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계류시설
수역시설
외곽시설
수역시설
외곽시설
본문내용
소규모파를 막기위한 구조물
소형선박의 보호를 위해 항내에 축조된 방파제.
도류제
하구 부분에서 물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방형(堤防形) 구조물. 도수제(導水堤)라고도 한다.
물이 진행하는 길을 안정시키거나, 하천의 토사 또는 해안의 표사(漂砂)가 하구에 침전되지 않게 하거나, 하천수의 유속을 크게 하여 하구의 수심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목적으로 설치한다.
때로는 방파제의 역할을 겸하게 하는 수도 있다.
도류제는 제방을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한 것, 널말뚝을 2열로 박고 그 사이를 채운 것, 원통형 돌망태를 짜맞춘 것 등이 있다.
도류제를 하구의 어느 쪽에 설치할 것인지는 표사의 이동방향, 하천의 흐름 방향, 하구의 지세 등에 의해 결정된다.
하구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열의 평행한 도류제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열의 도류제로는 효과가 적다.
길이가 다른 두 도류제를 설치할 때에는 표사의 아래쪽 도류제를 길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호안
일반적으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대개의 경우 하천 호안공사에는 수제(水制)공사가 따르게 마련이다. 호안을 시공장소에 따라 분류하면 제방호안·저수호안·홍수터 호안 등 세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호안 각부의 명칭은 통일성은 없으나 표준구조는 비탈덮기공·밑보호공(기초 보호)·기초다짐공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갑문
수위(水位)가 다른 두 수역(水域) 사이에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 만든 개폐 시설. 하천이나 수로(水路) 또는 운하를 가로질러 보를 쌓은 경우 보의 상하류 사이에 수위차(水位差)가 생겨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 만든 장치를 갑문이라 한다.
갑문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두 수역을 연결하는 수로의 한 곳에 수문을 설치한 것, 두 개의 록게이트와 그 사이에 선박을 수용하는 갑실(閘室,lock chamber)을 가지 는 형식으로 흔히 갑문식 운하에서 볼 수 있는 것.
선박을 낮은 수역에서 높은 수역으로 보내기 위해 점차 수위가 같은 갑실로 여러번 이동시키는 방식 등이 었다.
이 때 갑실의 수위를 조절해야 하므로 운하에서는 급배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갑문 지하에 설치한 암거(暗渠)의 밸브를 개폐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록게이트로는 두 개의 문짝이 양쪽으로 열려 통과하는 선박의 높이에 제한 없는 마이터게이트가 흔히 사용된다.
소형선박의 보호를 위해 항내에 축조된 방파제.
도류제
하구 부분에서 물의 흐름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제방형(堤防形) 구조물. 도수제(導水堤)라고도 한다.
물이 진행하는 길을 안정시키거나, 하천의 토사 또는 해안의 표사(漂砂)가 하구에 침전되지 않게 하거나, 하천수의 유속을 크게 하여 하구의 수심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목적으로 설치한다.
때로는 방파제의 역할을 겸하게 하는 수도 있다.
도류제는 제방을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한 것, 널말뚝을 2열로 박고 그 사이를 채운 것, 원통형 돌망태를 짜맞춘 것 등이 있다.
도류제를 하구의 어느 쪽에 설치할 것인지는 표사의 이동방향, 하천의 흐름 방향, 하구의 지세 등에 의해 결정된다.
하구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열의 평행한 도류제를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열의 도류제로는 효과가 적다.
길이가 다른 두 도류제를 설치할 때에는 표사의 아래쪽 도류제를 길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호안
일반적으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대개의 경우 하천 호안공사에는 수제(水制)공사가 따르게 마련이다. 호안을 시공장소에 따라 분류하면 제방호안·저수호안·홍수터 호안 등 세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호안 각부의 명칭은 통일성은 없으나 표준구조는 비탈덮기공·밑보호공(기초 보호)·기초다짐공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갑문
수위(水位)가 다른 두 수역(水域) 사이에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 만든 개폐 시설. 하천이나 수로(水路) 또는 운하를 가로질러 보를 쌓은 경우 보의 상하류 사이에 수위차(水位差)가 생겨 선박을 통과시키기 위해 만든 장치를 갑문이라 한다.
갑문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두 수역을 연결하는 수로의 한 곳에 수문을 설치한 것, 두 개의 록게이트와 그 사이에 선박을 수용하는 갑실(閘室,lock chamber)을 가지 는 형식으로 흔히 갑문식 운하에서 볼 수 있는 것.
선박을 낮은 수역에서 높은 수역으로 보내기 위해 점차 수위가 같은 갑실로 여러번 이동시키는 방식 등이 었다.
이 때 갑실의 수위를 조절해야 하므로 운하에서는 급배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갑문 지하에 설치한 암거(暗渠)의 밸브를 개폐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록게이트로는 두 개의 문짝이 양쪽으로 열려 통과하는 선박의 높이에 제한 없는 마이터게이트가 흔히 사용된다.
추천자료
[글로벌소싱] 글로벌소싱의 성격(개념,동기,고려사항), 글로벌소싱과 적시조달시스템, 글로벌...
[작업관리와 TOC] TOC에 대해서 설명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직무설계의 원칙, 노사관계
[전략적계획] 전략적 계획의 필요성, 전략적 경영의 과정, 전략개발
[품질경영] 품질경영의 개념과 필요성, ISO 9000 시리즈의 도입 - 품질의 객관적인 입증수단,...
[글로벌경영] 글로벌경영의 개념,필요성,장단점,실천형태,글로벌경영관리의 방향
[국제기술이전] 국제라이선싱을 통한 기술이전 -국제라이선싱의 개념과 동기, 특성, 범위, 형...
[무역정책] 무역정책의 개념과 수단
[글로벌경쟁전략의 전개] 기업의 글로벌화와 경쟁전략, 글로벌경쟁우위의 구축
[기업문화] 기업문화의 본질(개념,구성요소,평가)과 유형, 기업문화의 개발, 국가별 기업문화...
[공장배치] 공장배치절차, 시설배치의 형태, 배치형태별비교, 시설배치계획
[연합작업분석] 연합작업분석의 개념(목적,종류), 사람과 사람의 연합작업분석, 사람과 기계...
무역이론(고전적 무역이론, 근대적 무역이론, 신무역이론)-무역론의 발전과정(발달과정)
[광고예산] 광고예산수립방안(광고비와 광고예산의 접근,관리지향적방안,실험방안,회귀분석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