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터넷 쇼핑몰 창업 과정
Ⅰ. 쇼핑몰 조사 단계
1. 아이템 선정
2. 시장조사
3. 사업계획서 작성
1) 사업 개요
2) 시장분석
3) 개설계획
4) 운영계획
5) 재무계획
6) 마케팅계획
7) 일정계획
Ⅱ. 쇼핑몰 준비 단계
1. 사업자 등록
2. 도메인 & 쇼핑몰 구축시스템 확보
Ⅲ. 쇼핑몰 구축 단계
1. 쇼핑몰 디자인
2. 상품사진 및 상품 등록
3. 배송업체 선정
4. 결제시스템 선정
Ⅳ. 쇼핑몰 홍보 단계
1. 검색엔진 등록
2. 마케팅전략수립
3. 고객지원 준비
4. 웹로그 분석
1) 트래픽 분석
2) 고객선호도 분석
3) 외부접근 경로 분석
Ⅰ. 쇼핑몰 조사 단계
1. 아이템 선정
2. 시장조사
3. 사업계획서 작성
1) 사업 개요
2) 시장분석
3) 개설계획
4) 운영계획
5) 재무계획
6) 마케팅계획
7) 일정계획
Ⅱ. 쇼핑몰 준비 단계
1. 사업자 등록
2. 도메인 & 쇼핑몰 구축시스템 확보
Ⅲ. 쇼핑몰 구축 단계
1. 쇼핑몰 디자인
2. 상품사진 및 상품 등록
3. 배송업체 선정
4. 결제시스템 선정
Ⅳ. 쇼핑몰 홍보 단계
1. 검색엔진 등록
2. 마케팅전략수립
3. 고객지원 준비
4. 웹로그 분석
1) 트래픽 분석
2) 고객선호도 분석
3) 외부접근 경로 분석
본문내용
는데 이러한 기법들이 자금력과 인력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입장에서는 오히려 현실적이고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포털사이트의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쇼핑몰 운영자가 포털
사이트에 동호회나 카페를 만들어 놓고 운영하면서 회원들의 관심을 자신의 쇼핑몰로 유
도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네이버의 지식iN 서비스와 같은 지식 검색 서비스에 올라온 질의 중에 자신
의 쇼핑몰과 관련될 만한 내용을 골라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주면서 자신의 쇼핑몰을
간접적으로 홍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자신의 쇼핑몰 게시판에 고객의 질문과 쇼핑몰의 답변 형식으로 쇼핑몰에
관련된 내용을 홍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들은 특별히 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좋
은 점이 있기는 하지만 대중의 시선을 끌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대중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편으로 소호형 쇼핑몰에서는 이벤트 마케팅을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실시할 때는 타 쇼핑몰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
담을 감수해야 한다.
마지막 방법은 고객 감동을 위한 핸드폰 SMS(Short Message Service)이용 방법이다.
이는 기존 고객을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보면 된다. 일부 신용카드사의 예를 보면 고객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신용카드 사용처와 금액을 핸드폰 메시지로 알려준다. 이 간
단한 서비스로 고객은 신용카드 분실로 인한 부정사용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신용카드에 대한 애착을 더 느끼게 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쇼핑몰 운영
자도 고객의 주문에 대한 내용을 SMS로 재확인시켜 주고 고객의 불평이나 문의에 대해
서도 즉각적으로 SMS로 답변해 주게 되면 쇼핑몰에 대한 고객의 친근감과 신뢰도를 높
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방법은 현재 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고객관계
관리 차원에서 볼 때 상당히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3) 고객지원 준비
우리가 식당에서 식사를 주문하였을 때 종업원이 반찬그릇들을 식탁 위에 탁탁 소리가
나도록 집어 던지듯이 놓고 가면 그 식당의 음식 맛이 아주 월등하게 좋지 않은 다음에는
그 식당에 대해서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손님들의 발걸음이 이 식당
에서 멀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경우는 쇼핑몰 방문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쇼핑
몰의 형태나 이벤트 등이 마음에 들어 방문한 쇼핑몰에서, 고객이 의문 사항이 있어서 질
문을 할 경우에 이에 대한 반응을 기대할 수 없도록 쇼핑몰이 이루어져 있다면 고객은 이
쇼핑몰을 이용하기에 부담을 느끼게 되고 결국에는 다른 쇼핑몰로 떠나게 된다.
