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근력의 의미와 정적근력의 측정방법중 배근력과 악력검사
2. 근지구력의 의미와 정적 근지구력의 측정종목의 예
3. 순발력의 의미와 측정종목들의 예
4. 민첩성의 의미와 측정방법
5. 유연성의 의미와 측정방법중 거리법, 각도법, 지수법
6. 평형성의 의미와 평형성의 3가지 종류, 정적 평형성, 동적 평형성의 측정종목
7. 전신지구력의 의미
8. 최대산소 섭취량
9. 무산소역치란?
10. 하버드 스텝 테스트
11. 협응성의 의미와 측정종목중 지그재그 드리블, 8자 달리기, 벽패스
1. 근력의 의미와 정적근력의 측정방법중 배근력과 악력검사
2. 근지구력의 의미와 정적 근지구력의 측정종목의 예
3. 순발력의 의미와 측정종목들의 예
4. 민첩성의 의미와 측정방법
5. 유연성의 의미와 측정방법중 거리법, 각도법, 지수법
6. 평형성의 의미와 평형성의 3가지 종류, 정적 평형성, 동적 평형성의 측정종목
7. 전신지구력의 의미
8. 최대산소 섭취량
9. 무산소역치란?
10. 하버드 스텝 테스트
11. 협응성의 의미와 측정종목중 지그재그 드리블, 8자 달리기, 벽패스
본문내용
분에서 2분 30초, 3분에서 3분 30초로 합계 3회의 맥박을 측정하고 그것을 기록한다(30초 동안의 맥박수를 모두 합한다.)
● 판정지수를 구하는데 다음과 같다
정해진 시간동안 동작을 계속 시행하지 못할 경우 또는 정해진 리듬보다 3회 정도 늦추어지는 경우 동작을 중단시킨다. 동작을 중단한 시간을 기록하고 수험생의 맥박을 찾아 1분간 경과한 후 맥박을 측정하여 앞에서의 판정지수공식에 대입하여 판정지수를 구한다.
●측정시 주의할점
① 하버드 스텝 테스트(Harvard step test)중에 발은 대 위에 완벽하게 올려놓은 동작만을 인정한다.
② 두 발이 대 위에 모두 올라왔을 때는 완전히 선 자세가 되도록 한다.
③ 자세는 정확한 자세를 취하도록 함은 물론이고 정해진 리듬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있 는가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
④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수험생에게 충분한 설명과 시범을 보여 잘못된 동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배려한다.
⑤ 맥박측정은 요골동맥이 잡히는 손목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맥박측정도중 요골 동맥에서 맥박감지가 어려우면 가슴에 청진기 또는 손을 대서 심박을 측정하거나 목부위에 경동 맥을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⑥ 수험생에게 동작을 마친 후 동일한 휴식시간을 같게 한 후 맥박을 측정하는 것이 무 엇보다도 중요한 만큼 심사위원들은 사전에 충분한 예행연습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⑦ 맥박을 측정하는 보조자는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시켜 맥박 측정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⑧ 맥박측정시 주위가 소란하거나 수험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어 맥박을 측정하는데 있어 서 불이익을 주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⑨ 맥박측정 중에 수험생에게는 어떠한 동작이나 말을 삼가케 하고 눈을 가볍게 감고 안정 을 빨리 취할 수 있는 주위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협응성의 의미와 측정종목중 지그재그 드리블, 8자 달리기, 벽패스
(1) 협응성의 의미
협응성이란 근력, 스피드, 지구력, 유연성 등과 같은 모든 운동 능력들이 합쳐져서 생겨나는 매우 복합적인 운동 능력으로서 기술이나 전술의 완성을 도우며 도로 사정, 방비 및 도구, 빛, 기후, 상대방 등과 같은 익숙치 못한 외적인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능력을 말한다.
(2) 지그재그 드리블
농구공 또는 돗지볼(dodge ball)을 드리블하여 길이가 약 150cm 의 지그재그용 막대를 돌아서 되돌아 오는 방식의 측정종목이다. 드리블을 하기 위해 바운드한 볼을 손으로 다시 튀기는 동작과 더불어 세워놓은 막대를 빠르게 통과 하기 위해서는 운동능력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항목이다. 즉 시각과 운동능력의 협응성이 일치되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쉽게 말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드리블하는 농구 연습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된다.이 종목은 근력, 민첩성, 순발력, 근지구력 등을 테스트하기 보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시야가 넓다는 말이 있듯이 전체적으로 민첩성, 순발력, 근력 등이 시야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최대의 운동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있는 것이다. 지그재그 드리블(zigzag dribble)은 기초체력 테스트 측정시에는 대부분 선택하고 있다.
● 측정 방법
① 출발선에 볼을 들고 드리블 준비자세를 취한다. 이때 출발선 위치는 2개의 막대 또는 깃대 의 중앙에 위치한다.
② 출발신호가 떨어지면 신속하게 공을 드리블해 앞으로 나간다. 이때 우측에 있는 두번째 막 대 또는 깃대를 우측으로 (시계방향) 돌아 좌측에 있는 막대 또는 깃대를 좌측으로 돈다. (시계반대방향)
③ 마지막 깃대를 돌아서 처음의 출발선 위치로 골인한다.
