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설날(음력 1월 1일)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
단오(음력 5월 5일)
한가위(음력 8월 15일)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
단오(음력 5월 5일)
한가위(음력 8월 15일)
본문내용
설날(음력 1월 1일)
설은 한 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1일이 설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 섧다는 말로 슬프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 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에게 부 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한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받는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 한다. 세배하러 온 사람에게는 설음식과 설술, 떡국 등을 대접한다. 떡국은 꿩 고기를 넣고 끓이는데 꿩 고기가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넣고 끓였다. 그래서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생겼다.
설은 한 해가 시작되는 첫날 음력 1월1일이 설날이다. 설이라는 말은 '사린다'에서 온 말로 조심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 섧다는 말로 슬프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설이란 그저 기쁜 날이라기보다 한 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여겨왔다. 그래서 설날을 신일(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날에는 바깥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집 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낸다.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에게 부 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한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받는다. 이렇듯 새해 첫날인 설날은 하루 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 한다. 세배하러 온 사람에게는 설음식과 설술, 떡국 등을 대접한다. 떡국은 꿩 고기를 넣고 끓이는데 꿩 고기가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넣고 끓였다. 그래서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생겼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세시민속놀이의 종류와 해설
의례화된 데이문화
동지의 명칭과 기원, 동짓날 행해졌던 대표적인 세시풍속과 동지를 제재로 한 당시를 통해 그...
노인과 정신건강
[12절기와 의복][12절기와 음식][12절기와 술][계절별 음식][계절별 김치][12절기][의복][음...
[줄다리기][줄다리기의 지역별 사례][줄다리기의 교육적 시사점]줄다리기의 역사, 줄다리기의...
추석(중추절, 한가위)의 유래와 의의 및 어원, 추석(한가위)의 절식, 추석(한가위)의 민속과 ...
사회복지시설 현물지원사업 신청서 - 제 7회 장애인과 함께하는 한가위 어울마당 행사계획(안)
한국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권위주의, 동질성 추구, 소통의 문화, 유교와 한국의 역동성, 한...
엠엠씨-보육과정-표준보육과정에 준하여 연간월간 교육계획안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 유래, 교육적 효과,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널뛰기 전승, ...
일본의 음식문화
우리나라의 음주문화에 대해 토론해 보세요
추석행사 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