고객지원 준비는 위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객의 요청에 답하고 불만사항을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원만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비를
말한다.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쇼핑몰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주어 매출에 직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다.
쇼핑몰에서의 고객지원은 주로 게시판이나 이메일이 활용된다. 게시판 활용에는 많은
사람들이 자주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FAQ(Frequently Asked Question)와 질문과 답변
인 Q&A(Question & Answer)가 있다.
FAQ는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고객들이 자주 물을 것 같은 예상 질문들에
대하여 미리 답변을 작성해 둠으로써 고객들의 일반적인 의문점을 바로 해소시켜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FAQ의 작성 예들을 보면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는데, 어떻게 알 수 있나요9
- 주문 내역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 배송 상태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 주문 취소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반품/환불신청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내용들이다.
Q&A는 고객의 질문에 대하여 1:1로 답변을 해 주는 것이다. Q&A 게시판에는 질문
한 날짜와 답변한 날짜가 나타나는데 답변이 늦어질 경우에는 질문자를 포함한 고객들이
쇼핑몰에 대해 갖는 신뢰감이 감소되므로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객의 질문에
대하여 즉각적인 대응은 불가능하더라도 최소 1일 1회 이상의 관리를 통해 답변 없는 질
문이 방이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4) 웹로그 분석
오프라인 상점에서는 하루 방문한 고객의 수, 가장 많은 고객이 몰리는 시간대,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 등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 쇼
핑몰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한 웹로그 파일 분석으로 알아
낼 수 있다. 웹로그 파일은 웹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들에 대한 기록인데 흔
히 웹사이트를 방문한 흔적을 의미한다. 웹로그 파일분석의 결과를 보면 고객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방문하였는지, 어느 시간에 가장 많이 방문하였는지, 가장 선호하는 상품은
어떤 것인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1) 트래픽 분석
쇼핑몰 운영자는 얼마나 많은 방문자가 쇼핑몰을 방문하였는지 날짜별, 시간별로 방문
한 수와 통계를 볼 수 있다. 이를 잘 분석하여 방문자가 가장 많이 방문하는 시간에는 게
시판 답변이나 고객응대 부분을 강화하고, 방문이 적은 날이나 시간에는 홍보 메일 등을
발송하는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다. 세부기능으로는 순방문자수, 페이지뷰, 주문 시도
건수 등에 대한 분석이 있다.
(2) 고객선호도 분석
쇼핑몰을 방문한 고객이 쇼핑몰의 어떤 카테고리, 컨텐츠 또는 상품을 많이 클릭했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쇼핑몰 운영자는 고객의 선호도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3) 외부접근 경로 분석
고객이 어떠한 검색엔진 또는 사이트를 통해 쇼핑몰을 방문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고
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검색엔진에 검색 광고를 집중해 보는 것도 방문자를 더욱 늘릴
수 있는 방법이다. 도메인별 접근순위, 검색엔진별 접근순위, 검색엔진 검색어 순위, 지
역별 접근 순위 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포털사이트의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쇼핑몰 운영자가 포털
사이트에 동호회나 카페를 만들어 놓고 운영하면서 회원들의 관심을 자신의 쇼핑몰로 유
도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네이버의 지식iN 서비스와 같은 지식 검색 서비스에 올라온 질의 중에 자신
의 쇼핑몰과 관련될 만한 내용을 골라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주면서 자신의 쇼핑몰을
간접적으로 홍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자신의 쇼핑몰 게시판에 고객의 질문과 쇼핑몰의 답변 형식으로 쇼핑몰에
관련된 내용을 홍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들은 특별히 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좋
은 점이 있기는 하지만 대중의 시선을 끌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대중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편으로 소호형 쇼핑몰에서는 이벤트 마케팅을 실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실시할 때는 타 쇼핑몰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
담을 감수해야 한다.
마지막 방법은 고객 감동을 위한 핸드폰 SMS(Short Message Service)이용 방법이다.
