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쓰기 교육과정 분석
1. 내용요약
1) 쓰기 교육과정 분석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2) 쓰기 교육과정 분석표
2. Reflection ≪ 표 ≫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3. 질문거리
1. 내용요약
1) 쓰기 교육과정 분석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2) 쓰기 교육과정 분석표
2. Reflection ≪ 표 ≫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3. 질문거리
본문내용
접점에서의 글쓰기 경험 원리
의견의 차이가 드러나는 문제를 분석하고 자신의 의견 제시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조직과 전개
연역, 귀납, 유추와 같은 논리적 증명 방법 활용하여 쓰기
실제
유형 - 설득을 위한 글 쓰기
논증하는 글의 문화적 관습 고려하기
맥락
지식 - 작문의 맥락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책이나 글을 평가하는 글을 쓴다.
인용과 해설의 개념, 기능, 방법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읽은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기
실제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 뒷받침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서평이 소통되는 맥락 이해하기
맥락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문체의 효과를 고려하며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글을 쓴다.
문체의 개념, 문체의 효과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글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글의 종류, 목적, 독자를 고려하여 적절한 문체로 표현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글의 종류, 목적, 독자를 고려하여 고쳐 쓰기
기능
기능 - 작문 과정의 재고와 조정
영상언어의 특성을 살려 영상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영상언어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일상적 경험이나 사회적 사건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성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관객이나 시청자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여 영상물 만들기
실제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10학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주변 인물에 대한 전기문을 쓴다.
전기문의 일반적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주변 인물을 면담하고, 조사한 내용을 시간, 공간의 범주에 따라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전기문을 읽는 독자의 동기 고려하기
지식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주변 인물의 삶에 대해 공감하는 태도로 글 쓰기
실제
유형 - 정보 전달을 위한 글 쓰기
그림이나 사진, 그래프나 도표 등의 자료를 해석하는 글을 쓴다.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과 유의점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그림이나 사진 등을 해석하기
기능
기능 - 작문에 대한 계획
해석하는 글을 쓰는 목적과 독자 고려하기
지식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해석한 내용을 논리적 순서로 조직하여 표현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시사 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시평을 쓴다.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양한 접점에서의 글쓰기 경험 원리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태도 가지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청중이 공유하고 있는 체험, 사고, 가치를 고려하면서 식사문을 쓴다.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양한 접점에서의 글쓰기 경험 원리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태도 가지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예술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드러내는 비평문을 쓴다.
예술 작품을 평가하는 글의 일반적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면적 피드백 원리
예술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 떠올리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예증의 방법을 통해 논지 전개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비평문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맥락 이해하기
맥락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2. Reflection
언어 사용의 기능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쓰기 영역 역시 내용체계의 분류에 있어 기능이 압도적으로 많이 등장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용체계에 있어서는 기능에 들어가더라도 고등학교 <작문>의 내용체계에는 맥락이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학년과 글쓰기의 수준이 비례하여 올라감을 볼 수 있다. 또한 고학년이 될수록 글쓰기의 과정과 결과의 원리의 적용이 늘어나는 것을 봐서 저학년의 다양한 방식과 전략의 글쓰기를 포함한 좀 더 균형 잡힌 글쓰기가 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표를 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쓰기 원리에 대해 논하는 부분이 읽기 교육과정에서 논했던 것과 달리 적용이 힘들었다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괴리되어있다 함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쓰기의 경우 어느 한 원리에 국한해서 생각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 같다.
3. 질문거리
내용 체계의 적용에 있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지식과 기능이다. 또 고등학교 <작문> 내용 체계의 적용에 있어 많이 등장하는 것 역시 지식 - 작문의 성격,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이다. 이를 보면 쓰기 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부분이 글의 성격과 글 내용의 생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쓰기에 있어서 이것들이 중요하다는 점은 공감한다. 다만 글을 쓰고 다시 되돌아보게 하는 정리와 고쳐 쓰기의 부분이 적다는 점은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문제되고 있는 부분 역시 글을 쓰는 과정보다도 글을 되짚어 읽어 보는 부분을 생략해 버린다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글의 약점, 문제점을 깨닫지 못할뿐더러 다른 글쓰기를 할 때도 그대로 적용되어 같은 실수를 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쓰기 교육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쓰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을 쓰고 난 후 다시 한 번 글을 읽고 고치는 퇴고의 과정을 중시하도록 하는 습관적인 측면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의견의 차이가 드러나는 문제를 분석하고 자신의 의견 제시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조직과 전개
연역, 귀납, 유추와 같은 논리적 증명 방법 활용하여 쓰기
실제
유형 - 설득을 위한 글 쓰기
논증하는 글의 문화적 관습 고려하기
맥락
지식 - 작문의 맥락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책이나 글을 평가하는 글을 쓴다.
인용과 해설의 개념, 기능, 방법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읽은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기
실제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 뒷받침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서평이 소통되는 맥락 이해하기
맥락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문체의 효과를 고려하며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글을 쓴다.
