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전적 전인성 (Holistic whoienes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심신 통일체
 1)기질적 정신장애
 2)심인성 질환
 3)사고장 요법

2.정신영적 통일체
 1)세가지 와류
  (1)정신영적 이분론
  (2)용족 편재론
  (3)심리적 편재론
 2)정신영성

3.몸의 영성

본문내용

우리도 스트레스에 쌓이고 탈진되어 자기 역할을 잃어버린다면 바람직하지 않으며 몸이 탈진되면 영적 사역도 어려워지므로 이를 전인건강이라고하며, 오스왈드는 이를 강조하여 ‘몸의 신학’이라 함.
2)몸의 기도
몸의 영성이 확실하다며, 우리는 몸을 소홀하게 하지 않는 전인적인 기도를 해야 한다. 한국교회에서 전인적인 기도훈련이 나타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명상, 관상기도 같은 것이고, 흔히 기도의 세 단계를 음성, 구성, 명상, 또는 묵상기도 그러나 관상기도로 구분한다.
몸의 영성의 관점에서 보면, 하나님의 임재를 느끼면서 기도하는 명상과 관상기도는 전인적인 기도로 강조되고 더 나아가 오스왈드는 몸의 기도에 대하여 “ 많은 사람들이 육제적인 움직임이 성령에게로 향하는 가장 직접적인 통로라는 것을 발견한다”고 말한다.
4. 영적사정
힐과 버트러는 인격의 영적국면을 내 인성 영성과 외 인성 영성으로 구분한다.
<내인성 영성은> - 용서와 사랑의 하나님에 대한 체험적인 신앙을 통하여, 삶의 의미와 지침이 되는 내적인 신앙의 의미와 지침이 되는 내적인 신앙의 의미이고
<외인성 영성은> - 권위주의적인 하나님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외적인 종교의식과 활동을 말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9.2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3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