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일생
Ⅱ.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미학서간
Ⅲ.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인간윤리성
1. 미덕의 정의
2. 미덕의 영향
3. 인간의 사명
Ⅳ.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미적교육
Ⅴ.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비극론
Ⅵ.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빌헬름텔
1. 『정치소설 서사건국지』
2. 민중극으로서『빌헬름 텔』
3. 동화, 소설로서『빌헬름 텔』
참고문헌
Ⅱ.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미학서간
Ⅲ.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인간윤리성
1. 미덕의 정의
2. 미덕의 영향
3. 인간의 사명
Ⅳ.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미적교육
Ⅴ.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비극론
Ⅵ. 프리드리히 쉴러(실러)의 빌헬름텔
1. 『정치소설 서사건국지』
2. 민중극으로서『빌헬름 텔』
3. 동화, 소설로서『빌헬름 텔』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인간의 자유와 평등, 절대군주제 폐지 등은 독일작가들, 특히 레싱과 쉴러의 이념과 일시적이긴 하지만 일치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프랑스혁명에 대한 이들의 생각도 점차 바뀌기 시작했다. 프랑스혁명으로 인해 독일뿐만 아니라 스위스에서도 중세절대군주의 잔재가 사라지기 시작했으나 나폴레옹 전쟁은 결국 민족감정을 불러일으키고 혁명자체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시기적으로 볼 때 프랑스혁명의 영향과 혁명에 대한 민족감정이 『빌헬름 텔』에 교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쉴러는 이 드라마의 상연에 앞서 1803년 빌헬름 폰 볼초겐Wilhelm von Wolzogen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나는 사람들을 다시 격분시키겠다는 의도에서 빌헬름 텔을 쓰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런 민중이라는 주제를 열망하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이 스위스의 자유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입니다. 그 이야기가 세상에서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프란트 Iffland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도 쉴러는 이 작품은 “민중극으로서 als ein Volksstuck” 관객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야한다면서 드라마의 민중성을 강조했다. 즉 스위스에 자유의 재현을 일으킨다거나 1804년 독일의 정치적 상황에 비판을 내리려는 의도는 없었다. 『빌헬름 텔』은 독일에서 괴테의 『헤르만과 도르테아 Hermann und Dorthea』처럼 “민중문학과 고전문학 Volkstumliche und klassische Dichtung” 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작품이다.
쉴러의 『빌헬름 텔』이 우리 나라에 민중극(평민극)으로 소개된 것은 1922년 10월에 발행된 잡지 <개벽> 제 28호다. 김억(金億)은 여기서 “희곡예술의 광영인 최대의 위인 소포크레스와 섹스피어, 로프와 칼드론, 또는 쉬르레르는 적어도 그 어떤 작품은 평민극입니다.”라고 말하면서 쉴러의 『빌헬름 텔』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빌헬름 텔에는 굳세고 무겁은 피가 흐릅니다. [. . .] 나는 알트르프興行에서 여러번 그 義擧를 보았습니다. 어떤 職任(연극등장인물중의)이든지 村紳士와 平民이 합니다. 公衆은 演劇에 協同하며, 그 動作에 參加합니다. 그리고 그 自由의 부르지즘에 共感합니다.
김억이 당시 쉴러의 『빌헬름 텔』을 독일어텍스트로 읽었는지는 분명하게 밝힐 수가 없다. 다만 김억이 일본유학을 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학시절 일본어로 번역된 『빌헬름 텔』내지는 이 작품에 대한 해설을 읽고 『빌헬름 텔』을 자유에 항거하는 평민극으로 소개하고 있지 않나 하는 추정을 할 수 있을 따름이다. 김억의 위 글은 쉴러의 『빌헬름 텔』에 대한 첫 해설이라고 볼 수 있다.
3. 동화, 소설로서『빌헬름 텔』
아들의 머리 위에 사과를 올려놓고 쏘는 용감한 텔의 이야기는 1935년 염승한(廉承翰)의 『윌리암 텔』이 아동잡지 <아이동무>에 실리면서 동화와 소설형태로 다양하게 출판되었다. 1935년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빌헬름 텔』의 번역상황은 다음과 같다.
