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드민턴 규칙
역사
특성 및 효과
시설 및 용구
코트
포스트와 네트
라켓
라켓의 밸런스
셔틀콕
내용과 방법
기초 기능
가. 그립
이스턴 그립 웨스턴 그립
나. 풋워크
다. 스트로크
오버헤드 스트로크의 속도
라. 서비스
응용 기능
가. 클리어
나. 드롭(drop)과 커트(cut)
다. 스매시(Smash)
라. 헤어핀(hairpin)
마.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바. 드라이브(drive)
사. 푸시(push)
경기 전술
단식 경기 전술
복식 경기
경기 방법 및 규칙
세팅
체인지 엔드
서비스
득점
반칙
기타 반칙
역사
특성 및 효과
시설 및 용구
코트
포스트와 네트
라켓
라켓의 밸런스
셔틀콕
내용과 방법
기초 기능
가. 그립
이스턴 그립 웨스턴 그립
나. 풋워크
다. 스트로크
오버헤드 스트로크의 속도
라. 서비스
응용 기능
가. 클리어
나. 드롭(drop)과 커트(cut)
다. 스매시(Smash)
라. 헤어핀(hairpin)
마.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바. 드라이브(drive)
사. 푸시(push)
경기 전술
단식 경기 전술
복식 경기
경기 방법 및 규칙
세팅
체인지 엔드
서비스
득점
반칙
기타 반칙
본문내용
없다. 따라서 두 선수간에 오랜 연습이 필요하며, 역할 분담뿐만 아니라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작전이 필요하다.
복식 경기의 전술적 대형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대형, 업 앤 백 대형, 인 앤 아웃 대형, 다이애그널 대형, 로테이션 대형 등이 있다.
경기 방법 및 규칙
배드민턴 경기는 크게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구분된다. 단체전은 3단식 2복식제와 2단식 1복식제가 있으며 개인전은 남녀 단식, 남녀 복식 그리고 혼합 복식으로 나뉘어진다.
시합의 승패는 3게임을 실시하여 2게임을 먼저 선취한 쪽이 승자가 된다. 그리고 한 게임의 득점수는 남자 단식과 복식 경기는 15점이며, 대회에 따라 21점의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여자단식은 11점, 여자복식과 혼합복식은 15점 경기로 이루어진다.
세팅
세팅(setting)이란 다른 종목과 달리 배드민턴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연장전 방법이다. 세팅은 11점 게임에서는 10대10일때, 또는 15점 게임에서는 14대14가 될 때(21점 게임에서는 20대20이 될 때)에 그 득점을 선취한 선수의 의사에 따라 세팅 여부가 결정된다. 선택권은 먼저 14점(여자 단식의 경우, 10점)을 선취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경기종목 세팅 점수 승부
남자 단식,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15점)
14 : 14일 경우
3점을 먼저 얻은 팀이 승리
여자단식
10 : 10일 경우
2점을 먼저 얻은 팀이 승리
체인지 엔드
체인지 엔드(change end)란 코트의 조건을 동등하게 하기 위하여 한 게임마다 코트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게임이 1대1이 되어 세번째의 게임을 행하는 경우에는 세번째 게임의 도중에 한번 더 코트를 바꾸게 된다. 이러한 경우 11점 게임일 때에는 6점, 15점 게임일 때는 8점, 21점 게임일 때는 11점에서 코트를 이동하게 된다.
서비스
경기 개시 후 첫 게임의 서비스(service)는 토스(toss)로 결정한다. 토스에서 이긴 쪽은 최초의 서비스 권리와 코트의 선택의 권리 중 하나를 먼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게임의 첫 서비스권은 전 게임의 승자가 갖는다.
득점
서비스권을 갖고 있는 쪽에서 이겼을 경우에만 득점(point)이 되며, 리시브쪽이 이겼을 경우에는 득점은 되지 않고 서비스권만 갖게 된다.
반칙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칙이 된다.
오버핸드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라켓 헤드의 부분이 라켓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오버 웨이스트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셔틀콕의 타구 위치가 허리보다 높을 때
라인 크로스
서비스 때 :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서 정지한 자세로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이 때,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리시브 때 : 리시브 준비 자세시 코트 내의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아웃 : 서비스된 셔틀콕이 바로 리시브 코트 내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 그러나 셔틀콕이 네트에 스쳐서 리시브 코트에 들어갔을 때나, 라인 상에 떨어진 경우에는 인(in)이 된다.
