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이드의 정신구조론
2. 심리성적 발달(Psychosexual development)
3. 자아 방어 기제
4. 정신분석 심리 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
2. 심리성적 발달(Psychosexual development)
3. 자아 방어 기제
4. 정신분석 심리 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
본문내용
나 방어하는 것이다
퇴행 (regression) / 현실을 대처하기 어려워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려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방어기제이다. 퇴행은 단순한 유아기적 표현을 하는 것이다. 퇴행은 안전하고 즐거웠던 인생의 이전 단계로 후퇴함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성인에게 쉽게 볼 수 있는 퇴행의 형태는 화를 내거나, 말을 안 하거나, 어린아이처럼 행동하거나, 물건을 파괴하거나, 무모한 운전을 하거나 하는 등이다. 퇴행은 일시적으로는 불안을 감소시키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위의 자아방어 기제들은 심리적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견 될 수 있지만 지나치면 심리적 문제가 발생된다.
4. 정신분석 심리 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
신경증적 증후를 가진 사람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방어기제는 영구적으로 평온한 마음의 상태를 줄 수 없고 정확한 진단과 대처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방어기제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최면에 걸린 내담자를 통해 인간 내부의 역동적인 정신 세력이 무의식적으로 신경증적 증후를 유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자유 연상(free association) / 정신세력을 탐구하기위해서 내담자들은 의식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버리고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지 말을 해야 한다.
꿈의 해석(dream interpretation) / 현재몽과 잠재몽으로 나눈다. 잠재된 내용은 정신분석에서 아주 중요한 측면으로서 숨겨진 무의식적 의미를 말한다.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현재몽은 ‘타협 형성(compromise formation)'이다. 자아가 잠재의식 억압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 할 때에 악몽을 꾸게된다. 이 악몽을 ’불안몽(anxiety dream)이라한다.
상담가의 태도는 내담자가 꿈과 다른 경험들을 연상하거나 말할 때 이해와 중립적인 경험자의 역할을 취하려고 노력해야한다. 내담자에게 깊이 파묻힌 부정적인 것과 감정들을 표현할 수 있다는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담가와 내담자의 신뢰감이 인터뷰의 혼(soul)이다. 이를 상담의 라포(rapport) 또는 관계성(relationship)이라고 한다. 상담전문직은 관계가 본질이다.
전이(transferance) / 정신분석치료는 내담자의 과거 회상이 필수적이다. 무의식 속에 숨어있는 아동기의 감정과 갈등, 즉 정서적퇴행과 관련되어 있다. 내담자는 퇴행을 다시 경험하게 되면 과거의 정서들을 상담가에게 귀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상담가를 자기 과거속의 한 특정한 인물로 간주한다. 이 귀착의 과정을 전이라고 부른다.(예를 들어 상담가를 벌주는 아버지나 잔소리하는 어머니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담가는 내담자에게 정서적 반응을 보이는 역전이(counter transference)를 삼가야한다. 상담가는 비합리적이고 자기 기만적인 내담자들의 행동을 주의 깊고 정확하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내담자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한다. 정신분석 치료는 자아를 강화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퇴행 (regression) / 현실을 대처하기 어려워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려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방어기제이다. 퇴행은 단순한 유아기적 표현을 하는 것이다. 퇴행은 안전하고 즐거웠던 인생의 이전 단계로 후퇴함으로써 불안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성인에게 쉽게 볼 수 있는 퇴행의 형태는 화를 내거나, 말을 안 하거나, 어린아이처럼 행동하거나, 물건을 파괴하거나, 무모한 운전을 하거나 하는 등이다. 퇴행은 일시적으로는 불안을 감소시키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위의 자아방어 기제들은 심리적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견 될 수 있지만 지나치면 심리적 문제가 발생된다.
4. 정신분석 심리 치료(Psychoanalytic Psychotherapy)
신경증적 증후를 가진 사람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방어기제는 영구적으로 평온한 마음의 상태를 줄 수 없고 정확한 진단과 대처를 어렵게 하기 때문에 방어기제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최면에 걸린 내담자를 통해 인간 내부의 역동적인 정신 세력이 무의식적으로 신경증적 증후를 유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자유 연상(free association) / 정신세력을 탐구하기위해서 내담자들은 의식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버리고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무엇이든지 말을 해야 한다.
꿈의 해석(dream interpretation) / 현재몽과 잠재몽으로 나눈다. 잠재된 내용은 정신분석에서 아주 중요한 측면으로서 숨겨진 무의식적 의미를 말한다.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현재몽은 ‘타협 형성(compromise formation)'이다. 자아가 잠재의식 억압의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 할 때에 악몽을 꾸게된다. 이 악몽을 ’불안몽(anxiety dream)이라한다.
상담가의 태도는 내담자가 꿈과 다른 경험들을 연상하거나 말할 때 이해와 중립적인 경험자의 역할을 취하려고 노력해야한다. 내담자에게 깊이 파묻힌 부정적인 것과 감정들을 표현할 수 있다는 신뢰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담가와 내담자의 신뢰감이 인터뷰의 혼(soul)이다. 이를 상담의 라포(rapport) 또는 관계성(relationship)이라고 한다. 상담전문직은 관계가 본질이다.
전이(transferance) / 정신분석치료는 내담자의 과거 회상이 필수적이다. 무의식 속에 숨어있는 아동기의 감정과 갈등, 즉 정서적퇴행과 관련되어 있다. 내담자는 퇴행을 다시 경험하게 되면 과거의 정서들을 상담가에게 귀착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상담가를 자기 과거속의 한 특정한 인물로 간주한다. 이 귀착의 과정을 전이라고 부른다.(예를 들어 상담가를 벌주는 아버지나 잔소리하는 어머니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담가는 내담자에게 정서적 반응을 보이는 역전이(counter transference)를 삼가야한다. 상담가는 비합리적이고 자기 기만적인 내담자들의 행동을 주의 깊고 정확하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내담자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한다. 정신분석 치료는 자아를 강화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추천자료
유아교육학 개론 - 심리학적 기초와 사회적 기초
이청준의 퇴원을 읽고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제 12 장 성격과 관련된 행동 & 제 13 장 ‘돈’과 성격
대상관계상담이론과 치료
대상관계이론
자살의원인과종류및문제점과해결방안
에리히 프롬
인간행동과사회환경요약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부산장신대학(사이버대학)
[아동발달 B형]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가족문제 유형별 상담지침(비행청소년가족 가족상담) 보고서
가족문제유형별 상담지침(비행청소년 가족상담)
[인간발달이론] 아동발달이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