윌리암 텔1935년 <아이동무>염승한
윌리암 텔1962년 <백인사>박두진(朴斗鎭)
빌헬름 텔1963년 국어교과서역자미상
용감한 빌헬름텔1968년 문교부우량도서연구회(문교부세계어린이 문학전집)
윌리엄텔1971년 <금성출판사>이시철(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26 도이취편 )
윌리암 텔1976년 <태극출판사>역자미상(소년소녀세계)
빌헬름 텔1977년 <계몽사>김창활(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44)
빌헬름 텔1977년 <中央文化社>박재희(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42)
윌리엄 텔1978년 <弘新文化社>역자미상(재미있는 그림동화 29)
윌리암 텔1978년 <泰昌文化社>역자미상(독수리컬러문고 79)
윌러엄 텔1985년 <보성문화사>고태성(우리들문고)
빌헬름 텔1988년 <청하>안인희
빌헬름 텔1993년 <범우사>한기상
빌헬름 텔1998년 <서울대출판부>이원양
『빌헬름 텔』은 『윌리엄 텔』 혹은 『윌리암 텔』이라는 제목으로 대부분 아동들을 위한 위인전, 동화 형태로 단행본 내지는 세계어린이문학전집, 소년소녀 세계문학이라는 전집 속에 수록되어있다. 윌리엄 텔이라는 표기를 볼 때 영어에서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 쉴러의 『빌헬름 텔』이 독일어텍스트에서 『빌헬름 텔』이라는 제목으로 완역된 것은 김창활에 의해서가 처음이다. 김창활이 번역한 『빌헬름 텔』(1987년)은 248페이지에 해당하는 비교적 원작에 충실한 번역이나 막과 장으로 구성된 희곡이 아니라 소설형태다. 차례를 살펴보면 “산 속의 노래, 사냥꾼 빌헬름 텔, 시비쯔주의 장로, 독재자의 성채, 동지들, 젊은 남작, 숲 속의 회의, 벼랑길에서 있었던 일, 귀족의 딸, 사과를 명중시킨 빌헬름 텔, 돌풍, 남작의 죽음, 게슬러의 최후, 새 날, 용사 만세, 해설, 독서 노우트 기행문”으로 되어있다. 김창활은 해설에서 ‘혁명아 실러’, ‘괴테와 우정’이라는 소제목으로 쉴러의 문학사적인 위치와 괴테와의 우정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 ‘작품이 지닌 정신’에서는 “실러가 이 작품에서 나타내려고 한 것은 자유와 평화입니다. 그 자유와 평화를 위하여 정의와 용기와 국민적 자각으로써 서로 협력하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그려 낸 것입니다.”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의 맨 뒤에는 아동문학가 유경환이 ‘아름다운 나라의 위대한 전설’ 이라는 제목으로 아름다운 알프스전경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쉴러의 『빌헬름 텔』은 소년소녀들에게 자유와 평화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심어주기 위한 교육적인 차원에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빌헬름 텔』이 드라마형태로 독일어에서 번역된 것은 1980년대 이후다.
참고문헌
고창범 / 쉴러의 문학과 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김수용 / 예술의 자율성과 부정의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프리드리히 쉴러, 안인희 역 /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 청하, 1995
프리드리히 쉴러 저, 최석희 역 / 메시나의 신부, 예니, 2002
헨드링 윌렘 반룬(글, 그림), 곽복록 옮김 / 세계 예술의 역사, 문화문고
Wladyslaw·Tatakiewicz, 손효주 옮김 /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 미진사, 1993
나는 사람들을 다시 격분시키겠다는 의도에서 빌헬름 텔을 쓰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그런 민중이라는 주제를 열망하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이 스위스의 자유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입니다. 그 이야기가 세상에서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프란트 Iffland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도 쉴러는 이 작품은 “민중극으로서 als ein Volksstuck” 관객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야한다면서 드라마의 민중성을 강조했다. 즉 스위스에 자유의 재현을 일으킨다거나 1804년 독일의 정치적 상황에 비판을 내리려는 의도는 없었다. 『빌헬름 텔』은 독일에서 괴테의 『헤르만과 도르테아 Hermann und Dorthea』처럼 “민중문학과 고전문학 Volkstumliche und klassische Dichtung” 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작품이다.
쉴러의 『빌헬름 텔』이 우리 나라에 민중극(평민극)으로 소개된 것은 1922년 10월에 발행된 잡지 <개벽> 제 28호다. 김억(金億)은 여기서 “희곡예술의 광영인 최대의 위인 소포크레스와 섹스피어, 로프와 칼드론, 또는 쉬르레르는 적어도 그 어떤 작품은 평민극입니다.”라고 말하면서 쉴러의 『빌헬름 텔』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빌헬름 텔에는 굳세고 무겁은 피가 흐릅니다. [. . .] 나는 알트르프興行에서 여러번 그 義擧를 보았습니다. 어떤 職任(연극등장인물중의)이든지 村紳士와 平民이 합니다. 公衆은 演劇에 協同하며, 그 動作에 參加합니다. 그리고 그 自由의 부르지즘에 共感합니다.
김억이 당시 쉴러의 『빌헬름 텔』을 독일어텍스트로 읽었는지는 분명하게 밝힐 수가 없다. 다만 김억이 일본유학을 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학시절 일본어로 번역된 『빌헬름 텔』내지는 이 작품에 대한 해설을 읽고 『빌헬름 텔』을 자유에 항거하는 평민극으로 소개하고 있지 않나 하는 추정을 할 수 있을 따름이다. 김억의 위 글은 쉴러의 『빌헬름 텔』에 대한 첫 해설이라고 볼 수 있다.
