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본문내용
정도 이자를 덜 내게 됐다. 재건축 용적률완화·임대주택 의무비율 폐지·분양가 상한제·전매 제한…. 박 회장에게 유리한 법은 개정됐거나 국회에서 개정 절차를 밟고 있다. 박 회장은 “정부가 대기업과 건설회사 중심으로 정책을 펴줘서 나야 고맙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의 1% 아니 0.1%를 위해정부가 이래도 되는지 솔직히 걱정이 된다.”라고 말했다. 박회장은 이명박 정부 정책이 부자를 위한 정책이 아니라 ‘0.1%’ 갑부들을 위한 정책이라고 말했다.
도대체 이건 무슨 경우인지 알 수가 없다. 서민들을 저버리고 부자정책을 내세워 기득권 층을 살리려고 했는데 기득권층은 부자가 아닌 대한민국 0.1%만을 위한 정책이라고 불만을 토로 하고 있고, 또한 막상 큰 혜택을 누리는 0.1%의 재벌들 마저도 자기들은 좋지만 솔직히 나라는 걱정된다는 식의 발언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온갖 혜택을 다 누리는 최상위층 조차도 우리나라를 걱정하고 있으니, 누리는 혜택은 하나도 없이 뼈 빠지는 서민들은 도대체 어떨까.
지금 사태를 보면, 각계각층에서 여러 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의 이명박 정부는 정녕 국민의 절절한 소리를 언제까지 귀기울이지 않고 흘려 보낼까. 대한민국의 헌법 제 1조를 보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고,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라고 밝히고 있다. 국민이 바로 국가의 주인이고 대통령 인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이명박 정부의 정치 스타일은 민주주의 라기 보다는 독재적이다. 이를 두고 ‘민주주의의 역행’ 이라는 우려의 소리도 사회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촛불시위 강제진압, 용산참사의 과잉진압 등의 사태를 들어 봤을 때 과거 군부독재정권의 시대가 다시 오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과 두려움을 요즘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최근 이명박 정부가 다시 내세우는 정책 중 하나로 ‘4대강’ 정책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새로운 정책이 아니다. 이미 국민 대부분이 반대하여 실행하지 않기로 했던 대운하 정책이다. 국민 대부분이 반대하는 정책을 정책명 까지 바꿔 가면서 기어이 실행하고자 하는 지 이해 할 수가 없다. 이 4대강 정책을 실행하는 데에는 22조가 넘는 어마어마한 금액이 소요 된다고 한다. 이 예산을 소외 계층을 위한 복지에 쏟아 붓는다면, 칸트적 측면에서 봤을 때도, 맹자의 4단적 측면에서 봤을 때도, 그리고 공리주의적 측면에서도 봤을 때도 옳은 정책이 아닐까?
도대체 이건 무슨 경우인지 알 수가 없다. 서민들을 저버리고 부자정책을 내세워 기득권 층을 살리려고 했는데 기득권층은 부자가 아닌 대한민국 0.1%만을 위한 정책이라고 불만을 토로 하고 있고, 또한 막상 큰 혜택을 누리는 0.1%의 재벌들 마저도 자기들은 좋지만 솔직히 나라는 걱정된다는 식의 발언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온갖 혜택을 다 누리는 최상위층 조차도 우리나라를 걱정하고 있으니, 누리는 혜택은 하나도 없이 뼈 빠지는 서민들은 도대체 어떨까.
지금 사태를 보면, 각계각층에서 여러 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의 이명박 정부는 정녕 국민의 절절한 소리를 언제까지 귀기울이지 않고 흘려 보낼까. 대한민국의 헌법 제 1조를 보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고,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라고 밝히고 있다. 국민이 바로 국가의 주인이고 대통령 인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이명박 정부의 정치 스타일은 민주주의 라기 보다는 독재적이다. 이를 두고 ‘민주주의의 역행’ 이라는 우려의 소리도 사회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촛불시위 강제진압, 용산참사의 과잉진압 등의 사태를 들어 봤을 때 과거 군부독재정권의 시대가 다시 오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과 두려움을 요즘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최근 이명박 정부가 다시 내세우는 정책 중 하나로 ‘4대강’ 정책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새로운 정책이 아니다. 이미 국민 대부분이 반대하여 실행하지 않기로 했던 대운하 정책이다. 국민 대부분이 반대하는 정책을 정책명 까지 바꿔 가면서 기어이 실행하고자 하는 지 이해 할 수가 없다. 이 4대강 정책을 실행하는 데에는 22조가 넘는 어마어마한 금액이 소요 된다고 한다. 이 예산을 소외 계층을 위한 복지에 쏟아 붓는다면, 칸트적 측면에서 봤을 때도, 맹자의 4단적 측면에서 봤을 때도, 그리고 공리주의적 측면에서도 봤을 때도 옳은 정책이 아닐까?
추천자료
1960-1970년대 한국경제의 성장과정에 관한 고찰
장애인과 인권에 관한 연구
장애인과 인권
교양과목 금연에 대한 레포트
한국 보수주의에 관한 연구
그린피스
[e비즈니스] IPTV의 개요와 쟁점 및 향후전망 분석
[전자화폐][전자화폐 기술][인터넷]미국과 일본의 전자화폐, 프랑스와 독일의 전자화폐, 홍콩...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를 읽고 - 자본주의의 진실을 살펴보다
컴퓨터게임과매체의폭력적이고자극적인것이아동에미치는심리적영향
실버산업의 용품 분과에 대한 조사
교수홈페이지조사 및, 언론에 언급된 교수자료조사
청소년경제교실 강의 ppt자료
[서민금융][서민금융 환경][서민금융 이자제한법][서민금융 실태][해외 사례]서민금융의 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