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이순신 승리의 리더십
저자: 임원빈
▶저자소개
▶책머리 소개
01.이순신 리더십 정립을 위한 틀
1.리더십이란?
2.동양 병법서에 나타난 리더의 덕목
3.리더십 규명을 위한 틀
02.리더 이순신의 9가지 덕목
1.승리할 수 있는 군사전문성을 지녀라 - 지식(知識)
2.약속과 신의를 지켜라 - 신의(信義)
3.사람을 사랑하고 배려하고 아껴라 - 인애(人愛)
4.옳은 일은 과감하게 하고, 어려운 때일수록 선두에 서라 - 용기(勇氣)
5.위엄과 형벌로 부하를 단속하라 - 위엄(威儼)
6.창의적 사고로 미래를 대비하라 - 창의(創意)
7.의리에 죽고 의리에 산다 - 정의감(正義感)
8.지극한 정성에는 하늘도 감동한다 - 정성(精誠)
9.정의가 승리하는 역사를 만들어라 - 역사의식(歷史意識)
03.‘한마음’, 승리를 낳는 리더십
1.처벌을 통해서라도 ‘한마음’이 되게 하라 - 필벌형(必罰形)리더십
2.위험에 처하면 ‘한마음’이 된다 - 투지망지형(投之亡地形)리더십
3.이익이 있는 곳에 ‘한마음’도 있다 - 이익유도형(利益誘途形)리더십
4.상(賞)에 신뢰감을 주면 ‘한마음’이 된다 - 신상형(信賞形)리더십
5.유리한 형세에는 오합지졸도 ‘한마음’이 된다 - 임세형(任勢形)리더십
6.합리적 의사소통이 ‘한마음’의 지름길이다 - 이성공감형(理性共感形)리더십
7.감동하면 저절로 ‘한마음’이 된다 - 감성공감형(感性共感形)리더십
8.리더의 솔선수범은 ‘한마음’의 원천이다 - 솔선수범형(率先垂範形)리더십
9.리더의 고결한 인격은 ‘한마음’의 주체이다 - 인격감화형(人格感化形)리더십
04.위대한 리더의 길_이순신의 인격함양법
1.리더십과 인격의 상관관계
2.이순신의 인격함양법의 이론적 토대 (조선유학의 인격 함양도)
3.이순신의 인격함양법
4.글로벌 시대의 리더십 교육이 나아갈 길
05.명량 해전 승리 요인의 재조명
1.명량 해전 해석의 틀
2.판옥선의 전투력
3.명량 해전에 적용된 병법
4.명량 해전에 발휘된 리더십
5.명량 해전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제언 - ‘철쇄설치설’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저자: 임원빈
▶저자소개
▶책머리 소개
01.이순신 리더십 정립을 위한 틀
1.리더십이란?
2.동양 병법서에 나타난 리더의 덕목
3.리더십 규명을 위한 틀
02.리더 이순신의 9가지 덕목
1.승리할 수 있는 군사전문성을 지녀라 - 지식(知識)
2.약속과 신의를 지켜라 - 신의(信義)
3.사람을 사랑하고 배려하고 아껴라 - 인애(人愛)
4.옳은 일은 과감하게 하고, 어려운 때일수록 선두에 서라 - 용기(勇氣)
5.위엄과 형벌로 부하를 단속하라 - 위엄(威儼)
6.창의적 사고로 미래를 대비하라 - 창의(創意)
7.의리에 죽고 의리에 산다 - 정의감(正義感)
8.지극한 정성에는 하늘도 감동한다 - 정성(精誠)
9.정의가 승리하는 역사를 만들어라 - 역사의식(歷史意識)
03.‘한마음’, 승리를 낳는 리더십
1.처벌을 통해서라도 ‘한마음’이 되게 하라 - 필벌형(必罰形)리더십
2.위험에 처하면 ‘한마음’이 된다 - 투지망지형(投之亡地形)리더십
3.이익이 있는 곳에 ‘한마음’도 있다 - 이익유도형(利益誘途形)리더십
4.상(賞)에 신뢰감을 주면 ‘한마음’이 된다 - 신상형(信賞形)리더십
5.유리한 형세에는 오합지졸도 ‘한마음’이 된다 - 임세형(任勢形)리더십
6.합리적 의사소통이 ‘한마음’의 지름길이다 - 이성공감형(理性共感形)리더십
7.감동하면 저절로 ‘한마음’이 된다 - 감성공감형(感性共感形)리더십
8.리더의 솔선수범은 ‘한마음’의 원천이다 - 솔선수범형(率先垂範形)리더십
9.리더의 고결한 인격은 ‘한마음’의 주체이다 - 인격감화형(人格感化形)리더십
04.위대한 리더의 길_이순신의 인격함양법
1.리더십과 인격의 상관관계
2.이순신의 인격함양법의 이론적 토대 (조선유학의 인격 함양도)
3.이순신의 인격함양법
4.글로벌 시대의 리더십 교육이 나아갈 길
05.명량 해전 승리 요인의 재조명
1.명량 해전 해석의 틀
2.판옥선의 전투력
3.명량 해전에 적용된 병법
4.명량 해전에 발휘된 리더십
5.명량 해전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제언 - ‘철쇄설치설’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본문내용
