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허하다.
2) 경험주의: 귀납법. 【확장】 보통의 경우 지식은 확실성의 유무가 아니라, 우리가 몰랐던 것을 아는 것이 지식의 전형적인 경우이다. 지식의 정의적 성격은 그러므로 확실성이 아니라, 그 확장적 성격에 있다. 지식이란 모르는 영역을 점령해서 알게 되어지는 영역으로 가는 것이다. (모르는 상태 → 아는 상태) 확장적 성격은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경험주의의 문제점 인간은 지각에 의한 경험에 의해서만 사물에 접근하게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서는 알 수 없다. 자신이 가진 사물에 대한 지각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확인할 기준이 없다. 만약 한 사물에 대해서 두 사람이 다른 지각을 가진다면 두 지각 중 어느 것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경험에 의하지 않고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즉, 내가 어떤 대상 지각을 가질 때 나의 지각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확인하고 싶을 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므로 "나"는 지각만을 가질 뿐 "사물이 나의 경험과 독립하여 존재한다"라는 것을 알 수 없다. ⇒ 회의주의에 빠진다.
2. 칸트의 인식론
합리주의의 지식(확실성)의 개념, 경험주의의 인식(확장성)의 개념은 모두 문제가 있으므로, 칸트는 두 입장의 장점을 다 취하고 단점을 버리려 했다.
1) 서론: 칸트 인식론의 과제
"어떻게 확실하면서도 확장적인 지식이 가능한가?" 공허는 확장성에 의해서, 회의는 확실성에 의해서 소멸된다.
Plato: Idea없이 인식할 수 없다: 합리
Aristotle: 논리의 판단 종류를 통한 개념: 경험 / 칸트에 영향을 줌.
Kant: 개념이란 보편적, 필연적(양상논리) 범주
"어떻게 선험적종합 판단이 가능한가?" / 확실 확장 / a priori synthetic / 선험적 세계
선험적: 경험과 독립하여 알 수 있는 : cf. 모든 어머니는 여자이다.(분석판단) / 2+3=5 ⇒ 보편성, 필연성이 있다.
분석판단: 술어를 주어가 포함. 즉 주어가 술어의 의미를 포함. 언어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주어와 술어의 의미에 대한 판단. (경험이 필요없다.) 사물에 대한 판단이 아니다.
종합판단: 사물, 세계에 대한 판단. 확장적.
2) 본론: 선험적(transcendental) 연역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대상은 인식주관에 의해서 구성되는 바의 것
결론: 대상의 경험의 조건 = 경험 대상의 조건
경험의 조건 : 우리에게는 순수직관이라는 것이 있다. (순수직관: 경험의 순수 재료) 순수직관에 대해서, 이는 순수하긴 하지만 질서, 통일성이 없이 그냥 주어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통해 우리에게 경험이 들어온다. (칸트 논리학은 보편, 영원불변, 절대적 성격). 순수개념이 순수직관에 적용되어 이루어질 때 순수경험. ⇒ 순수한 경험, 올바른 경험의 조건은 순수한 직관에 의해 적용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대상의 조건 : 대상에 대한 경험의 조건 → 순수직관. 인간이면 반드시 이 조건이라야 이러한 경험에 도달한다. 어떤 대상에 대한 올바른 조건: 순수직관, 순수개념. 순수직관, 순수개념에 근거해서 순수경험. 인간이면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이러한 조건을 통해서만 대상의 경험에 이른다. (∵ 보편적, 필연적이므로) 순수직관과 순수개념의 이런 성격 때문에 한 인간이 한 대상에 접근하려면 그런 순수직관, 개념으로서 간다. ⇒ 대상에 대한 경험조건은 바로 그 대상의 조건이 되어 버린다.
경험의 조건은 주관성의 조건: 보편성과 필연성 → 대상의 조건이 되면서 객관성의 조건이 된다. 대상이 주관밖에 있는 것이 아니게 된다. (의식 내에 존재) ⇒ 칸트 이전에는 주관 ≠ 객관이 분리되어 있었다.
칸트는
①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② 선험적 연역으로서 대상은 주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힘. 즉, gegenstand: 자기 의식 내에 있는 것. 선험적이란 대상의 조건이 경험의 조건과 합일될 때 우리에게서 우리의 경험 내용을 (구체화) 규정하는 바의 내용(구조)이다.
ex) A개념체계 vs B개념체계 :
A에서 받아들이는 개념: 자본, 신...
B에서 받아들이는 개념: 부처, 끝없는 투쟁...
이러한 개념에 의해서 A체계 안에서 어떤 것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 올바른 경험 ※ 우리의 경험을 규정해주는 조건은 경험되는 (체제 안에서) 대상의 조건이 된다.
transcendental: 칸트의 공로: 개념에 의한 선험적 성격을 보여주는데 기여.
