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화법 교수⋅학습의 원리, 평가 및 '듣기' 교육 과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화법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화법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할까?

● 듣기 교육과정 분석

 ≪ 표 ≫
성취 기준
내용 요소
내용 영역
고등학교 목표

● Reflection

본문내용

의사소통 전략
내용 전개방식 파악하기
기능
내용구성
내용 전개방식의 적절성 파악하기
기능
의사소통 전략
(3) 지역 방언을 듣고 언어의 다양성과 소통의 의미를 이해한다.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쓰임 구별하기
지식
지역 방언의 문화적 가치 이해하기
맥락
지역 방언을 통한 소통의 의의 이해하기
지식
화법의 요소
(4) 영화나 연극을 보고 자신의 경험이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짓는다.
영화나 연극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화법의 유형
영화나 연극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요소 파악하기
맥락
화법의 요소
영화나 연극의 내용을 개인적 경험과 관련짓기
맥락
영화나 연극의 내용을 시대적 상황과 관련짓기
맥락
10
(1) 강의나 발표를 듣고 목적에 따라 내용을 재구성한다.
내용의 흐름 파악하기
기능
내용 구성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 선별하기
기능
내용 구성
듣는 목적에 맞게 내용 재구성하기
기능
내용 구성
시청각 보조 자료의 효율성 판단하기
기능
매체 활용
(2)토론을 듣고 찬성과 반대의 입장을 비교하여 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한다.
논제와 하위 쟁점 파악하기
기능
내용 구성
찬반 양측의 주장과 근거 비교하기
기능
의사소통 전략
논제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 정리하기
기능
내용 구성
논제와 관련된 자료 더 찾아보기
기능
(3)사회 방언을 듣고 언어적 다양성을 이해한다.
사회 방언의 특성 이해하기
지식
화법의 성격
사회 방언의 다양한 표현 조사하기
기능
언어적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사회 방언에 반영된 집단의 특성 파악하기
지식
사회 방언의 소통 기능 이해하기
기능
화법의 요소
(4)공연 예술의 소통 방식과 표현 특성을 이해한다.
연행의 언어적 관습과 표현 특성 이해하기
지식
화법의 유형
청중의 공감을 유도하기 위한 표현 이해하기
기능
언어적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공연 예술의 언어 문화적 가치 이해하기
맥락
화법의 요소
● Reflection
이 과제를 하면서 수능에서 국어 듣기 평가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을 때 이상하다고 생각했던 것 떠올랐다. 영어 듣기라면 몰라도 국어 듣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항상 이루어지는 것인데 그것을 평가할 이유도, 방법도 없다고 생각했었다. 국어 듣기 평가를 하면서도 단지 집중력을 평가하는 정도가 아닌가 생각했었다. 그러나 과제를 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그 ‘듣기’가 여러 형태로 이루어지는 만큼 그 과정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서 어떻게 하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1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