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제품개발전략과 아이디어 수집
Ⅰ. 신제품개발전략과 과정
1. 신제품개발전략
1) 기존 제품/시장과의 관련도 기준
2) 제품의 혁신도 기준
3) 개발의 초점 기준
2. 신제품의 개발과정
Ⅱ. 아이디어의 수집과 제안
1. 아이디어 정보원
1) 고객조사
2) 첨단과학 · 기술조사
3) 경쟁기업조사
4) 영엽 · 판매점조사
2. 아이디어 제안기법
1) 속성열거법
2) 강제연상법
3) 문제분석법
4) 브레인스토밍법
5) 브레인라이팅법
6) 발상체크리스트
7) 표형식 발상법
Ⅰ. 신제품개발전략과 과정
1. 신제품개발전략
1) 기존 제품/시장과의 관련도 기준
2) 제품의 혁신도 기준
3) 개발의 초점 기준
2. 신제품의 개발과정
Ⅱ. 아이디어의 수집과 제안
1. 아이디어 정보원
1) 고객조사
2) 첨단과학 · 기술조사
3) 경쟁기업조사
4) 영엽 · 판매점조사
2. 아이디어 제안기법
1) 속성열거법
2) 강제연상법
3) 문제분석법
4) 브레인스토밍법
5) 브레인라이팅법
6) 발상체크리스트
7) 표형식 발상법
본문내용
케팅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신제품개발에 있어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동안 많은 아이디어 제안기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속성열거법, 강제연상법, 문제분석법, 브레인스토밍법, 브레인라이팅법, 발상체크리스트법, 표형식 발상법 등을 들 수 있다.
(1) 속성열거법
이 기법은 대상의 속성을 열거 정리 세분화하고 개개의 속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속
성을 조합한 후 제품아이디어나 개선안을 창출하는 방법으로 기존 제품의 개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성능 외형 등 새로운 속성을 조합한 발상이므로 r생략할 것
인가, 용도를 변경할 것인가, 수정할 것인가, 확대할 것인가, 축소할 것인가, 단순화할
것인가, 대체할 것인가, 배열을 달리할 것인가, 조합해 볼 것인가J등과 같은 조합을 통
하여 유익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2) 강제연상법
이는 몇 가지 대상제품을 열거한 후 정리하여 그 가운데 하나의 제품을 선택한 후 이
를 모든 제품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기법이다.
(3) 문제분석법
새로운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구한 후, 제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아
이디어를 제안하는 기법이다. 문제분석법은 소비자에게 특정제품과 제품군의 사용법에
관하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질문하여 소비자의 수요(Needs)와 욕구(Wants)를 탐구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아이디어 모두가 개발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중요성, 영향범위, 개선비용에 의한 순위를 부여하여 선택한다.
(4) 브레인스토밍법
선발된 소수의 구성원들이 집단회의를 열고 집단의 리더가 제기한 문제에 대하여 참
가자 각자가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유용한 아이
디어를 가능한 많이 얻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그룹창조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의 구성원은 5-7명으로 구성되며 회의는 약 1시간 정도로 하는 것
이 적당하다. 문제(테마)는 가능한 한 특정화해야 하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첫
째,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비판하지 않는다. 둘째, 자유롭게 기분 좋게 이야기한
다. 셋째, 아이디어의 질보다는 많은 양의 아이디어 제안을 추구한다. 넷째, 아이디어를
조합 발전시킨다. 등 4대 원칙을 지켜야 한다.
(5) 브레인라이팅법
브레인스토밍법과 같이 자유연상에 의한 아이디어 개발방법이나 참여자들 간 문제에
대한 대화를 나누지 않고 백지에 각자의 아이디어를 적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두표
현이 그다지 세련되지 않은 집단 즉, 대화력이 약한 사람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것으로 치밀한 검토를 요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6) 발상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기법으로 단시간 내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보다 좋은 아이디어의 도출이 가능하다.
(7) 표형식 발상법
발상을 촉진하는 포인트를 정리하여 이들을 조합시켜 발상과정을 표로 순서화함으로써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는 조합발상법, 유추발상법, 시즈발상법 등 3가지 방법이 있다.
조합발상법은 5W1H등 과제에 대한 소비자 니즈로부터 발상의 포인트를 미리 정리해 두고 조합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이다. 니즈는 있는데 아이디어가 부족한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유추발상법은 상품이 갖는 상식적인 성질을 반대로 보아 키워드로부터 유사성을 찾아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시즈발상법은 기술시즈를 기본으로 신제품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기법으로 시즈의 속성을 기초기술과 제품에 조합시키는 법, 시즈의 속성 그 자체를 발상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변화시키는 법, 시즈와 상품을 조합시키는 법 등 세 가지 방법이 있
다.
