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중금속의독성과중독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해중금속의독성과중독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pb(납)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3. 재해사례

■ Sn(주석)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 Hg(수은)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3. 재해사례

■ Cd(카드뮴)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3. 재해사례

■ Zn(아연)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 Be(베릴륨)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 As(비소)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3. 재해사례

■ Cr(크롬)
1. 위험 유해성
2. 물리화학적 특성
3. 재해사례

본문내용

(0-4 단계): 보건=2 화재=0 반응성=0
응급상황을 위한 개요:
색상: 회색에서 검정색까지
물리적 상태: 고체
냄새: 마늘 냄새
주요한 건강위험성: 호흡기도 자극, 피부 자극, 눈 자극, 신경계 이상, 알레르기 반응, 발암 위험(인체)
잠재적 건강영향:
흡입:
A.단기간 노출: 자극 (심한 경우도 있음), 저 체온 또는 발열, 혈압 변화, 구역, 구토, 설사, 위통,
흉통, 호흡곤란, 두통, 정서 장애, 극도의 고통, 푸른 빛 피부색, 폐 울혈
B.장기간 노출: 자극, 구역, 구토, 설사, 식욕 부진, 극도의 고통, 혈액 장애, 뼈이상, 간 이상, 암
피부 접촉:
A.단기간 노출: 자극, 알레르기 반응, 피부장애
B.장기간 노출: 자극, 피부장애, 암
눈 접촉:
A.단기간 노출: 자극, 빛에 대한 민감도
B.장기간 노출: 자극
섭취:
A.단기간 노출: 피부장애, 금속 맛, 손톱의 흰선, 혈압 변화, 구역, 구토, 설사, 위통, 불규칙 심장
박동, 두통, 현기증, 지남력 상실, 극도의 고통, 내출열, 혈액장애, 신경 이상, 경련, 혼수
B.장기간 노출: 자극, 코피(비출혈), 구역, 구토, 설사, 변비, 위통,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혈액
장애, 간 이상, 생식계 영향, 암
발암성:
산업안전보건법 : 미규정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네
미국 국립독성계획단(NTP): 네
국제 발암성연구소(IARC): 네
2. 물리화학적 특성
물리적 상태 : 고체 색상: 회색에서 검정색까지 냄새: 마늘 냄새
분자량: 74.92 분자식: As 끓는점: 해당 안됨
용융점: 1497 F (814 C) @ 36 atm 승화점: 1135 F (613 C) 증기압: 해당 안됨
증기 밀도: 해당 안됨 비중(물=1): 5.6-5.9 물 용해도: 불용성
수소이온지수(pH): 해당 안됨 휘발성: 해당 안됨 취기한계: 없음
증발율: 해당 안됨 물/오일 분산계수: 없음
용매 가용성:
가용성: 질산
3. 재해사례
▶ 광산지역의 비소오염 사고
일본에서는 과거에 아비산, 구리 등의 광석을 채굴하고 이를 제련하던 마야자키 현 도로쿠 광산 및 시마네 현 세곡광산 지대에서 비소에 의한 만성중독환자가 발생한 적이 있다. 조사결과 이들 광산은 현재 휴업 또는 폐광된 광산이지만 광산주변에는 비소가 함유된 폐석, 광재 등이 널려져 있어 지하수, 우물, 하천, 토양이 오염되어 있었으며, 또한 당시 굴뚝을 통해 연기와 함께 퍼져나간 먼지로 인하여 현재에도 오래된 집의 천정과 대들보 등에 쌓인 먼지 속에 비소가 들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비소로 인하여 환경이 오염된 지역으로 보고 주민에 대한 견강조사를 실시한 결과 1차로 7명의 만성중독자가 발견되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광산에서 과거에 일하던 사람이거나 광산 주변지역에서 오래 살던 주민이었다.
■ Cr(크롬)
1. 위험 유해성
크롬은 우리에게 포도당, 콜레스테롤, 지방의 대사를 도와주는 필수적인 영양소이므로, 크롬이 결핍되면 체중이 감소하고, 혈액에서 포도당을 제거하는 기능에 손상이 온다. 따라서 하루에 50~200ug (몸무게 1kg당 0.0007~0.003mg/kg) 정도의 크롬을 섭취하는 것은 적절하다고 본다. 그러나 크롬은 형태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크롬(Ⅵ)은 자극적이며, 높은 농도에 단시간 노출되는 경우 피부에 궤양이 생기게 하고, 코 점막을 자극하며 위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또한 신장과 간에도 영향을 준다.
크롬(Ⅲ)은 크롬(Ⅵ)와 같은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물론 크롬(Ⅲ)도 과다하게 섭취하면 해롭지만, 적은 양을 섭취했을 때는 필수 영양소로 작용한다. 음식에 들어 있는 대부분의 크롬이 이 형태이다.
크롬(0)에의 노출은 그리 흔하지 않으며,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미국의 보건복지부는 크롬과 크롬 화합물이 발암성 물질이라고 규정하였다. 고농도의 크롬에 장기간 노출된 노동자들의 경우 폐암이 관찰되었다. 이 노동자들에게 위 3가지 형태의 크롬 중 어떤 형태가 구체적인 발암 물질로 작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동물 연구 결과에서는 크롬(Ⅵ)만이 암을 유발한다고 밝혀져 있다.
NFPA 등급(0-4 단계): 보건=1 화재=3 반응성=0
응급상황을 위한 개요:
색상: 회색
물리적 상태: 분말
냄새: 무취
주요한 건강위험성: 표적장기에 주요 영향이 보고된 바 없음.
물리적 위험: 벌크형태에서 화재나 폭발위험은 무시할 수 있음. 분진/공기 혼합물은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도 있음. 고인화성. 공기에 노출되면 자연 발화될 수도 있음.
잠재적 건강영향:
흡입:
A.단기간 노출: 자극
B.장기간 노출: 자극
피부 접촉:
A.단기간 노출: 자극
B.장기간 노출: 자극, 피부장애
눈 접촉:
A.단기간 노출: 자극
B.장기간 노출: 자극
섭취:
A.단기간 노출: 구토, 위통, 현기증
B.장기간 노출: 사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음
발암성:
산업안전보건법 : 미규정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아니오
미국 국립독성계획단(NTP): 아니오
국제 발암성연구소(IARC): 아니오
2. 물리화학적 특성
물리적 상태 : 고체 외관: 광택이 있는 색상: 회색
물리적 상태: 분말 냄새: 무취 분자량: 51.996
분자식: Cr 끓는점: 4842 F (2672 C) 증기 밀도: 해당 안됨
용융점: 3339-3411 F (1837-1877 C) 증기압: 1 mmHg @ 1616 C 물 용해도: 불용성
비중(물=1): 7.20 @ 28 C 수소이온지수(pH): 해당 안됨 휘발성: 해당 안됨
취기한계: 없음 증발율: 해당 안됨 물/오일 분산계수: 없음
용매 가용성:
가용성: 희석 황산, 염산
불용성: 질산, 왕수
3. 재해사례
일시 : 1996-02-13
장소 :부산 세일중공업
재해자 : 이상봉
내용 : 일부 작업과정에서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크롬이 함유된 페인트 분진이 다량 비산되는 작업
장에서 그 대부분의 기간을 환기시설도 없고 방진마스크도 지급받지 못한 열악한 상태에서
작업하여 오다가 도료에의 과량폭로가 그 한 원인이 될 수 있는 폐암에 걸리게 된 경우에는
망인의 질병과 업무간에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본 사례.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