문체의 개념, 문체의 효과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조언하거나 충고하는 글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글의 종류, 목적, 독자를 고려하여 적절한 문체로 표현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글의 종류, 목적, 독자를 고려하여 고쳐 쓰기
기능
기능 - 작문 과정의 재고와 조정
영상언어의 특성을 살려 영상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영상언어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일상적 경험이나 사회적 사건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성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관객이나 시청자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여 영상물 만들기
실제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10학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주변 인물에 대한 전기문을 쓴다.
전기문의 일반적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주변 인물을 면담하고, 조사한 내용을 시간, 공간의 범주에 따라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전기문을 읽는 독자의 동기 고려하기
지식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주변 인물의 삶에 대해 공감하는 태도로 글 쓰기
실제
유형 - 정보 전달을 위한 글 쓰기
그림이나 사진, 그래프나 도표 등의 자료를 해석하는 글을 쓴다.
자료를 해석하는 방법과 유의점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과정과 결과의 균형성 원리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그림이나 사진 등을 해석하기
기능
기능 - 작문에 대한 계획
해석하는 글을 쓰는 목적과 독자 고려하기
지식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해석한 내용을 논리적 순서로 조직하여 표현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시사 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시평을 쓴다.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양한 접점에서의 글쓰기 경험 원리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태도 가지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청중이 공유하고 있는 체험, 사고, 가치를 고려하면서 식사문을 쓴다.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양한 접점에서의 글쓰기 경험 원리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감상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자신의 경험과 글의 내용을 관련짓기
기능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는 태도 가지기
기능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예술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드러내는 비평문을 쓴다.
예술 작품을 평가하는 글의 일반적 특성 이해하기
지식
지식 - 작문의 성격
다면적 피드백 원리
예술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 떠올리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
예증의 방법을 통해 논지 전개하기
기능
기능 - 작문 내용의 표현
비평문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맥락 이해하기
맥락
기능 - 작문 맥락의 파악
2. Reflection
언어 사용의 기능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쓰기 영역 역시 내용체계의 분류에 있어 기능이 압도적으로 많이 등장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용체계에 있어서는 기능에 들어가더라도 고등학교 <작문>의 내용체계에는 맥락이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학년과 글쓰기의 수준이 비례하여 올라감을 볼 수 있다. 또한 고학년이 될수록 글쓰기의 과정과 결과의 원리의 적용이 늘어나는 것을 봐서 저학년의 다양한 방식과 전략의 글쓰기를 포함한 좀 더 균형 잡힌 글쓰기가 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즉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표를 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쓰기 원리에 대해 논하는 부분이 읽기 교육과정에서 논했던 것과 달리 적용이 힘들었다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괴리되어있다 함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쓰기의 경우 어느 한 원리에 국한해서 생각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 같다.
3. 질문거리
내용 체계의 적용에 있어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지식과 기능이다. 또 고등학교 <작문> 내용 체계의 적용에 있어 많이 등장하는 것 역시 지식 - 작문의 성격, 기능 - 작문 내용의 생성이다. 이를 보면 쓰기 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부분이 글의 성격과 글 내용의 생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쓰기에 있어서 이것들이 중요하다는 점은 공감한다. 다만 글을 쓰고 다시 되돌아보게 하는 정리와 고쳐 쓰기의 부분이 적다는 점은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대학생들 사이에서도 문제되고 있는 부분 역시 글을 쓰는 과정보다도 글을 되짚어 읽어 보는 부분을 생략해 버린다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글의 약점, 문제점을 깨닫지 못할뿐더러 다른 글쓰기를 할 때도 그대로 적용되어 같은 실수를 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쓰기 교육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쓰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을 쓰고 난 후 다시 한 번 글을 읽고 고치는 퇴고의 과정을 중시하도록 하는 습관적인 측면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추천자료
매체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
국어과 교육의 방법과 직접 교수법
국어과 직접교수법 설명자료
기초기본학력의 의미, 기초기본학력의 중요성과 기초기본학력 지도계획, 기초기본학력 지도사...
국어과(국어교육) 교육중점, 국어과(국어교육) 교육방향,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내용체...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학습)의 기본이해와 특성, 총체적언어접근법(총체적언어학습)의 ...
서예지도(서예영역수업, 서예교육) 정의와 기반조성, 서예지도(서예영역수업, 서예교육) 기본...
국어과교과서(국어교과서)의 특징, 국어과교과서(국어교과서)의 기능, 국어과교과서(국어교과...
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동)의 정의와 특성, 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동)의 직업교육과 읽기...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 외국어영역의 평가, 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 외국어영역의 EBS강의와...
학교통일교육의 목적, 학교통일교육의 변천사, 학교통일교육의 기본방향, 학교통일교육의 활...
[상위인지]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개념,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분류, 상위인...
어휘력 평가의 현황
체육수업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