 갈등은 심해졌으며, 경
쟁력도 약화되는 악순환을 거듭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이 품질향상과 안정, 인적자원과 장기기술개발
그리고 원만한 노사관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이제 전략적 이슈
와 대안에 대하여 상호배반적으로 보지 않고 보다 시너지적으로 보면서 갈
등 악순환형 기업문화에서 탈피하여 조화 활성화형의 기업문화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가는 기업문화유형이다. 예를 들면, 집권화와 분권화 그리고 공식화와 비공
식화는 기업체가 기업경영과정에서 항상 당면하는 중요한 이슈인데, 기업체가
이러한 이슈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서 기업문화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기업체가 집권화와 공식화를 일방적으로 강조할수록, 많은 경우에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저항은 커지고 따라서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자율적 재량
과 비공식적인 행동영역을 별혀 나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기업체는 집권화
와 공식화를 더욱 강화시키어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게 되고, 따라서 분권
화와 비공식화를 원하는 구성원들과의 갈등 속에서 관료조직문화는 악순환을
거듭해 나가게 된다.
갈등, 악순환 기업문화유형
(2) 조화 활성화형
조화 활성화형(virtuous circle)은 기업체가 중요 전략적 또는 가치이슈에
시너지적으로 대처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기본가치간에 조화를
이루면서 이를 확대시키고 기업경영을 활성화시켜 나가는 기업문화유형이다.
집권화와 분권화 그리고 공식화와 비공식화의 이슈에 있어서, 기업체는 이들
이슈를 통합가능한 건설적인 대안으로 보고 사업부에 자율적인 경영권한을 위
임하는 동시에 전체 기업체관점에서 사업부의 전략방향과 사업부간의 관계를
조정하여 분권화와 집권화간에 조화를 이를 수 있다. 그리고 공식화의 테두리
안에서 비공식적인 관행과 행동도 인정해 줌으로써, 공식화와 비공식화간에
상호보완관계를 강조하면서 역시 조화를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요 전략적
또는 기본가치상의 조화와 시너지를 달성하면서 활성화된 기업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조화 활성화 기업문화유형 이다.
조화, 활성화 기업문화유형
4. 서인덕의 기업문화분류
한국의 기업문화연구에서 서인덕은 기업환경의 동태성-정체성과 경영행
동의 유지지향적 -행동지향적 패턴의 두 축을 중심으로 기업문화를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서인덕의 기업문화유형 분류
(1) 친화적 문화(Affiliation Culture)
기업환경이 동태적이고 조직의 유연성이 요구되는 상황 하에서 구성원들
의 사기와 집단응집력의 유지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할 때 나타나는 조직문화
유형이다. 우의적, 개방적, 상호협조적, 상호관계지향적, 합의에 의한 의사결
정 등이 문화적 특징 이다.
(2) 진취적 문화(Progressive Culture)
기업환경이 동태적이고 불안전한 상황 하에서 조직의 성장과 외향적 진출
을 목적으로 도전적, 모험적, 창업적 행동을 지향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형이
다. 적극성, 창의성, 첨단성, 신속한 문제해결 행동 등이 문화적 특징이다.
(3) 보존적 문화(Maintenance Culture)
기업환경이 안정적이고 확실한 정태적 상황 하에서 조직의 안정, 통제, 조
정 그리고 공식적 형태를 통한 질서의 유지를 목적으로 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
형이다. 표준화, 관습화, 공식화, 통제, 안정 등이 문화적 특징이다.
(4) 합리적 문화(Rationality Culture)
기업환경이 확실하고 안정된 상황 하에서 능률과 생산성 등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지향할 때 나타나는 문화유형이다. 결과 중
시, 실적위주, 능력위주, 실리주의, 수단-목표 연계관계의 중시 등이 문화적
특징 이다.
5. 한국기업의 기업문화유형
이상 모험도-성과피드백기간, 공식화-집권화, 전략적 의사결정패턴, 그
리고 기업환경에 대한 경영행동패턴 등 네 가지의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한 기
업문화유형들을 살펴보았다. 그러 면 우리 나라 기업문화는 대체로 어느 유형 이
라고 할 수 있을까?
(1) 관료적 기업문화
우리나라 기업은 사업성격과 규모, 창업자의 이념과 경영스타일 그리고
기업경영과정에서 형성된 전통과 관행에 따라서 모두가 각기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모험도와 성과피드백기간을 중
심으로 분류한 모험형과 근면형 그리고 투자형과 관료형의 네 가지 기업문화
유형 중 우리나라 기업은 대체로 모험형과 관료형에 많이 속한다고 할 수 있
다. 우리나라 기업은 일반적으로 창업주나 경영주의 경영이념과 그의 강력한
지도력이 기업경영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목표설정에 있어서도 매우 의욕적
인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러한 경향은 모두 모험형을 입증하는 문화특성
이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은 권한이 상위계층에 집중되어 있고 공식화 및 권
위주의적 경향이 크다. 이러한 경향은 관료적 기업문화유형을 입증하는 특성
들이다. 서인덕의 연구에서 합리적 문화와 보수적 문화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
도 우리나라 기업의 관료적 문화를 뒷받침한다.
공식화-집권화를 중심으로 분류한 관료조직, 권력조직, 행렬조직, 핵화
조직 등 네 가지의 기업문화유형 중 우리나라 기업은 역시 관료조직문화와 권
력조직문화 유형에 많이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에
서 고객중심성을 강조하면서 시장경쟁에 보다 강력하게 대응해 나간다면 기업
문화유형도 점차적으로 모험형과 관료형에서 근면형으로 그리고 관료조직문
화형과 권력조직문화형에서 행렬조직문화형과 핵화조직문화형으로 전환될 것
으로 기대된다.
(2) 갈등 악순환형
전략적 의사결정패턴에 의한 햄든-터너의 기업문화분류를 적용할 때, 우
리나라 기업은 대체로 갈등 악순환형의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체가 전통적으로 전략적 대안을 시너지적으로 보지 않고
상호배반적으로 보면서 품질보다는 원가를, 안정보다는 성장을, 인적자원보다
는 생산을, 장기투자보다는 단기성과를 그리고 내부통합보다는 대외관계를 각
각 더 중요시하는 일방적인 의사결정을 해온 데에서 엿볼 수 있다. 그 과정에
서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기반은 빈약해지고, 노사간의 갈등은 심해졌으며, 경
쟁력도 약화되는 악순환을 거듭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이 품질향상과 안정, 인적자원과 장기기술개발
그리고 원만한 노사관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이제 전략적 이슈
와 대안에 대하여 상호배반적으로 보지 않고 보다 시너지적으로 보면서 갈
등 악순환형 기업문화에서 탈피하여 조화 활성화형의 기업문화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