신제품개발에 있어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동안 많은 아이디어 제안기법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속성열거법, 강제연상법, 문제분석법, 브레인스토밍법, 브레인라이팅법, 발상체크리스트법, 표형식 발상법 등을 들 수 있다.
(1) 속성열거법
이 기법은 대상의 속성을 열거 정리 세분화하고 개개의 속성을 변화시켜 새로운 속
성을 조합한 후 제품아이디어나 개선안을 창출하는 방법으로 기존 제품의 개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성능 외형 등 새로운 속성을 조합한 발상이므로 r생략할 것
인가, 용도를 변경할 것인가, 수정할 것인가, 확대할 것인가, 축소할 것인가, 단순화할
것인가, 대체할 것인가, 배열을 달리할 것인가, 조합해 볼 것인가J등과 같은 조합을 통
하여 유익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2) 강제연상법
이는 몇 가지 대상제품을 열거한 후 정리하여 그 가운데 하나의 제품을 선택한 후 이
를 모든 제품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기법이다.
(3) 문제분석법
새로운 정보를 소비자로부터 구한 후, 제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아
이디어를 제안하는 기법이다. 문제분석법은 소비자에게 특정제품과 제품군의 사용법에
관하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질문하여 소비자의 수요(Needs)와 욕구(Wants)를 탐구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아이디어 모두가 개발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중요성, 영향범위, 개선비용에 의한 순위를 부여하여 선택한다.
(4) 브레인스토밍법
선발된 소수의 구성원들이 집단회의를 열고 집단의 리더가 제기한 문제에 대하여 참
가자 각자가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유용한 아이
디어를 가능한 많이 얻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그룹창조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의 구성원은 5-7명으로 구성되며 회의는 약 1시간 정도로 하는 것
이 적당하다. 문제(테마)는 가능한 한 특정화해야 하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첫
째,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비판하지 않는다. 둘째, 자유롭게 기분 좋게 이야기한
다. 셋째, 아이디어의 질보다는 많은 양의 아이디어 제안을 추구한다. 넷째, 아이디어를
조합 발전시킨다. 등 4대 원칙을 지켜야 한다.
(5) 브레인라이팅법
브레인스토밍법과 같이 자유연상에 의한 아이디어 개발방법이나 참여자들 간 문제에
대한 대화를 나누지 않고 백지에 각자의 아이디어를 적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두표
현이 그다지 세련되지 않은 집단 즉, 대화력이 약한 사람들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것으로 치밀한 검토를 요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6) 발상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기법으로 단시간 내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하여 보다 좋은 아이디어의 도출이 가능하다.
(7) 표형식 발상법
발상을 촉진하는 포인트를 정리하여 이들을 조합시켜 발상과정을 표로 순서화함으로써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는 조합발상법, 유추발상법, 시즈발상법 등 3가지 방법이 있다.
조합발상법은 5W1H등 과제에 대한 소비자 니즈로부터 발상의 포인트를 미리 정리해 두고 조합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이다. 니즈는 있는데 아이디어가 부족한 경우 이용하는 방법이다. 유추발상법은 상품이 갖는 상식적인 성질을 반대로 보아 키워드로부터 유사성을 찾아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시즈발상법은 기술시즈를 기본으로 신제품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기법으로 시즈의 속성을 기초기술과 제품에 조합시키는 법, 시즈의 속성 그 자체를 발상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변화시키는 법, 시즈와 상품을 조합시키는 법 등 세 가지 방법이 있
다.
추천자료
제주도의 관광상품성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맞벌이 부부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갈등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최근희트상품의 마케팅 전략(2% 부족할 때, T.G.I Friday's, EF소나타, LG텔레콤 '카이' ,대...
고려인삼 수출강화전략 전략, 수출마케팅 믹스 전략
환경 영향 평가에 대한 고찰과 발전 방향
[북한경제정책][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개혁 내용][북한경제개혁 평가][북한경제개혁 전망]북...
다문화가족자녀 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PB 상품 현황 실태 및 문제점, 개선방안
[중소벤처기업]중소벤처기업의 기능, 중소벤처기업의 범위, 중소벤처기업의 정책변천과정, 중...
프로스펙스(Prospecs) 회생전략
[경영학][기업조사] [기업분석]삼성정밀화학
평택항의 활성화 방안
다다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