形)리더십
제9단계 ‘인격감화형 리더십’은 리더십의 최고 단계이다. ‘인격’은 제1단계부터 제8단계의 리더십을 관통하는 리더십의 핵심적 주체이다. 똑같은 리더십을 구사했는데 그 효과가 다른 것은 리더십을 구사하는 주체인 리더의 인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04.위대한 리더의 길_이순신의 인격함양법
1.리더십과 인격의 상관관계
이순신은 임진왜란 동안 40여 회의 해전을 모두 승리로 이끌었다. 전승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순신 주변에는 언제나 유능한 장수와 참모들이 넘쳐 났다. 순천 부사 권준, 방답 첨사이순신, 광양 현감 어영담, 홍양 현감 배흥립, 녹도 만호 정운처럼 이순신과 더불어 죽기를 약속한 의형제와 같은 장수들도 있었다.
2.이순신의 인격함양법의 이론적 토대 (조선유학의 인격 함양도)
3.이순신의 인격함양법
-진리 인식하기 - 궁리(窮理)
1) 자식의 도리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_효(孝)
2) 신하의 도리는 몸을 바쳐 임금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_충(忠)
3) 지식인의 도리는 현실 문제에 적극 참여하는 것
4) 인생의 이치는 의리에 합당한 삶을 사는 것
-순수한 마음의 힘 기르기 - 존양(存養)
1) 시 쓰기를 통해 마음을 정화하다
이순신이 한산도에 있을 때 바다에 드리운 가을 풍경과 새벽녘에 창문을 통해 들어온
달빛을 보면서 느낀 정감을 표현한 것이다.
“온 바다에 가을 빛 저물었는데 찬바람에 놀란 기러기 높이 떳구나. 가슴에 근심 가
득 잠 못 이루는 밤, 새벽 달 창에 들어 활과 칼을 비추네.“
2) 일기 쓰기를 통해 매일 반성하다
3) 음악 감상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다
4) 자연과 소통하여 마음을 순수하게 하다
5) 검명(劍銘)을 활용하여 마음을 굳세게 하다
이순신이 검에 세긴 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강이 떨도다.”
“한 번 휘둘러 쓸어 버리니, 붉은 피가 산과 강을 적시도다.”
-힘써 진리를 실천하기 - 역행(力行)
1) 정의를 실천하다
2) 효를 실천하다
3) 충을 실천하다
4.글로벌 시대의 리더십 교육이 나아갈 길
요즈음 소개되고 있는 모든 리더십 이론에서 이구동성으로 인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 어떻게 해야 인격을 함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선 자세한 설명이 없다. 혹시 이것이 오늘날 한국의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은 아닐까.
전통 사상은 인격함양의 보고이다. 전통적으로 유학에서는 리더 양성의 방법으로 문학과 역사 그리고 철학 교육을 함께 시켰다. 이른바 문. 사. 철 (文. 史. 哲) 교육이 그것이다.
이순신이 위대한 리더로 성장한 것도 따지고 보면 조선의 리더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힘입은 바 크다.
이 책에서 보다시피 엄격함이 느껴질 법한 무인(武人) 이순신에게서는 따뜻함이 느껴진다.
그래서 필자는 이순신 리더십의 핵심을 인격이라고 강조하는 것이다. 고결한 인격에 기초한 이순신의 리더십은 조선 수군 병사들의 전투력을 극대화 시키고, 그것을 통합하여 모든 해전을 승리로 이끄는 토대가 되었다. 결국 인격이 효율이요, 실리요, 경쟁력이 될 수 있음을 이순신은 우리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05.명량 해전 승리 요인의 재조명
1.명량 해전 해석의 틀
이제까지 명량 해전의 승리요인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설은 ‘철쇄설치설(鐵鎖設置說)’이었다. 그러나 ‘철쇄설치설’의 최대 약점은 명량해전의 전투 상황을 가장 생생히 담고 있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철쇄를 이용하여 일본의 함선들이 걸려 넘어지게 한 것이 명량 해전 승리의 주요 원인이었다면 기록의 대가인 이순신은 반드시 그것을 일기에 기록하였을 것이다.
