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설간호(청정관장, 윤활관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설간호(청정관장, 윤활관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배설간호

* 목적

* 용액

* 장단점

1) 1/2 Glycerin enema
* 목적
* 준비물품
* 절차 및 간호

2) 비눗물 관장(Soap Solution Enema, S-S enema)
* 목적
* 준비물품
* 절차 및 간호

3) 미온수 관장
* 목적
* 준비물품
* 절차 및 간호

* 관장 시 주의사항

본문내용

, 일회용 장갑, 휴지, 수용성 윤활제, 방수포, 반시트, 스크린, 이동식 변기
순서
이론적 근거
1~12는 위 비눗물 관장과 동일
13. 조절기를 열어 관장액을 5~10분 정도로 서서히 주입하면서 환자를 관찰한다.
용액의 주입속도가 빠르면 주입하고자 하는 용액이 모두 주입되기 전에 결장을 수축시켜 통증을 일으키고 장내 용액의 보유를 힘들게 한다.
관장액의 양
- 영아 : 250cc 이하
- 유아기~학령 전기 : 250~500cc
- 학령기 : 300~500cc
- 청소년기 : 500~700cc
- 성인 : 750~1,000cc
14~20 위 비눗물 관장과 동일
* 절차 및 간호
※ 관장 시 주의사항
- 장폐색증, 뇌압상승이 우려되는 경우 금함
- 관장액 주입 시 장천공, 출혈가능성, 궤양성 장염, 장점막 괴사 및 손상의 가능성이 있을 경우 금함
- 수돗물 관장이나 비눗물 관장 시 순환과부담, 수분 중독, 근육의 손상과 괴사, 고칼륨혈증,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음
- 많은 양의 용액 주입 시 천공과 출혈을 초래할 수 있음
- 관장용액이 주입되는 동안 대상자가 복통을 심하게 호소할 때 관장용액이 들어가는 것을 일시적으로 멈춤
- 위장관이나 부인과 수술 직후 관장 시 봉합선이 터질 수 있음
- 소아인 경우 비눗물 관장 시 미온수 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 반복되는 관장은 장점막과 회음부를 자극하고 전해질을 상실하게 하고 환자를 지치게 함
* 참고문헌
- 신규간호사 교육지침서/병원간호사회
- 기본간호학 이론서/군자출판사/장성옥 외6명/2009
-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군자출판사/장성옥 외6명/2007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3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