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 애플과 에버랜드 리조트의 데코마스 전략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 애플과 에버랜드 리조트의 데코마스 전략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데코마스란?
2. 데코마스의 필요성
3. CI, BI의 장단점
4. 데코마스 이용 사례
<애플>
- 애플사 소개
- 애플 로고의 변천사
- 애플사 로고 수정의 이유
<에버랜드리조트>
- 에버랜드 브랜드의 의미
- 에버랜드 리조트의 변화
5. 결론

본문내용

연농원>에서 <에버랜드>로 BI를 변경했다.
그리고 다시 10년 후인 2006년에 두 번째로 현재의 BI인 ‘에버랜드리조트’로 변경했다. 그리고 다시 10년 후인 2006년에 두 번째로 현재의 BI인 ‘에버랜드리조트’로 변경했다.
에버랜드 리조트의 변화
에버랜드 리조트는 1976년 ‘자연농원’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했다. 이후 ‘에버랜드’를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은 단지 전체를 의미하는 ‘에버랜드’와 드라이파크인 ‘페스티벌월드’에 대해 고객들이 혼란을 느낀다고 파악했다. 따라서 개장 30주년을 맞은 2006년에 다시 브랜드 리뉴얼을 단행하게 된 것이다. ‘에버랜드’를 ‘에버랜드리조트’로 바꾸면서 이를 마더 브랜드로 하고, 기존의 ‘페스티벌월드’를 ‘에버랜드’로 변경했다. 이는 브랜드 가치의 확산과 세계적인 리조트 타운으로의 성장을 위한 기업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었다.
‘에버랜드리조트’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목표는 “언제나 휴일과 같은 편안함과 즐거움이 있습니다”라는 비전을 고객들에게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것이다. 그래서 에버랜드는 리조트 내/외부에 ‘에버랜드리조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적절히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물론 광고, 홍보, 온/오프라인 제작물의 이미지 및 컨셉의 통일성과 차별화를 위한 회의를 진행한다.
첫 번째로 변경한 BI는 ‘2만 달러 이상의 국민소득에 어울리는 테마파크의 컨셉을 가진 세계적인 최고급 브랜드 개발’이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진행됐다. 기존의 자여농원이 내국인 중심의 지방형이미지에 국한된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따라서 놀이시설 혹은 입지에 한정된 1차 산업 형태의 이미지에서 고객들의 즐거움과 꿈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3차산업 형태의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된 결과 'EVERLAND'가 탄생했다.
이어 2006년에는 에버랜드의 두 번째 리뉴얼을 마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발표됐다. 이 경우에는 브랜드 이름과 디자인 차원의 변화뿐만 아니라 브랜드 체계까지 재정비했다.
에버랜드에는 드라이파크, 워터파크, 퍼블릭골프장, 스포츠의장, 모터파크, 숙박시설별 브랜드가 있다. 그 중에서 드라이파크 브랜드로 쓰인 ‘Festival world'는 테마파크 전체를 의미하는 에버랜드 브랜드 네임과 소비자들이 혼란을 느낄 수 있다고 판단됐으며, 기존보다 현대적인 디자인을 가진 브랜드 이미지가 필요했다.
따라서 에버랜드는 ‘Festival world’를 ‘Everland’로 대체하고, 테마파크 전체를 지칭하던 ‘EVERLAND’를 ‘EVERLAND RESORT'로 qusrudgkadmfhTJ 브랜드의 포괄 범위를 명확히 설정했다. 이로써 에버랜드는 소비자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리뉴얼 작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다고 평가된다.
에버랜드리조트의 브랜드 플랫폼
에버랜드리조트의 브랜드 플랫폼을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 즉 비전/미션/핵심가치는 각각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자.
첫째, 에버랜드리조트의 비전은 ‘언제나 휴일과 같은 편안함과 즐거움’이고 이를 슬로건으로 활용하고 있다.
둘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현재적 수단 또는 임무로서의 미션은 ‘365일 평생 동안 기억에 남을 최고의 순간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셋째, 에버랜드리조트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가치는 ‘평생 기억에 남을 추억, 자연 속에서의 휴식, 즐거움, 고객만족, 안전’이다.
브랜드 플랫폼을 구축한 이후에야 비로소 광고, 놀이시설, 이벤트, 서비스 등 소비자들이 접하는 모든 접점에서 브랜드 비전, 미션, 핵심가치를 형상화하기 위한 활동이 일관성 있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에버랜드리조트의 슬로건 변천 내용
에버랜드 리조트는 2003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비전을 그대로 슬로건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2003us 이전에는 1~2년마다 슬로건을 교체하면서 ‘세계 수준을 가진 리조트’, ‘자연 속의 테마 리조트’등 저마다 다른 포인트를 전달한 바 있다.
1999년 세계적인 수준을 가진 리조트, 에버랜드
2001년 당신이 알고 있는 그 이상의 리조트, 에버랜드
2002년 자연 속의 테마 리조트, 에버랜드
2003년 언제나 휴일과 같은 편안함과 즐거움이 있는 곳, 에버랜드
에버랜드는 공식 로고 외에도 캐릭터를 개발해 기업을 PR하고 있다.
EVERLAND RESORT BI
● 결론
소비자는 욕구에 만족을 추구하는 소비라는 행동을 함에 ‘선택’이라는 중요한 과정을 거칩니다. 여기서 소비라 함은 당연히 재화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범위까지 포함하는데 우리의 일상이 그야말로 소비인 것이고 선택의 반복인 것이다.
무한 경쟁의 시대인 현대에 와서 기업들 간에는 가격경쟁은 물론 비가격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예를 들어 같은 정유를 파는 주유소와 같이 동질의 재화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비가격경쟁이 더욱 치열하다. 소비자의 발길과 손길이 흔쾌히 닿도록 유도하는 데에 해답은 오로지 CI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애플의 CI도입에 대해 살펴보던 중 최초의 애플사 로고 디자인을 보고 받은 느낌은 ‘아이팟을 비롯하여 매끈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거듭 내놓는 애플사에게는 정말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었다. CI를 도입했다 하더라도 흐름에 맡겨 끊임없이 변화시키지 않으면 낙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CI를 개발하는 일은 생명력이 넘치고 매력적인 직업이겠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는 주의를 갖고 살펴보지 않는 사소한 표식에도 기업은 한 글자라도 더 우리에게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다는 것을 느낀 이상 앞으로 어떠한 브랜드네임이나 홍보물, 로고를 봄에 관심이 남달라질 것 같다.
에버랜드를 조사하면서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클레이턴 크리스맨스 교수의 말이 떠올랐다. 그는 맥도널드의 경쟁 상대는 버거킹의 아이스크림이 아니라 출근 시간의 지루함과 오전의 허기를 달래주는 바나나와 <월스트리트저널>이라고 했다. 이것은 단순히 기업 간의 경쟁이 아닌 고객의 입장에서 바라본 이색적인 분석이라는 생각을 했는데 에버랜드리조트 또한 모든 레저산업계를 경쟁상대로 하면서 그이상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계속해서 노력하는 것이 보였다. 세계화 시대에는 기업의 성공적 해외 진출에 CI의 성공적 도입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실히 인지하게 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0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