‘철쇄설치설’의 유력한 근거 자료로 제시되는 이중환의 <택리지>와 <해남현지>는 1750년 전후의 자료로서 각 지방에 구전되어 오는 이야기를 채집하여 엮어 낸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가 보는 명량 해전의 승리 요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판옥선의 막강한 전투력, 둘째 이순신의 뛰어난 병법 구사, 셋째 이순신의 탁월한 리더십 역량이다. 총통으로 무장한 ‘판옥선의 전투력’이 하드웨어적인 전투력 요소라면, 이순신의 ‘병법’과 ‘리더십’은 소프트웨어적인 전투력 요소이다.
2.판옥선의 전투력
판옥선은 갑판 위에 판자를 가지고 네모난 집 모양의 상장을 설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집 모양의 상장을 설치한 이유는 등선육박전술을 특기로 하는 일본의 병사가 함선으로 기어 올라오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거기다 함선 자체의 규모도 일본의 함선에 비해 컸다.
3.명량 해전에 적용된 병법
-적의 동태를 손바닥 보듯 하다
-해전 장소를 주도적으로 선택하다
이순신은 해전 하루 전에 판옥선이 활동하기에 좋고, 일본 수군 병사들이 육지로 헤엄쳐 도망갈 수 없는 넓은 한산도 외양을 해전 장소로 선택함으로써 전과를 극대화시켰다.
명량의 물목을 해전 장소로 택한 가장 큰 이유는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는 병법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순신은 수적으로 열세한 조선 수군에게는 가장 유리한 그리고 수적으로 우세한 일본 수군에게는 가장 불리한 명량의 좁은 물목을 해전의 장소로 선택함으로써 해전의 주동권을 확보하였던 것이다.
-지형적 이점을 이용하여 열세를 극복하다
-지휘함에 화력을 집중하다
4.명량 해전에 발휘된 리더십
-전투 준비 단계
-전투 하루 전
-전투 단계
5.명량 해전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제언 - ‘철쇄설치설’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이제 그것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임진왜란에 참여한 사람들의 전쟁 영웅담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나온 ‘설화성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설화가 후대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 영향은 아마도 주인공들의 애국심, 희생정신 등에 대한 감성적 공감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긍정적 영향 때문에 ‘설화’가 ‘역사적 사실’이 될 수는 없다.
이순신은 사실적 모습만으로도 충분히 위대하며, 민족의 영웅, 국민적 사표가 되기에 손색이 없다. 우리의 어설픈 영웅화 작업이 그의 진정한 위대성을 폄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이켜 볼 때이다.
제9단계 ‘인격감화형 리더십’은 리더십의 최고 단계이다. ‘인격’은 제1단계부터 제8단계의 리더십을 관통하는 리더십의 핵심적 주체이다. 똑같은 리더십을 구사했는데 그 효과가 다른 것은 리더십을 구사하는 주체인 리더의 인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04.위대한 리더의 길_이순신의 인격함양법
1.리더십과 인격의 상관관계
이순신은 임진왜란 동안 40여 회의 해전을 모두 승리로 이끌었다. 전승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순신 주변에는 언제나 유능한 장수와 참모들이 넘쳐 났다. 순천 부사 권준, 방답 첨사이순신, 광양 현감 어영담, 홍양 현감 배흥립, 녹도 만호 정운처럼 이순신과 더불어 죽기를 약속한 의형제와 같은 장수들도 있었다.
2.이순신의 인격함양법의 이론적 토대 (조선유학의 인격 함양도)
3.이순신의 인격함양법
-진리 인식하기 - 궁리(窮理)
1) 자식의 도리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_효(孝)
2) 신하의 도리는 몸을 바쳐 임금의 은혜에 보답하는 것_충(忠)
3) 지식인의 도리는 현실 문제에 적극 참여하는 것
4) 인생의 이치는 의리에 합당한 삶을 사는 것
-순수한 마음의 힘 기르기 - 존양(存養)
1) 시 쓰기를 통해 마음을 정화하다
이순신이 한산도에 있을 때 바다에 드리운 가을 풍경과 새벽녘에 창문을 통해 들어온
달빛을 보면서 느낀 정감을 표현한 것이다.
“온 바다에 가을 빛 저물었는데 찬바람에 놀란 기러기 높이 떳구나. 가슴에 근심 가
득 잠 못 이루는 밤, 새벽 달 창에 들어 활과 칼을 비추네.“
2) 일기 쓰기를 통해 매일 반성하다
3) 음악 감상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다
4) 자연과 소통하여 마음을 순수하게 하다
5) 검명(劍銘)을 활용하여 마음을 굳세게 하다
이순신이 검에 세긴 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석 자 칼로 하늘에 맹세하니, 산과 강이 떨도다.”
