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Ⅰ. 참여주체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1.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
2. 기업과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B2C)
3. 소비자와 기업 간 전자상거래(C2B)
4. 소비자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C2C)
5. 기업과 정부 간 전자상거래(B2G)
6.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G2C)
Ⅱ. 수익원천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1. 광고형 모델
2. 판매형 모델
3. 중개형 모델
4. 회비형 모델
Ⅰ. 참여주체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1.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
2. 기업과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B2C)
3. 소비자와 기업 간 전자상거래(C2B)
4. 소비자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C2C)
5. 기업과 정부 간 전자상거래(B2G)
6.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G2C)
Ⅱ. 수익원천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1. 광고형 모델
2. 판매형 모델
3. 중개형 모델
4. 회비형 모델
본문내용
어렵다. 개인과 개인 사이의 직거래는 상당한 매력이 있는 거래지
만 대금 지급 후 제품의 인도가 제대로 안 되는 등 사기성 거래에 의한 거래의 불안정성
때문에 그 인기가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C2C 거래의 양상은 국내의 경매 사이트인 옥션
(www.auction.co.kr)에서 일부 볼 수 있는 정도이다.
5) 기업화 정부 잔 전자상게래(B2G)
기업과 정부 간 전자상거래는 기업과 정부 간에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사고팔거나 정보
를 주고받는 거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정부가 조달예정 상품을 인터넷에 공시하면 기업
들이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급할 상품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입찰을 시행하고 정부에서
입찰기업 중 최저가격에 상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기업을 선택하여 거래를 마무리한다.
B2G 거래를 위해 조달청에서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www.g2b.go.kr)'
를 운영하고 있다.
6)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G2C)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는 정부와 소비자 간에 형성되는 거래관계이다.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부문은 정보제공, 세금징수, 면허교부, 규제관리,
보조금 혜택의 제공, 통계자료, 물품과 서비스의 조달 등 각종 행정 정보 서비스 분야이
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정부가 운영하는 전자정부 민원창구(www.egov.go.kr)사이트
를 이용하면 주민등록 등 초본이나 지방세 납부증명서 심지어는 성적증명서나 휴학증
명서를 어디서나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전자정부 민원창구
2. 수익원천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비즈니스 모델이 기본적으로 기업을 유지하고 이윤을 산출하기 위한 사업방식인데, 무
엇으로 수익을 창출할 것인가, 즉 수익 원천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을 분류하면 크게 보아
광고형, 판매형, 중개형, 회비형 등이 있다.
1) 광고형 모델
광고형 모델은 웹사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e-mail이나 채팅 등 여
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이트 이용자를 모으고 사이트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심
있는 광고주를 모집하여 배너광고나 팝업 광고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광고를 게시하
여 얻는 수입을 주수입원으로 하는 모델을 말한다. 이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 포털 사이
트를 들 수 있다. 포털 사이트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정보검색, 다양한 컨텐츠, 무료 e-
mail, 홈페이지/블로그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많은 이용자들을 모으고 있다. 국내 대표
적인 포털사이트인 다음 커뮤니케이션은 이용자들에게 카페 공간을 제공하여 방문자들
의 수를 늘리고 네이버는 지식검색이라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방문자 수를 늘리고 있다.
이 모델에서는 방문자의 수에 따라 광고수입의 증감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많은 방문자
를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2) 판매형 모델
판매형 모델은 말 그대로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형으로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가 대표적이다. 판매형은 웹사이트를 통해 고객들에게 기
업 홍보와제품 선전뿐 아니라 다양하고 저렴한 제품에 대한 정보 제공, 고객의 주문처
리, 대금결제 등과 같은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3) 중개형 모델
중개형 모델은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형태의 모델이다. 이 모델
은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소비자 간, 또는 소비자 간의 중개 업무를 모두 포함할 수 있
다. 중개형 모델의 예로는 판매자와 소비자들끼리 거래를 형성하도록 장을 열어 주고 거
래 수수료를 취하는 옥션(www.auction.co.kr)을 비롯하여 고객들의 주식 거래를 중개하
며 거래수수료를 취하는 키움닷컴(www.kiwoom.com)과 이트레이드(www.etrade.co.kr)와 같은 사이버 증권회사들을 들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사이버 증권회사인 이트레이드를 보여준다.
4) 회비형 모델
회비형 모델은 우리가 오프라인에서 신문이나 잡지를 보기 위해 구독료를 지불하는 것과 똑같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가입비를 지불하고 그 대신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받도록 한 모델이다.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문학회나 전문잡지의 운영모델이 이 범주에 속한다. 또 다른 예로는 문서서식을 제공하는 비즈폼(www.bizforms.co.kr)을 들 수 있다. 비즈폼에서는 회비의 차이에 의해 무료회원, 정회원, 프리미엄회원, 기업회원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간에 차이를 두고 있다. 회비형 모델의 성공은 가치 있는 컨텐츠의 확보에 달려 있다.