3. 선험적 연역: 우리가 마땅한 경험을 얻기 위한 개념은 대상에 대한 (보편 필연적) 경험의 조건이 대상을 구속하는 조건이 된다.
ex) 뉴튼 vs 아인슈타인
뉴튼: 뉴튼의 개념에 의해 관찰하면 빛은 직진한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에 의해서 관찰하면 빛은 굴절.
아인슈타인의 체계에서는 빛은 굴절하는 것으로 관찰될 뿐 아니라 실제로 굴절한다. ⇒ 경험의 규정적 성격: 개념이 경험을 규정한다. 즉 개념이 대상을 구속한다. 어떤 체제 안에서 개념이 경험을 만들고, 그 경험이 보편적이고 필연적이 되면서 대상의 조건이 된다.
※ 칸트가 선험적 연역을 함으로써 종합판단이 이루어진다. 종합판단은, 개념에 의해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조건하에서, 세계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선험적이 된다. ex) 2+3=5 (선험적: 우리의 경험의 조건이면서 대상의 조건)
4. 규칙
구성적 규칙: 선험적. 그 체제 안에서는 보편, 필연적인 규칙 : 체제 밖에서는 확장적, 종합적 규제적 규칙: ⇒ 칸트가 보이려는 선험성은 구성적 규칙같은 우리 인식의 구조가 있다.
칸트의 문제점: 시대적 제약, 인식문제의 차이
① 칸트의 선험적 성격 기여는 막대하나, 과학적인 법칙에 대한 설명이 안된다. 칸트의 인식은 개념을 가지고 개념에 의해서만 경험하므로 가능하나, 과학적 탐구에는 미비. 우리의 인식 상황에서는 어떤 자연법칙을 우리가 계속 찾아간다.
② 칸트 시대에는 보편, 필연적인 하나의 체계 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는 각기 다른 체계가 있으므로, 이런 체계에서는 인식의 구조가 달라진다. 칸트는 체계의 다원성에는 부족했다.
2) 경험주의: 귀납법. 【확장】 보통의 경우 지식은 확실성의 유무가 아니라, 우리가 몰랐던 것을 아는 것이 지식의 전형적인 경우이다. 지식의 정의적 성격은 그러므로 확실성이 아니라, 그 확장적 성격에 있다. 지식이란 모르는 영역을 점령해서 알게 되어지는 영역으로 가는 것이다. (모르는 상태 → 아는 상태) 확장적 성격은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경험주의의 문제점 인간은 지각에 의한 경험에 의해서만 사물에 접근하게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서는 알 수 없다. 자신이 가진 사물에 대한 지각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확인할 기준이 없다. 만약 한 사물에 대해서 두 사람이 다른 지각을 가진다면 두 지각 중 어느 것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경험에 의하지 않고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즉, 내가 어떤 대상 지각을 가질 때 나의 지각이 정말 그 사물에 대한 지각인지를 확인하고 싶을 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므로 "나"는 지각만을 가질 뿐 "사물이 나의 경험과 독립하여 존재한다"라는 것을 알 수 없다. ⇒ 회의주의에 빠진다.
2. 칸트의 인식론
합리주의의 지식(확실성)의 개념, 경험주의의 인식(확장성)의 개념은 모두 문제가 있으므로, 칸트는 두 입장의 장점을 다 취하고 단점을 버리려 했다.
1) 서론: 칸트 인식론의 과제
"어떻게 확실하면서도 확장적인 지식이 가능한가?" 공허는 확장성에 의해서, 회의는 확실성에 의해서 소멸된다.
Plato: Idea없이 인식할 수 없다: 합리
Aristotle: 논리의 판단 종류를 통한 개념: 경험 / 칸트에 영향을 줌.
Kant: 개념이란 보편적, 필연적(양상논리) 범주
"어떻게 선험적종합 판단이 가능한가?" / 확실 확장 / a priori synthetic / 선험적 세계
선험적: 경험과 독립하여 알 수 있는 : cf. 모든 어머니는 여자이다.(분석판단) / 2+3=5 ⇒ 보편성, 필연성이 있다.
분석판단: 술어를 주어가 포함. 즉 주어가 술어의 의미를 포함. 언어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주어와 술어의 의미에 대한 판단. (경험이 필요없다.) 사물에 대한 판단이 아니다.
종합판단: 사물, 세계에 대한 판단. 확장적.
