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혈액의 일반적 기능
2) 혈액의 구성
Ⅰ. Plasma ( 혈장 )
Ⅱ. Red blood corpuscle
Ⅲ. White blood corpuscle (WBC, Leucocyte)
Ⅳ. Platelet
Ⅴ. Hemostasis
2) 혈액의 구성
Ⅰ. Plasma ( 혈장 )
Ⅱ. Red blood corpuscle
Ⅲ. White blood corpuscle (WBC, Leucocyte)
Ⅳ. Platelet
Ⅴ. Hemostasis
본문내용
전기적 및 기계적 자극에의 노출 시에
감소한다.
* Plasminogen의 생성 및 분비에 관여한다.
b. Neutrophil(호중성구)
* 50~80% 차지한다.
* 급성염증시 현저히 증가한다. ⇒ 세균탐식능력이 가장 큰 백혈구이다.
c. Basophil(호염구)
* 1% 이하를 차지한다.
* 강력한 항응고제인 heparin을 간에서 유리시켜 함유. → 혈액응고 방지
* Histamin을 분비하여 염증부위의 치유를 촉진시킨다.
d. Monocyte(단핵구)
* 2~8% 차지한다.
* 백혈구중 가장 큰 백혈구이다.(12~15㎛)
* 혈액내 체재 24시간 후에 혈관을 나와 tissue로 들어간 다음
tissue macrophage가 된다.
* 2차 방어선 역할을 한다. 즉 세균뿐 아니라 죽은 세포의 파편,
죽은 적혈구 및 큰 이물질의 탐식, 소화의 역할을 한다.
* 만성 및 급성염증 특히 결핵성 질환 질환에 대해 특히 증가한다.
e. Lymphocyte(림프구)
* 20-50% 차지
* 임파선에서 생성
* 세균탐식능력은 없으나 항체성분인 globulin생성
* 만성염증시 현저히 증가
( 단 신경계, 림프계의 만성염증시는 림프구가 증가하지 않는다.)
ⅴ) 평균수명
a. 과립백혈구 : 일반적인 수명은 1시간-3주 (평균2주 정도이다.)
b. 림프구 : 전체수효의 20% - 2-3일
80% - 100일-200일 정도
c. 단핵구 : 과립백혈구보다 긴수명을 갖는다.
ⅵ) 백혈구 감소증과 과다증
Ⅳ. Platelet
* 무핵, 언반형의 불규칙 과립체
* 적골수에서 생성, 간, 폐, 비장에서 파괴
* 20만-30만개/mm3
* 수명 : 3일-일주일
* serotonin, histamine , ATPase, CA++, K+ 및 thromboplastin과 같은
혈액응고 인자와 효소 등을 축적하고 있다.
* 혈액응고에 관여
* 혈우병 : 혈액응고에 장애가 있는 유전적인 질환
원인 : 혈소판수효의 부족, prothrombine의 결손
Vt K의 결핍
Ⅴ. Hemostasis
* 혈액응고
혈소판파괴
출혈 -------------------> Thromboplastin발생
산소와 접한다. ↓
↓
↓ 혈장 Ca++
Prothrombin----------------> Thrombin
↓
Fibrinogen----------------->Fibrin
+
주위의 혈구
↓
혈병을 형성하여 지혈
※ 혈전용해
생체에서는 혈액이 응고된 혈전(Thrombus)을 용해시키는 섬유소용해계 (Fibrinolytic system)이 있다. 이 계의 주요성분은 Plasmin또는 Fibrinolysin, Heparin, Dicumoral이다.
※ 지혈의 이상
1. 실혈병 : 혈액응고가 지연되는 병
원인 : 혈장 Ca++의 부족
혈액응고인자(factorⅦ, Ⅸ 및 Ⅹ)의 결핍.
혈소판 수효의 감소
혈우병 (hemophilia) : 유전적인 실혈성 질환으로 모계를 통해
남자에게만 발생
2. 혈전증 : 혈관내에서 쉽게 혈액응고가 나타나는 병
감소한다.
