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르네상스 회화의 성격
1. 조형성
2. 단순성과 명확성
Ⅲ. 르네상스 회화의 화파
1. 르네상스 - 피렌체 화파
2. 르네상스 - 움부리아 화파
3. 르네상스 - 베네치아 화파
Ⅳ. 르네상스 회화의 기법
Ⅴ. 르네상스 회화의 원근법
Ⅵ. 르네상스 회화의 작가
참고문헌
Ⅱ. 르네상스 회화의 성격
1. 조형성
2. 단순성과 명확성
Ⅲ. 르네상스 회화의 화파
1. 르네상스 - 피렌체 화파
2. 르네상스 - 움부리아 화파
3. 르네상스 - 베네치아 화파
Ⅳ. 르네상스 회화의 기법
Ⅴ. 르네상스 회화의 원근법
Ⅵ. 르네상스 회화의 작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더 중시한 르네상스적 사고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부르넬레스키의 고전적 건축과 과학적 원근법의 완벽한 응용이 잘 나타나 있다. 마사치오의 <삼위일체>와 흡사한 <성모자와 성자들>을 그린 베네치아노는 색채구사에 있어 독자적인 경지를 구축하였다. <성십자가>의 피에로 델라 프란테스카는 빛을 이용하여 깊이감을 표현하였으며, 마사치오를 연상시키는 엄격한 자세의 인물상과 자신의 그림세계의 object를 기하학적 개념(구, 원통, 원추)으로 파악하여, 현대 추상화가들의 정신적 지도자로 칭해질 수 있다. <비너스의 탄생>을 그린 보티첼리는 이교문화와 그리스도교 사이에 영성이라는 공통분모의 발견으로 높은 인간의 존엄성을 선언하였는데, 이 작품으로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경우가 많다. 마사치오로부터 이어지는 초기 르네상스의 중요화가로 만테냐를 들 수 있는 데, 그는 이야기의 내면적 의미를 중시한 지옷토에 비해 외부적인 형태에 관심을 나타냈었다. 만테냐의 <형장을 끌려가는 성야곱>은 앙각시의 원근법으로 나타내었으며 프레스코 벽화 중 가장 극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로마풍의 건축과 의상, 장신구에서 \"엄격한 단순성과 장대함\"을 엿볼 수 있으며 긴장되고 완강한 모습의 인물상은 도나텔로의 영향이라 볼 수 있다. 특별히 나체상으로 소묘한 만테냐의 소묘로 초기 르네상스 화가의 밑그림은 나체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벨리냐의 <법열에 잠긴 성프란체스코>에서 웅대한 자연경관과 부드러운 색채를 볼 수 있으며, 부조처럼 윤곽선으로 표현한 카스타뇨의 가죽그림<다윗>은 동세와 동작에 있어 하나의 새로운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프라 안젤리코처럼 일부러 근대적 표현법을 회피한 작가도 있다. 파올로 우첼로는 원근법과 단축법을 많이 사용하고 조각된 것처럼 공간에 돌출되어 보이는 <산로마노의 대승>을 그렸고, 메노초 고촐리는 아름다운 장신구와 화려한 의상이 돋보이는 <베들레헴을 향해 가는 동방박사들>을 그렸는데, 이 들의 작품들은 모두 상류계층이 작가들에게 원하는 요구에 부응할 만하다.
참고문헌
김인환 편저 : 동서 미술의 흐름Ⅲ(조각), 서울 : 미술공윤사, 1994
리차드 터너 저, 김미정 역 : 피렌체 르네상스, 아트라이브러리, 2001
수잔나 파르취 : 당신의 미술관2, 현암사, 1999
윤재우 : 근대회화사, 홍문사, 서울, 1958
차하경 : 르네상스 사회와 사상, 탐구당, 서울
W.K퍼거슨 : 르네상스, 1984
참고문헌
김인환 편저 : 동서 미술의 흐름Ⅲ(조각), 서울 : 미술공윤사, 1994
리차드 터너 저, 김미정 역 : 피렌체 르네상스, 아트라이브러리, 2001
수잔나 파르취 : 당신의 미술관2, 현암사, 1999
윤재우 : 근대회화사, 홍문사, 서울, 1958
차하경 : 르네상스 사회와 사상, 탐구당, 서울
W.K퍼거슨 : 르네상스, 1984
추천자료
정양모의 ‘너그러움과 해학’을 읽고
이미지에 대한 이해변화로 인한 - 가상현실에서의 인간의 정체성
19세기 말의 서양 미술
데 스틸 운동과 모더니즘 운동
미켈란젤로에대해
현대가구 스타일의 분류에 대하여
Iconographic and Iconological Interpretation -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 그림 해석
조르주 브라크
카라바지오의 빛의 조형성 - 성 마태의 소명
서양 미술사 시대별 정리
입체주의 (Cubism)건축
서양건축사 - 바로크 건축 (베르니니,보로미니,구아리니,베르사이유궁전,에흐라흐,크리스토퍼...
근세의 도시계획에 대한 검토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Michelangelo Buonarroti)와 산 피에트로 대성당(San Pietro Basilic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