만 대금 지급 후 제품의 인도가 제대로 안 되는 등 사기성 거래에 의한 거래의 불안정성
때문에 그 인기가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C2C 거래의 양상은 국내의 경매 사이트인 옥션
(www.auction.co.kr)에서 일부 볼 수 있는 정도이다.
5) 기업화 정부 잔 전자상게래(B2G)
기업과 정부 간 전자상거래는 기업과 정부 간에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사고팔거나 정보
를 주고받는 거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정부가 조달예정 상품을 인터넷에 공시하면 기업
들이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급할 상품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입찰을 시행하고 정부에서
입찰기업 중 최저가격에 상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기업을 선택하여 거래를 마무리한다.
B2G 거래를 위해 조달청에서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www.g2b.go.kr)'
를 운영하고 있다.
6)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G2C)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는 정부와 소비자 간에 형성되는 거래관계이다. 정부와
소비자 간 전자상거래의 대상이 되는 부문은 정보제공, 세금징수, 면허교부, 규제관리,
보조금 혜택의 제공, 통계자료, 물품과 서비스의 조달 등 각종 행정 정보 서비스 분야이
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정부가 운영하는 전자정부 민원창구(www.egov.go.kr)사이트
를 이용하면 주민등록 등 초본이나 지방세 납부증명서 심지어는 성적증명서나 휴학증
명서를 어디서나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다.
전자정부 민원창구
2. 수익원천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분류
비즈니스 모델이 기본적으로 기업을 유지하고 이윤을 산출하기 위한 사업방식인데, 무
엇으로 수익을 창출할 것인가, 즉 수익 원천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을 분류하면 크게 보아
광고형, 판매형, 중개형, 회비형 등이 있다.
1) 광고형 모델
광고형 모델은 웹사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e-mail이나 채팅 등 여
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이트 이용자를 모으고 사이트 이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심
있는 광고주를 모집하여 배너광고나 팝업 광고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광고를 게시하
여 얻는 수입을 주수입원으로 하는 모델을 말한다. 이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 포털 사이
트를 들 수 있다. 포털 사이트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정보검색, 다양한 컨텐츠, 무료 e-
mail, 홈페이지/블로그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많은 이용자들을 모으고 있다. 국내 대표
적인 포털사이트인 다음 커뮤니케이션은 이용자들에게 카페 공간을 제공하여 방문자들
의 수를 늘리고 네이버는 지식검색이라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방문자 수를 늘리고 있다.
이 모델에서는 방문자의 수에 따라 광고수입의 증감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많은 방문자
를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2) 판매형 모델
판매형 모델은 말 그대로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형으로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전자상거래 업체가 대표적이다. 판매형은 웹사이트를 통해 고객들에게 기
업 홍보와제품 선전뿐 아니라 다양하고 저렴한 제품에 대한 정보 제공, 고객의 주문처
리, 대금결제 등과 같은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3) 중개형 모델
중개형 모델은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형태의 모델이다. 이 모델
은 기업과 기업 간, 기업과 소비자 간, 또는 소비자 간의 중개 업무를 모두 포함할 수 있
다. 중개형 모델의 예로는 판매자와 소비자들끼리 거래를 형성하도록 장을 열어 주고 거
래 수수료를 취하는 옥션(www.auction.co.kr)을 비롯하여 고객들의 주식 거래를 중개하
며 거래수수료를 취하는 키움닷컴(www.kiwoom.com)과 이트레이드(www.etrade.co.kr)와 같은 사이버 증권회사들을 들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사이버 증권회사인 이트레이드를 보여준다.
4) 회비형 모델
회비형 모델은 우리가 오프라인에서 신문이나 잡지를 보기 위해 구독료를 지불하는 것과 똑같이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가입비를 지불하고 그 대신 고품질의 컨텐츠를 제공받도록 한 모델이다.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문학회나 전문잡지의 운영모델이 이 범주에 속한다. 또 다른 예로는 문서서식을 제공하는 비즈폼(www.bizforms.co.kr)을 들 수 있다. 비즈폼에서는 회비의 차이에 의해 무료회원, 정회원, 프리미엄회원, 기업회원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간에 차이를 두고 있다. 회비형 모델의 성공은 가치 있는 컨텐츠의 확보에 달려 있다.
추천자료
3차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상쇼핑공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패션 인터넷쇼핑몰의 특성과 고객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쇼핑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모바일 상거래
인터넷쇼핑몰의 캐주얼브랜드 인지도의 잠재력과 시장현황 및 마케팅 전략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도입에서의 변화관리요인이 조직구성원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 인터넷 쇼핑몰 인터파크의 마케팅 분석
창업 마케팅 전략 -중고매매 도우미사이트 파라미
글로벌 비즈니스의 의의(정의, 고려요소)
(전자상거래 전략) 비즈니스 모델과 전자상거래 전략요인, 전자상거래 전략요인을 통한 기업...
인터넷 정보혁명과 인터넷 전자상거래
쇼핑몰 - 지마켓(G-Market), 11번가, 아마존(Amazon), 이마트(e-mart) 분석 사업전략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