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사용기기
3. 실험이론
4. 실험 방법
5. DATA 및 결과
1) 실험값 계산 : 경사면 각도 A(20˚)
2) 실험값 계산 : 경사면 각도 B(10˚)
6. 실험결론 및 의견
7. 참고문헌
2. 사용기기
3. 실험이론
4. 실험 방법
5. DATA 및 결과
1) 실험값 계산 : 경사면 각도 A(20˚)
2) 실험값 계산 : 경사면 각도 B(10˚)
6. 실험결론 및 의견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었던 것은 빗면의 기울기, 수레의 질량이 증가됨에 따라 용수철 길이가 증가됨을 알 수 있고 그에 반해서 용수철의 탄성상수k는 질량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실험값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용수철 2개 직렬연결시 탄성상수k값이 1/2로 줄고 병렬연결시 약 2배정도 늘은 것을 실험값으로 알 수 있는데 이것으로 예비리포트를 쓸 때 공부했던 이론이 성립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직렬연결의 경우 두 용수철이 각각 늘어난 길이가 더해지므로 두 개의 용수철이 동일하다면 이고 병렬의 경우 두 용수철이 늘어난 길이가 같고, 이것이 전체적으로 늘어난 길이 가 되므로 K유효 = k1+k2 = 2k가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실험도 역시 오차가 났는데 우선 그 원인으로 들고 싶은 것은 바로 수레의 마찰력이다. 실험 상에서는 이 마찰력을 무시했으나 실제로 이 힘은 실험상에서 무시할 수 없는 한 종류의 힘임을 고려하면 수레의 마찰력이 실험상에 오차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던 것 같다. 또 실험을 반복함에 따라 용수철이 탄성한계를 약간씩 넘어가서 그로 인해 약간씩 늘어난 모습을 보였던 걸로 기억하 는데 이 또한 실험상의 오차발생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외에도 수레의 충돌로 인한 순간순간의 힘의 손실이 일어났던 점이나 힘의 조절 상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시간 측정을 눈으로 대충 어림짐작 잡아 했던 만큼 초시계의 시간을 읽는 타이밍에서도 많은 오차 가 발생하지 않았나 싶다. 앞으론 이런 부주의한 모습들을 많이 고쳐나가고 보다 정확한 실험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7. 참고문헌
1. 일반물리학기초 및 고급실험
이번실험도 역시 오차가 났는데 우선 그 원인으로 들고 싶은 것은 바로 수레의 마찰력이다. 실험 상에서는 이 마찰력을 무시했으나 실제로 이 힘은 실험상에서 무시할 수 없는 한 종류의 힘임을 고려하면 수레의 마찰력이 실험상에 오차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던 것 같다. 또 실험을 반복함에 따라 용수철이 탄성한계를 약간씩 넘어가서 그로 인해 약간씩 늘어난 모습을 보였던 걸로 기억하 는데 이 또한 실험상의 오차발생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외에도 수레의 충돌로 인한 순간순간의 힘의 손실이 일어났던 점이나 힘의 조절 상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시간 측정을 눈으로 대충 어림짐작 잡아 했던 만큼 초시계의 시간을 읽는 타이밍에서도 많은 오차 가 발생하지 않았나 싶다. 앞으론 이런 부주의한 모습들을 많이 고쳐나가고 보다 정확한 실험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7. 참고문헌
1. 일반물리학기초 및 고급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