3. 동화, 소설로서『빌헬름 텔』
아들의 머리 위에 사과를 올려놓고 쏘는 용감한 텔의 이야기는 1935년 염승한(廉承翰)의 『윌리암 텔』이 아동잡지 <아이동무>에 실리면서 동화와 소설형태로 다양하게 출판되었다. 1935년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빌헬름 텔』의 번역상황은 다음과 같다.
윌리암 텔1935년 <아이동무>염승한
윌리암 텔1962년 <백인사>박두진(朴斗鎭)
빌헬름 텔1963년 국어교과서역자미상
용감한 빌헬름텔1968년 문교부우량도서연구회(문교부세계어린이 문학전집)
윌리엄텔1971년 <금성출판사>이시철(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26 도이취편 )
윌리암 텔1976년 <태극출판사>역자미상(소년소녀세계)
빌헬름 텔1977년 <계몽사>김창활(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44)
빌헬름 텔1977년 <中央文化社>박재희(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 42)
윌리엄 텔1978년 <弘新文化社>역자미상(재미있는 그림동화 29)
윌리암 텔1978년 <泰昌文化社>역자미상(독수리컬러문고 79)
윌러엄 텔1985년 <보성문화사>고태성(우리들문고)
빌헬름 텔1988년 <청하>안인희
빌헬름 텔1993년 <범우사>한기상
빌헬름 텔1998년 <서울대출판부>이원양
『빌헬름 텔』은 『윌리엄 텔』 혹은 『윌리암 텔』이라는 제목으로 대부분 아동들을 위한 위인전, 동화 형태로 단행본 내지는 세계어린이문학전집, 소년소녀 세계문학이라는 전집 속에 수록되어있다. 윌리엄 텔이라는 표기를 볼 때 영어에서 번역했을 가능성이 높다. 쉴러의 『빌헬름 텔』이 독일어텍스트에서 『빌헬름 텔』이라는 제목으로 완역된 것은 김창활에 의해서가 처음이다. 김창활이 번역한 『빌헬름 텔』(1987년)은 248페이지에 해당하는 비교적 원작에 충실한 번역이나 막과 장으로 구성된 희곡이 아니라 소설형태다. 차례를 살펴보면 “산 속의 노래, 사냥꾼 빌헬름 텔, 시비쯔주의 장로, 독재자의 성채, 동지들, 젊은 남작, 숲 속의 회의, 벼랑길에서 있었던 일, 귀족의 딸, 사과를 명중시킨 빌헬름 텔, 돌풍, 남작의 죽음, 게슬러의 최후, 새 날, 용사 만세, 해설, 독서 노우트 기행문”으로 되어있다. 김창활은 해설에서 ‘혁명아 실러’, ‘괴테와 우정’이라는 소제목으로 쉴러의 문학사적인 위치와 괴테와의 우정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 ‘작품이 지닌 정신’에서는 “실러가 이 작품에서 나타내려고 한 것은 자유와 평화입니다. 그 자유와 평화를 위하여 정의와 용기와 국민적 자각으로써 서로 협력하는 일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그려 낸 것입니다.”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의 맨 뒤에는 아동문학가 유경환이 ‘아름다운 나라의 위대한 전설’ 이라는 제목으로 아름다운 알프스전경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쉴러의 『빌헬름 텔』은 소년소녀들에게 자유와 평화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심어주기 위한 교육적인 차원에서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빌헬름 텔』이 드라마형태로 독일어에서 번역된 것은 1980년대 이후다.
참고문헌
고창범 / 쉴러의 문학과 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김수용 / 예술의 자율성과 부정의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프리드리히 쉴러, 안인희 역 /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 청하, 1995
프리드리히 쉴러 저, 최석희 역 / 메시나의 신부, 예니, 2002
헨드링 윌렘 반룬(글, 그림), 곽복록 옮김 / 세계 예술의 역사, 문화문고
Wladyslaw·Tatakiewicz, 손효주 옮김 /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 미진사, 1993
추천자료
훈더트바써의 생애와 작품활동
프뢰벨과 몬테소리
영화 패트리어트 분석
헨델의 메시아
[니체][심층생태론][실존주의철학][니체의 사상][니체의 철학][데카당스]니체의 약력, 니체의...
마르크스 문학
대학생이라면 꼭 읽어야할 추천도서 사회과학,인문,정치사상,맑스주의,사회주의,독일철학,철...
마틴 루터와 그의 신학
[수성, 수성 기본정보, 온도, 밀도, 질량, 분화구, 공전궤도]수성의 기본정보, 수성의 온도, ...
프뢰벨과 듀이의 보육사상 비교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 독재
내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도시, 혹은 내가 살아 본 적이 있는 마을이나 도시를 하나 골라서, ...
[미학] 사랑과 희생
[문학과 인간탐구] 디오니소스적 세계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