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의 반대와 그 이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본문내용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 말을 보수적이며, 능률적이지 않는 사상이라고 비판하기 전에 한 가지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이러한 말들이 우리의 과거 역사와 문화를 말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과거로부터 내려온 이러한 사상으로 인해서 동거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어떠한 제도든 그 나라의 전통적인 문화에 거슬리는 것은 쉽게 받아들일 수 없다. 그것이 경제적이며 능률성을 가져온다고 해도 과거로부터 내려온 우리의 의식을 쉽게 바꿀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동거가 서구 사회처럼 ‘또 하나의 가족’ 형태로 등장할 수 없는 것처럼 동거를 받아들이기에는 사회적 제도, 인식에서도 부족한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동거는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보며 동거를 반대한다.
3. 결 론
지금까지 우리는 동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동거를 반대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첫째, 동거는 결혼 후의 삶을 위해서 결혼 전의 삶을 담보로 할 수 없으며, 사랑의 결실인 결혼의 신성함을 퇴색시킨다. 행복한 결혼을 위해서 동거를 하여 선택한다는 것은 현재의 삶을 담보로 하는 것과 같으며, 동거를 통한 결혼이 행복한 결혼을 보장 할 수 없다. 또한 결혼은 사랑의 결실로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며 행복한 결혼생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는 것으로 신성한 결혼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퇴색해서는 안된다.
둘째, 필요에 따라 동거를 하며, 성을 상품화 하는 동거생활을 할 수 있을 만큼 성의식이 문란하게 하며, 동거를 통한 현실적인 문제. 즉, 낙태, 미혼모, 영유아 유기, 성의 상품화 등의 문제점일 발생한다. 셋째, 겉으로 보이는 사회적 인식으로 동거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동거경험자와의 결혼 및 동거 경험을 밝히는 것을 꺼리는 것처럼 아직은 우리나라의 사고방식을 보았을 때 긍정적이지 못하며, 동거를 받아들이기에는 시기상조이다. 우리나라에서 동거문화가 제대로 정착되려면 손쉽게 성적 욕망을 해결하고 외로움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선택하기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서로의 모든 것을 상세하게 이해하고 삶의 동반자로 함께 갈 수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긴 안목이 먼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정서와 맞지 않는 동거에 대해서 반대하는 바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09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