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랩결과(LAB) 혈액랩결과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상랩결과(LAB) 혈액랩결과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혈액의 성분과 작용
1. 정의
2. 종류
3. 준비사항
4. 검사방법
5. 관련검사법
6. 진단질병
7. 검사별 정상수치

본문내용

g
⊙급성 실혈
⊙용혈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
8) 기타 RDW, PCT, MPV, PDW
적혈구와 혈소판에 관련된 검사로 적혈구와 혈소판이 정상이다면 큰 의의가 없으나 비정상이다면 참조할수 있는 검사법이다.
* RDW (Red Cell Distribution Width - 적혈구입자 분포폭 )
정상참고치 : 10.9-15.7 %
개개의 적혈구가 얼마나 고른 크기를 가지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나타낸 것.
적혈구 크기가 대부분 비슷하다면 표준편차가 줄어들어 결과치는 작아지게 되며 크고 작은 다양한 크기의 적혈구가 많이 존재한다면 결과치는 커지게 된다.
* PCT - 혈소판 관련
정상참고치 : 015-0.48 %
* MPV(Mean Platelet Volume) - 평균 혈소판 용적
정상참고치 : 6.3-12.6 fl
* PDW(Platelet Distribution Width - 혈소판 입자 분포폭)
정상참고치 : 10.0-18.0 fl
RDW와 마찬가지로 혈소판의 크기가 얼마나 고른분포를 가지는지를 통계적으로 나타낸 것.
비정상 혈소판이 많아지면 표준편차가 커져서 결과치가 상승하게 된다.
즉, 결과치가 상승한다는 것은 크고 작은 다양한 혈소판이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결과치가 작다은 것은 혈소판 크기가 일정하다는 뜻이다.
⊙증가 - 거대적아구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혈소판 이양증, 만성골수성 백혈병 등.
⊙감소 - 의미 없음.
- 진단검사 종류, 정상범주, 임상적 의의
1) Hematology.
항목
정상범주
임상적 의의
WBC
4~10.8 10ˇ3/uL
↑ 만성백혈병, 급성감염증
↓ 재생불량성 빈혈, 과립구감소증, 악성빈혈
Hgb
14~18g/dl
↑ 적혈구과다증
↓ 빈혈
Hct
42~52%
↑ 구토, 선천성 심질환
↓ 철결핍성 빈혈, 빈혈, 부종
MCV
80~94pg
↑ 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 철결핍성 빈혈
MCH
27~33
MCHC
33~37g/dl
PLT
130~400 10ˇ3/uL
↑ 만성백혈병, 진성다혈구증, 출혈, 골절
↓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shock
MPV
7.2~11.1fL
평균 혈소판 개수
2) Blood Chemistry.
항목
정상범주
임상적 의의
Na
135~145
mEq/L
↑ 수분결핍, 염분과잉, 신질환
↓ 구토, 만성신부전증, Addison's병, 당뇨병성 acidosis
K
3.7~5.0
mEq/L
↑ 요독증, 부신부전증, 신장염, 백혈병
↓ 원발성 aldosteron증, Cushing syndrome
Cl
98~110
mEq/L
↑ 탈수증, 만성신장염, 염분과잉, 화상
↓ Addison's병, 구토, 신우신염, 과식
T. Protein
6.7~8.3g/dl
↑ 탈수증 골수종, 자가면역질환, 간경변, 악성종양
↓ 영양부족, 간경변, 악액질, nephrosis
Albumin
3.8~5.3g/dl
↓ 간질환, 신증후군, 영양불량
T.Bilirubin
0.2~1.3mg/dL
↑ 간질환, 급.만성간염, 간경변
Cholesterol
120~220
mg/dl
↑ nephrosis, 담도폐쇄,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 간경변, 영양실조, 갑상선기능항진증, 악성빈혈
A.S.T.
10~34IU/L
↑ 급성간염, 심근경색(OT>PT), 근질환 (OT>PT), 악성종양, 폐쇄성황달, 알콜성 간염
↓ 간장괴사
A.L.T
7~38IU/L
γ-G.T.
7~40IU/L
아미노산 글루타민산 분해효소, 주로 알코올성 간장애시 상승. 흔히 지방간 수치라고 함.
Glucose
70~110
mg/dl
↑ 당뇨병, 요독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비만, 임신, 간질환
↓ 간장애, 인슐린 과잉증
B.U.N.
8~20
mg/dl
↑ 신부전, 간경변, 요독증, 악성종양
↓ 임신, 저단백식, 간부전, 요붕증
Creatine
0.8~1.2mg/dl
↑ 신기능장애
↓ 근 dystrophy, 임신
Uric acid
4.0~7.0mg/dl
↑ 통풍, 비만, 신질환, 백혈병
↓ 임신, Wilson's disease
Inoganic. P
2.5~4.5
mg/dl
↑ 만성신장염, 신부전증, vit D 과잉
↓ 구루병, 골연화증, 부갑상선 기능항진
Ca.
8.1~10.4
mg/dl
↑ 비타민D 과잉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악성종양
↓ 부갑상선기능저하증, Vit D결핍증, 골연화증, 신부전증
[ 참고자료 ]
- 이강이 외, 인체생리학, 현문사, 2009
- 김영활 외, 임상병리학 개론, 북샘터, 2011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09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1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