2) 본론: 선험적(transcendental) 연역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 대상은 인식주관에 의해서 구성되는 바의 것
결론: 대상의 경험의 조건 = 경험 대상의 조건
경험의 조건 : 우리에게는 순수직관이라는 것이 있다. (순수직관: 경험의 순수 재료) 순수직관에 대해서, 이는 순수하긴 하지만 질서, 통일성이 없이 그냥 주어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통해 우리에게 경험이 들어온다. (칸트 논리학은 보편, 영원불변, 절대적 성격). 순수개념이 순수직관에 적용되어 이루어질 때 순수경험. ⇒ 순수한 경험, 올바른 경험의 조건은 순수한 직관에 의해 적용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대상의 조건 : 대상에 대한 경험의 조건 → 순수직관. 인간이면 반드시 이 조건이라야 이러한 경험에 도달한다. 어떤 대상에 대한 올바른 조건: 순수직관, 순수개념. 순수직관, 순수개념에 근거해서 순수경험. 인간이면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이러한 조건을 통해서만 대상의 경험에 이른다. (∵ 보편적, 필연적이므로) 순수직관과 순수개념의 이런 성격 때문에 한 인간이 한 대상에 접근하려면 그런 순수직관, 개념으로서 간다. ⇒ 대상에 대한 경험조건은 바로 그 대상의 조건이 되어 버린다.
경험의 조건은 주관성의 조건: 보편성과 필연성 → 대상의 조건이 되면서 객관성의 조건이 된다. 대상이 주관밖에 있는 것이 아니게 된다. (의식 내에 존재) ⇒ 칸트 이전에는 주관 ≠ 객관이 분리되어 있었다.
칸트는
①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② 선험적 연역으로서 대상은 주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힘. 즉, gegenstand: 자기 의식 내에 있는 것. 선험적이란 대상의 조건이 경험의 조건과 합일될 때 우리에게서 우리의 경험 내용을 (구체화) 규정하는 바의 내용(구조)이다.
ex) A개념체계 vs B개념체계 :
A에서 받아들이는 개념: 자본, 신...
B에서 받아들이는 개념: 부처, 끝없는 투쟁...
이러한 개념에 의해서 A체계 안에서 어떤 것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 올바른 경험 ※ 우리의 경험을 규정해주는 조건은 경험되는 (체제 안에서) 대상의 조건이 된다.
transcendental: 칸트의 공로: 개념에 의한 선험적 성격을 보여주는데 기여.
3. 선험적 연역: 우리가 마땅한 경험을 얻기 위한 개념은 대상에 대한 (보편 필연적) 경험의 조건이 대상을 구속하는 조건이 된다.
ex) 뉴튼 vs 아인슈타인
뉴튼: 뉴튼의 개념에 의해 관찰하면 빛은 직진한다.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에 의해서 관찰하면 빛은 굴절.
아인슈타인의 체계에서는 빛은 굴절하는 것으로 관찰될 뿐 아니라 실제로 굴절한다. ⇒ 경험의 규정적 성격: 개념이 경험을 규정한다. 즉 개념이 대상을 구속한다. 어떤 체제 안에서 개념이 경험을 만들고, 그 경험이 보편적이고 필연적이 되면서 대상의 조건이 된다.
※ 칸트가 선험적 연역을 함으로써 종합판단이 이루어진다. 종합판단은, 개념에 의해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조건하에서, 세계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선험적이 된다. ex) 2+3=5 (선험적: 우리의 경험의 조건이면서 대상의 조건)
4. 규칙
구성적 규칙: 선험적. 그 체제 안에서는 보편, 필연적인 규칙 : 체제 밖에서는 확장적, 종합적 규제적 규칙: ⇒ 칸트가 보이려는 선험성은 구성적 규칙같은 우리 인식의 구조가 있다.
칸트의 문제점: 시대적 제약, 인식문제의 차이
① 칸트의 선험적 성격 기여는 막대하나, 과학적인 법칙에 대한 설명이 안된다. 칸트의 인식은 개념을 가지고 개념에 의해서만 경험하므로 가능하나, 과학적 탐구에는 미비. 우리의 인식 상황에서는 어떤 자연법칙을 우리가 계속 찾아간다.
② 칸트 시대에는 보편, 필연적인 하나의 체계 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는 각기 다른 체계가 있으므로, 이런 체계에서는 인식의 구조가 달라진다. 칸트는 체계의 다원성에는 부족했다.
추천자료
패션의 이해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현대 프랑스 언어] 빌레르 코트레,아카데미 프랑세즈, 현대 프랑스언어정책 분석
실학주의에 대해
The Great Vowel Shift
대모음추이 (the great vowel shift) 에 대한 설명
보건교과의 교수학습법
르네상스 음악과 바로크 음악
15~18세기 유럽의 발전(정치,경제)
루소교육 사상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
르네상스 시기의 과학과 기술
사회경제사상사
[아동연구의 역사] 아동연구의 발전과정(아동발달연구의 발달과정)
[파우스트 작품연구] 파우스트 작품의 특성,배경분석과 파우스트 줄거리분석및 독후감과 느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