④ 드리블은 반드시 한손으로만 실시하여야 한다. 오른손, 왼손을 바꾸어서 실시하는 것은 괜 찮다.
⑤ 출발선으로 골인할때 공보다는 몸 자체가 통과할 때까지를 계측하고 1/10초 단위로 계측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⑥ 2회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인정한다
(3) 8자 달리기
8자 달리기는 민첩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써 장애물을 적당한 거리의 간격으로 놓고 8자 모양으로 왕복으로 달려가는 것을 말한다.
(4) 벽패스
◆ 참고문헌
- 윤형기외3명,{신 체육측정평가},대경북스,2006
- 최은택,{체력 트레이닝},태근문화사,1995
- http://cafe.naver.com/changing1.cafe
- http://blog.naver.com/works01
- http://www.chonma.co.kr
● 판정지수를 구하는데 다음과 같다
정해진 시간동안 동작을 계속 시행하지 못할 경우 또는 정해진 리듬보다 3회 정도 늦추어지는 경우 동작을 중단시킨다. 동작을 중단한 시간을 기록하고 수험생의 맥박을 찾아 1분간 경과한 후 맥박을 측정하여 앞에서의 판정지수공식에 대입하여 판정지수를 구한다.
●측정시 주의할점
① 하버드 스텝 테스트(Harvard step test)중에 발은 대 위에 완벽하게 올려놓은 동작만을 인정한다.
② 두 발이 대 위에 모두 올라왔을 때는 완전히 선 자세가 되도록 한다.
③ 자세는 정확한 자세를 취하도록 함은 물론이고 정해진 리듬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있 는가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한다.
④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수험생에게 충분한 설명과 시범을 보여 잘못된 동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배려한다.
⑤ 맥박측정은 요골동맥이 잡히는 손목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맥박측정도중 요골 동맥에서 맥박감지가 어려우면 가슴에 청진기 또는 손을 대서 심박을 측정하거나 목부위에 경동 맥을 측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⑥ 수험생에게 동작을 마친 후 동일한 휴식시간을 같게 한 후 맥박을 측정하는 것이 무 엇보다도 중요한 만큼 심사위원들은 사전에 충분한 예행연습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⑦ 맥박을 측정하는 보조자는 사전에 충분한 교육을 시켜 맥박 측정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⑧ 맥박측정시 주위가 소란하거나 수험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어 맥박을 측정하는데 있어 서 불이익을 주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⑨ 맥박측정 중에 수험생에게는 어떠한 동작이나 말을 삼가케 하고 눈을 가볍게 감고 안정 을 빨리 취할 수 있는 주위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협응성의 의미와 측정종목중 지그재그 드리블, 8자 달리기, 벽패스
(1) 협응성의 의미
협응성이란 근력, 스피드, 지구력, 유연성 등과 같은 모든 운동 능력들이 합쳐져서 생겨나는 매우 복합적인 운동 능력으로서 기술이나 전술의 완성을 도우며 도로 사정, 방비 및 도구, 빛, 기후, 상대방 등과 같은 익숙치 못한 외적인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능력을 말한다.
(2) 지그재그 드리블
농구공 또는 돗지볼(dodge ball)을 드리블하여 길이가 약 150cm 의 지그재그용 막대를 돌아서 되돌아 오는 방식의 측정종목이다. 드리블을 하기 위해 바운드한 볼을 손으로 다시 튀기는 동작과 더불어 세워놓은 막대를 빠르게 통과 하기 위해서는 운동능력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항목이다. 즉 시각과 운동능력의 협응성이 일치되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쉽게 말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드리블하는 농구 연습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된다.이 종목은 근력, 민첩성, 순발력, 근지구력 등을 테스트하기 보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시야가 넓다는 말이 있듯이 전체적으로 민첩성, 순발력, 근력 등이 시야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최대의 운동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있는 것이다. 지그재그 드리블(zigzag dribble)은 기초체력 테스트 측정시에는 대부분 선택하고 있다.
● 측정 방법
① 출발선에 볼을 들고 드리블 준비자세를 취한다. 이때 출발선 위치는 2개의 막대 또는 깃대 의 중앙에 위치한다.
② 출발신호가 떨어지면 신속하게 공을 드리블해 앞으로 나간다. 이때 우측에 있는 두번째 막 대 또는 깃대를 우측으로 (시계방향) 돌아 좌측에 있는 막대 또는 깃대를 좌측으로 돈다. (시계반대방향)
③ 마지막 깃대를 돌아서 처음의 출발선 위치로 골인한다.
④ 드리블은 반드시 한손으로만 실시하여야 한다. 오른손, 왼손을 바꾸어서 실시하는 것은 괜 찮다.
⑤ 출발선으로 골인할때 공보다는 몸 자체가 통과할 때까지를 계측하고 1/10초 단위로 계측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⑥ 2회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인정한다
(3) 8자 달리기
8자 달리기는 민첩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써 장애물을 적당한 거리의 간격으로 놓고 8자 모양으로 왕복으로 달려가는 것을 말한다.
(4) 벽패스
◆ 참고문헌
- 윤형기외3명,{신 체육측정평가},대경북스,2006
- 최은택,{체력 트레이닝},태근문화사,1995
- http://cafe.naver.com/changing1.cafe
- http://blog.naver.com/works01
- http://www.chonm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