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수술 후의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심장 수술 후의 간호

1. ICU 입실과 사정
1) 수술실에서 중환자실로의 이동
2) ICU Admission
3) ICU 입실시의 처치
4) 환자 사정 및 검사

2. Early post op care
1) 심장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의 typical order
2) Icu에서의 monitoring

3. 심장 수술 후의 기본적인 생리 및 간호
1) 저체온으로 인한 Vasoconstriction 및 불충분한 심박출량 단계
2) Rewarming phase동안의 혈관 이완 및 저혈압 단계
3) Mediastinal Bleeding의 Control
4) Respiratory Management

4. Cardiovascular Management
1) 기본적인 원리
2) Low Cardiac Output Syndrome
3) Inotropic & Vasoactive Drugs
4) Hypertension
5) Vasodilators and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6) Cardiac Arrhythmias
7) Intra aortic balloon counterpulsation;
8) Circulatory Assist Device

5. Special concerns
1) Renal, Metabolic & Fluid Management & complications
2) 의식의 변화
3) Gastro Intestinal Complications
4) other considerations

본문내용

l Regurgi
-tation
LV filling Pr.를 높게 유지해 전신으로 나가는 심박출량
보조. NO gas, Mirlinone사용해 PVR, PA낮춤.
Aortic Dissection
*Type A(ascending aorta포함); 수술하며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를 시켜 수술하므로(TCA 시간 중요) 수술 전&후 신경학적 평가 중 요.
*Type B; 수술 후 paraplegia, renal failure 합병될 수 있슴.
*항고혈압약의 사용. BP Monitoring.
Thoracic Aneurysm
repair of descending thoracic & thoracoabdominal aneurysm의
thoracotomy incision으로 인공호흡기 치료에 주의.
신경학적 평가 및 상하지 움직임 관찰.
paraplegia 합병증 시 BP올리고 CSF drainage,
고용량 steroid 약물 치료 시도.
LV Aneurysm resection,
Dor op
적절한 충만압의 유지(PCWP 20~25mmHg)로 S.V.유지,
1) Renal, Metabolic & Fluid Management & complications
① 수술 시 CPB 작동으로 인한 효과
* Humoral effects
renin, aldosterone release로 Na, K정체, angiotensin Ⅱ상승으로 renal vaso
-constriction, plasma free cortisol상승으로 sodium 정체 및 K 배설 촉진.
* Hypothermia
혈관수축으로 신혈류 감소. GFR↓, renal tubular function↓.
* Hemodilution, Medication, ischemic/reperfusion injury.
* 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로 혈청 단백질 수치가 떨어지고 삼투압이 낮아지게 되어, intra
-vasular volume이 interstitial space로 이동되어 순환하는 혈관 내 volume이 부족하 다. 적절한 혈관 내 volume을 유지해야 심박출량과 조직관류가 유지된다.
② routine care; urine output은 1-2ml/kg/hr 이상이어야 한다.
* 대부분의 환자는 수술 후 수술전보다 5~10% 체중이 증가되므로 매일 체중과 I/O를 체
크, diet와 이뇨제 사용을 조절한다.
③ 일시적인 renal failure;
* 심장 수술 후 CPB효과로 인해 성인의 경우 1~2% ARF 발생(Prerenal causes).
(ischemic injury로 인해 신관류 저하, 혈관 내 volume부족으로 ARF온다.)
* 이뇨제를 사용하여 수분 과다를 줄이고 핍뇨성 신부전의 진행을 막는다.
ARF시엔 대개 고용량 loop diuretics나 renal dose dopamine사용.
만약 수분정체가 계속되고 BUN이 오른다면 inotropic support를 하면서 CAVH 혹은 투석을
한다.
2) 의식의 변화
(1) Neurologic Complications
뇌는 심박출량의 15%를 쓰고 신체 산소 공급량의 20%를 사용한다.
수술 시 관류 저하, embolism, hypoglycemia, hypoxemia로 인하여 수술 후 24~48시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
① CNS deficits;
- DM, 고령(75세 이상 시 위험율 10% 증가), 병력에 CVA, 수술 중 저혈압, 상행 대동맥 경 화증 및 석회화, 좌심실 혈전, 수술 후 심방 세동, CPB 시간이 긴 경우 발생 요인.
- 대뇌의 hypoperfusion, 색전으로 생기며 TIA 나 focal deficit이 있게 된다.
② Seizures; 저산소증, 공기, 색전, 약물과량이 원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다.
③ Encephalopathy
(2) disorientation
* delirium; 환자의 의식 상태가 급속히 변하며 개심술 환자의 심하면 30%에서 발생 보고.
* 대사 장애, 저심박출량 증후, CPB 동안에 낮은 대뇌 혈류량, 저산소증, 패혈증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심한 수술 전 불안, 수면박탈, 중환자실 환경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슴.
3) Gastro Intestinal Complications
(1) anorexia, constipation ; 전신마취, 진통제의 사용, 활동량 저하, digoxin 부작용.
(2) GI focal necrosis syndrome; 개심술 환자의 1~2%에서 생기며 낮은 심박출량 상태에서 교감신경성 혈관수축으로 관류저하가 일어나 생긴다.
4) other considerations
(1) infection(mediastinal infection),
(2) nutrition; NPO →SOW →SFD(1200Kcal, 수분 1900cc)
(3) pain; back, shoulder, neck, ant chest wall pain.
(4) pleural effusion; internal thoracic artery의 harvesting, 수술 중 국소적 cooling,
postoeri cardiotomy syndrome
< 참고 문헌 및 관련 Site >
1. Cardiothoracic Surgical Nursing, Betsy A. Finkelmeier, Lippincott, 2nd ed. 2000
2. Manual of Perioperative Care in Cardiac Surgery, Robert M. Bojar,
3rd edition, Blackwell science, 1999.
3. Comprehensive Cardiac Care, Marguerite R, Kinney, RN, DNSc, FAAn, Mosby, 1997.
4. 심장수술 환자의 처치와 간호, 김 형묵, 고려의학 1997.
5. 임상 심장학, 이 원로, 고려의학 1998.
6. http:// www.cyber-nurse.com/vectac/cham2.htm
7. ⓒ 2000 Cardiothoracic Surgery Network.
8. CTS Net home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9.2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