이는 기존 고객을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보면 된다. 일부 신용카드사의 예를 보면 고객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마다 신용카드 사용처와 금액을 핸드폰 메시지로 알려준다. 이 간
단한 서비스로 고객은 신용카드 분실로 인한 부정사용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신용카드에 대한 애착을 더 느끼게 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쇼핑몰 운영
자도 고객의 주문에 대한 내용을 SMS로 재확인시켜 주고 고객의 불평이나 문의에 대해
서도 즉각적으로 SMS로 답변해 주게 되면 쇼핑몰에 대한 고객의 친근감과 신뢰도를 높
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방법은 현재 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고객관계
관리 차원에서 볼 때 상당히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3) 고객지원 준비
우리가 식당에서 식사를 주문하였을 때 종업원이 반찬그릇들을 식탁 위에 탁탁 소리가
나도록 집어 던지듯이 놓고 가면 그 식당의 음식 맛이 아주 월등하게 좋지 않은 다음에는
그 식당에 대해서 좋은 기분을 느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손님들의 발걸음이 이 식당
에서 멀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경우는 쇼핑몰 방문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쇼핑
몰의 형태나 이벤트 등이 마음에 들어 방문한 쇼핑몰에서, 고객이 의문 사항이 있어서 질
문을 할 경우에 이에 대한 반응을 기대할 수 없도록 쇼핑몰이 이루어져 있다면 고객은 이
쇼핑몰을 이용하기에 부담을 느끼게 되고 결국에는 다른 쇼핑몰로 떠나게 된다.
고객지원 준비는 위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객의 요청에 답하고 불만사항을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원만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비를
말한다.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쇼핑몰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 주어 매출에 직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다.
쇼핑몰에서의 고객지원은 주로 게시판이나 이메일이 활용된다. 게시판 활용에는 많은
사람들이 자주 질문하는 내용에 대한 FAQ(Frequently Asked Question)와 질문과 답변
인 Q&A(Question & Answer)가 있다.
FAQ는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고객들이 자주 물을 것 같은 예상 질문들에
대하여 미리 답변을 작성해 둠으로써 고객들의 일반적인 의문점을 바로 해소시켜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FAQ의 작성 예들을 보면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는데, 어떻게 알 수 있나요9
- 주문 내역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 배송 상태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 주문 취소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반품/환불신청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내용들이다.
Q&A는 고객의 질문에 대하여 1:1로 답변을 해 주는 것이다. Q&A 게시판에는 질문
한 날짜와 답변한 날짜가 나타나는데 답변이 늦어질 경우에는 질문자를 포함한 고객들이
쇼핑몰에 대해 갖는 신뢰감이 감소되므로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객의 질문에
대하여 즉각적인 대응은 불가능하더라도 최소 1일 1회 이상의 관리를 통해 답변 없는 질
문이 방이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
4) 웹로그 분석
오프라인 상점에서는 하루 방문한 고객의 수, 가장 많은 고객이 몰리는 시간대, 가장
많이 팔리는 상품 등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 쇼
핑몰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한 웹로그 파일 분석으로 알아
낼 수 있다. 웹로그 파일은 웹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들에 대한 기록인데 흔
히 웹사이트를 방문한 흔적을 의미한다. 웹로그 파일분석의 결과를 보면 고객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방문하였는지, 어느 시간에 가장 많이 방문하였는지, 가장 선호하는 상품은
어떤 것인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1) 트래픽 분석
쇼핑몰 운영자는 얼마나 많은 방문자가 쇼핑몰을 방문하였는지 날짜별, 시간별로 방문
한 수와 통계를 볼 수 있다. 이를 잘 분석하여 방문자가 가장 많이 방문하는 시간에는 게
시판 답변이나 고객응대 부분을 강화하고, 방문이 적은 날이나 시간에는 홍보 메일 등을
발송하는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다. 세부기능으로는 순방문자수, 페이지뷰, 주문 시도
건수 등에 대한 분석이 있다.
(2) 고객선호도 분석
쇼핑몰을 방문한 고객이 쇼핑몰의 어떤 카테고리, 컨텐츠 또는 상품을 많이 클릭했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쇼핑몰 운영자는 고객의 선호도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3) 외부접근 경로 분석
고객이 어떠한 검색엔진 또는 사이트를 통해 쇼핑몰을 방문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고
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검색엔진에 검색 광고를 집중해 보는 것도 방문자를 더욱 늘릴
수 있는 방법이다. 도메인별 접근순위, 검색엔진별 접근순위, 검색엔진 검색어 순위, 지
역별 접근 순위 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