“한 번 휘둘러 쓸어 버리니, 붉은 피가 산과 강을 적시도다.”
-힘써 진리를 실천하기 - 역행(力行)
1) 정의를 실천하다
2) 효를 실천하다
3) 충을 실천하다
4.글로벌 시대의 리더십 교육이 나아갈 길
요즈음 소개되고 있는 모든 리더십 이론에서 이구동성으로 인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 어떻게 해야 인격을 함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선 자세한 설명이 없다. 혹시 이것이 오늘날 한국의 리더십 교육의 문제점은 아닐까.
전통 사상은 인격함양의 보고이다. 전통적으로 유학에서는 리더 양성의 방법으로 문학과 역사 그리고 철학 교육을 함께 시켰다. 이른바 문. 사. 철 (文. 史. 哲) 교육이 그것이다.
이순신이 위대한 리더로 성장한 것도 따지고 보면 조선의 리더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힘입은 바 크다.
이 책에서 보다시피 엄격함이 느껴질 법한 무인(武人) 이순신에게서는 따뜻함이 느껴진다.
그래서 필자는 이순신 리더십의 핵심을 인격이라고 강조하는 것이다. 고결한 인격에 기초한 이순신의 리더십은 조선 수군 병사들의 전투력을 극대화 시키고, 그것을 통합하여 모든 해전을 승리로 이끄는 토대가 되었다. 결국 인격이 효율이요, 실리요, 경쟁력이 될 수 있음을 이순신은 우리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05.명량 해전 승리 요인의 재조명
1.명량 해전 해석의 틀
이제까지 명량 해전의 승리요인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설은 ‘철쇄설치설(鐵鎖設置說)’이었다. 그러나 ‘철쇄설치설’의 최대 약점은 명량해전의 전투 상황을 가장 생생히 담고 있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철쇄를 이용하여 일본의 함선들이 걸려 넘어지게 한 것이 명량 해전 승리의 주요 원인이었다면 기록의 대가인 이순신은 반드시 그것을 일기에 기록하였을 것이다.
‘철쇄설치설’의 유력한 근거 자료로 제시되는 이중환의 <택리지>와 <해남현지>는 1750년 전후의 자료로서 각 지방에 구전되어 오는 이야기를 채집하여 엮어 낸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가 보는 명량 해전의 승리 요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판옥선의 막강한 전투력, 둘째 이순신의 뛰어난 병법 구사, 셋째 이순신의 탁월한 리더십 역량이다. 총통으로 무장한 ‘판옥선의 전투력’이 하드웨어적인 전투력 요소라면, 이순신의 ‘병법’과 ‘리더십’은 소프트웨어적인 전투력 요소이다.
2.판옥선의 전투력
판옥선은 갑판 위에 판자를 가지고 네모난 집 모양의 상장을 설치하였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집 모양의 상장을 설치한 이유는 등선육박전술을 특기로 하는 일본의 병사가 함선으로 기어 올라오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거기다 함선 자체의 규모도 일본의 함선에 비해 컸다.
3.명량 해전에 적용된 병법
-적의 동태를 손바닥 보듯 하다
-해전 장소를 주도적으로 선택하다
이순신은 해전 하루 전에 판옥선이 활동하기에 좋고, 일본 수군 병사들이 육지로 헤엄쳐 도망갈 수 없는 넓은 한산도 외양을 해전 장소로 선택함으로써 전과를 극대화시켰다.
명량의 물목을 해전 장소로 택한 가장 큰 이유는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는 병법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순신은 수적으로 열세한 조선 수군에게는 가장 유리한 그리고 수적으로 우세한 일본 수군에게는 가장 불리한 명량의 좁은 물목을 해전의 장소로 선택함으로써 해전의 주동권을 확보하였던 것이다.
-지형적 이점을 이용하여 열세를 극복하다
-지휘함에 화력을 집중하다
4.명량 해전에 발휘된 리더십
-전투 준비 단계
-전투 하루 전
-전투 단계
5.명량 해전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제언 - ‘철쇄설치설’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이제 그것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임진왜란에 참여한 사람들의 전쟁 영웅담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나온 ‘설화성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설화가 후대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 영향은 아마도 주인공들의 애국심, 희생정신 등에 대한 감성적 공감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긍정적 영향 때문에 ‘설화’가 ‘역사적 사실’이 될 수는 없다.
이순신은 사실적 모습만으로도 충분히 위대하며, 민족의 영웅, 국민적 사표가 되기에 손색이 없다. 우리의 어설픈 영웅화 작업이 그의 진정한 위대성을 폄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이켜 볼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