* Plasminogen의 생성 및 분비에 관여한다.
b. Neutrophil(호중성구)
* 50~80% 차지한다.
* 급성염증시 현저히 증가한다. ⇒ 세균탐식능력이 가장 큰 백혈구이다.
c. Basophil(호염구)
* 1% 이하를 차지한다.
* 강력한 항응고제인 heparin을 간에서 유리시켜 함유. → 혈액응고 방지
* Histamin을 분비하여 염증부위의 치유를 촉진시킨다.
d. Monocyte(단핵구)
* 2~8% 차지한다.
* 백혈구중 가장 큰 백혈구이다.(12~15㎛)
* 혈액내 체재 24시간 후에 혈관을 나와 tissue로 들어간 다음
tissue macrophage가 된다.
* 2차 방어선 역할을 한다. 즉 세균뿐 아니라 죽은 세포의 파편,
죽은 적혈구 및 큰 이물질의 탐식, 소화의 역할을 한다.
* 만성 및 급성염증 특히 결핵성 질환 질환에 대해 특히 증가한다.
e. Lymphocyte(림프구)
* 20-50% 차지
* 임파선에서 생성
* 세균탐식능력은 없으나 항체성분인 globulin생성
* 만성염증시 현저히 증가
( 단 신경계, 림프계의 만성염증시는 림프구가 증가하지 않는다.)
ⅴ) 평균수명
a. 과립백혈구 : 일반적인 수명은 1시간-3주 (평균2주 정도이다.)
b. 림프구 : 전체수효의 20% - 2-3일
80% - 100일-200일 정도
c. 단핵구 : 과립백혈구보다 긴수명을 갖는다.
ⅵ) 백혈구 감소증과 과다증
Ⅳ. Platelet
* 무핵, 언반형의 불규칙 과립체
* 적골수에서 생성, 간, 폐, 비장에서 파괴
* 20만-30만개/mm3
* 수명 : 3일-일주일
* serotonin, histamine , ATPase, CA++, K+ 및 thromboplastin과 같은
혈액응고 인자와 효소 등을 축적하고 있다.
* 혈액응고에 관여
* 혈우병 : 혈액응고에 장애가 있는 유전적인 질환
원인 : 혈소판수효의 부족, prothrombine의 결손
Vt K의 결핍
Ⅴ. Hemostasis
* 혈액응고
혈소판파괴
출혈 -------------------> Thromboplastin발생
산소와 접한다. ↓
↓
↓ 혈장 Ca++
Prothrombin----------------> Thrombin
↓
Fibrinogen----------------->Fibrin
+
주위의 혈구
↓
혈병을 형성하여 지혈
※ 혈전용해
생체에서는 혈액이 응고된 혈전(Thrombus)을 용해시키는 섬유소용해계 (Fibrinolytic system)이 있다. 이 계의 주요성분은 Plasmin또는 Fibrinolysin, Heparin, Dicumoral이다.
※ 지혈의 이상
1. 실혈병 : 혈액응고가 지연되는 병
원인 : 혈장 Ca++의 부족
혈액응고인자(factorⅦ, Ⅸ 및 Ⅹ)의 결핍.
혈소판 수효의 감소
혈우병 (hemophilia) : 유전적인 실혈성 질환으로 모계를 통해
남자에게만 발생
2. 혈전증 : 혈관내에서 쉽게 혈액응고가 나타나는 병
키워드
추천자료
부정맥의 유발 요인과 발생 증상 및 종류
스트레스관리 기말시험 자료
PTBD관리법
[논문] 사상의학과 우리 생활
치매, 파킨슨, 뇌졸중의 증상,진단,치료,간호
외과_-_수술전후간호
유전병의 원인과 종류 및 치료
[장애인 복지론] 뇌병변장애에 대해서
SDH(경막하출혈, 경막하혈종) 사례연구.pptx
[식품공 저장학] 식육 및 식육공.pptx
[보건교육B]흡연여성의 금연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
당뇨+망막병증case+study+A+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