풋 폴트
서비스 동작 : 서비스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와 리시버의 양 발 중 일부가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타 반칙
▷ 게임 중 경기자의 신체나 옷 혹은 라켓이 네트나 포스트에 닿았을 때
▷ 셔틀콕을 순간적으로 튕겨 치지 않고 라켓의 면에 일시 정지시킬 때
▷ 1명의 선수가 계속해서 두 번 셔틀콕을 쳤을 때
▷ 셔틀콕이 네트 아래로 지나갔을 때
▷ 라켓이나 신체의 일부라도 네트 수직 위를 넘어갔을 때
▷ 경기자가 코트 밖에 나가 있을 때나, 셔틀콕이 마루면에 떨어지기 전에 신체에 닿았을 때
복식 경기의 전술적 대형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대형, 업 앤 백 대형, 인 앤 아웃 대형, 다이애그널 대형, 로테이션 대형 등이 있다.
경기 방법 및 규칙
배드민턴 경기는 크게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구분된다. 단체전은 3단식 2복식제와 2단식 1복식제가 있으며 개인전은 남녀 단식, 남녀 복식 그리고 혼합 복식으로 나뉘어진다.
시합의 승패는 3게임을 실시하여 2게임을 먼저 선취한 쪽이 승자가 된다. 그리고 한 게임의 득점수는 남자 단식과 복식 경기는 15점이며, 대회에 따라 21점의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여자단식은 11점, 여자복식과 혼합복식은 15점 경기로 이루어진다.
세팅
세팅(setting)이란 다른 종목과 달리 배드민턴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연장전 방법이다. 세팅은 11점 게임에서는 10대10일때, 또는 15점 게임에서는 14대14가 될 때(21점 게임에서는 20대20이 될 때)에 그 득점을 선취한 선수의 의사에 따라 세팅 여부가 결정된다. 선택권은 먼저 14점(여자 단식의 경우, 10점)을 선취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경기종목 세팅 점수 승부
남자 단식,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15점)
14 : 14일 경우
3점을 먼저 얻은 팀이 승리
여자단식
10 : 10일 경우
2점을 먼저 얻은 팀이 승리
체인지 엔드
체인지 엔드(change end)란 코트의 조건을 동등하게 하기 위하여 한 게임마다 코트를 바꾸는 것을 말한다. 게임이 1대1이 되어 세번째의 게임을 행하는 경우에는 세번째 게임의 도중에 한번 더 코트를 바꾸게 된다. 이러한 경우 11점 게임일 때에는 6점, 15점 게임일 때는 8점, 21점 게임일 때는 11점에서 코트를 이동하게 된다.
서비스
경기 개시 후 첫 게임의 서비스(service)는 토스(toss)로 결정한다. 토스에서 이긴 쪽은 최초의 서비스 권리와 코트의 선택의 권리 중 하나를 먼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게임의 첫 서비스권은 전 게임의 승자가 갖는다.
득점
서비스권을 갖고 있는 쪽에서 이겼을 경우에만 득점(point)이 되며, 리시브쪽이 이겼을 경우에는 득점은 되지 않고 서비스권만 갖게 된다.
반칙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칙이 된다.
오버핸드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라켓 헤드의 부분이 라켓을 잡고 있는 손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오버 웨이스트 : 서버가 서비스를 넣는 순간에 셔틀콕의 타구 위치가 허리보다 높을 때
라인 크로스
서비스 때 : 서버는 서비스 코트 내에서 정지한 자세로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이 때,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리시브 때 : 리시브 준비 자세시 코트 내의 라인을 밟든지 넘겨 디뎠을 때
아웃 : 서비스된 셔틀콕이 바로 리시브 코트 내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 그러나 셔틀콕이 네트에 스쳐서 리시브 코트에 들어갔을 때나, 라인 상에 떨어진 경우에는 인(in)이 된다.
풋 폴트
서비스 동작 : 서비스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 서버와 리시버의 양 발 중 일부가 서비스 코트 내에 정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
기타 반칙
▷ 게임 중 경기자의 신체나 옷 혹은 라켓이 네트나 포스트에 닿았을 때
▷ 셔틀콕을 순간적으로 튕겨 치지 않고 라켓의 면에 일시 정지시킬 때
▷ 1명의 선수가 계속해서 두 번 셔틀콕을 쳤을 때
▷ 셔틀콕이 네트 아래로 지나갔을 때
▷ 라켓이나 신체의 일부라도 네트 수직 위를 넘어갔을 때
▷ 경기자가 코트 밖에 나가 있을 때나, 셔틀콕이 마루면에 떨어지기 전에 신체에 닿았을 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