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적 함구증의 의의
2.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적 특징
3. 선택적 함구증의 부수적 특징 및 장애
4. 선택적 함구증의 특정 문화 및 성별 특징
5. 선택적 함구증의 유병률
6. 선택적 함구증의 경과
7. 선택적 함구증의 감별 진단
8. 선택적 함구증의 아동의 진단기준
9.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놀이치료
1) 일반적인 지침
2) 인지행동적 놀이치료
2. 선택적 함구증의 진단적 특징
3. 선택적 함구증의 부수적 특징 및 장애
4. 선택적 함구증의 특정 문화 및 성별 특징
5. 선택적 함구증의 유병률
6. 선택적 함구증의 경과
7. 선택적 함구증의 감별 진단
8. 선택적 함구증의 아동의 진단기준
9. 선택적 함구증 아동의 놀이치료
1) 일반적인 지침
2) 인지행동적 놀이치료
본문내용
는 것을 완화시키고 치료상황에 빨리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 초기에 형제나 부모, 친한 또래를 함께 치료세션에 들어오게 하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④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는 어렵다는 것이 문헌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 말을 안하거나 행동을 안 하는 아동을 치료하는 것은 치료자에게는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이다. 함구증 어린이들과 길고 어려운 시절을 보내는 치료자들은 “어린이 들이 그들 스스로가 준비될 때 말을 찾을 것이다.”라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2) 인지행동적 놀이치료
인지행동적 놀이치료는 아동과의 작업에 인지-행동원리에 입각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것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치료에서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는 것을 배우는 데 효과적이다. 인지행동적 놀이치료는 단기의, 제한된 시간안에 구조화되고 직접적인, 문제중심적인 치료이다.
① 놀이를 통해 아동을 치료에 개입시킨다.
② 치료자는 아동의 사고, 감정, 환상, 환경에 집중한다.
③ 아동에게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적응적 전략을 가르친다.
④ 경험적으로 입증된 기법들을 통합한다. 경험적으로 입증된 기법의 하나인 모델링은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다. 모델링은 아동에게 특수하고 구체적이고 비언어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필요 때문에 인지행동적 놀이치료의 기본이 된다.
⑤ 치료자와 아동이 함께 목표를 세우고, 놀잇감과 활동을 고른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방법이다.
⑥ 인지행동적 놀이치료자는 아동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 교육자의 역할을 한다.
⑦ 아동이 새로운 기술과 행동을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 칭찬과 해석을 사용한다.
④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는 어렵다는 것이 문헌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 말을 안하거나 행동을 안 하는 아동을 치료하는 것은 치료자에게는 가장 어려운 일 중의 하나이다. 함구증 어린이들과 길고 어려운 시절을 보내는 치료자들은 “어린이 들이 그들 스스로가 준비될 때 말을 찾을 것이다.”라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2) 인지행동적 놀이치료
인지행동적 놀이치료는 아동과의 작업에 인지-행동원리에 입각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이것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치료에서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는 것을 배우는 데 효과적이다. 인지행동적 놀이치료는 단기의, 제한된 시간안에 구조화되고 직접적인, 문제중심적인 치료이다.
① 놀이를 통해 아동을 치료에 개입시킨다.
② 치료자는 아동의 사고, 감정, 환상, 환경에 집중한다.
③ 아동에게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적응적 전략을 가르친다.
④ 경험적으로 입증된 기법들을 통합한다. 경험적으로 입증된 기법의 하나인 모델링은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다. 모델링은 아동에게 특수하고 구체적이고 비언어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필요 때문에 인지행동적 놀이치료의 기본이 된다.
⑤ 치료자와 아동이 함께 목표를 세우고, 놀잇감과 활동을 고른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방법이다.
⑥ 인지행동적 놀이치료자는 아동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부분적으로 교육자의 역할을 한다.
⑦ 아동이 새로운 기술과 행동을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 칭찬과 해석을 사용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