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요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요소

Ⅰ. 중앙처리장치

Ⅱ. 기억장치

Ⅲ. 입, 출력장치

본문내용

있다.
인식 입력장치는 사람의 손에 의해 적어졌거나, 또는 인쇄된 문자나 마크를 직접 해독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인식형의 입력장치로는 연필 등으로 기입한 마크를 독해하는 마크 판독기, 수서나 인쇄된 문자를 해독하는 문자 해독기,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기 등이 있다. 또한 인식 입력장치에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코드 정보로 바꾸는 음성 인식 장치들이 있다.
컴퓨터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출력장치에는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자료를 화면이 아닌 종이에 표시하는 프린터(Printer), 화면이나 종이 등의 시각적 출력 외에도 음악이나 음성 등을 출력하는 청각적 출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출력 결과를 컴퓨터에 저장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디스크나 테이프 등의 보조기억장치가 출력장치로도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환경에서 자료를 화면에 표시하는 대표적인 출력장치로 이용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CRT(CRT : Cathode Ray Tube)모니터, 액정(LCD : 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전자 발광(EL : Electro-luminiscence) 디스플레이, 그리고 가스 플라즈마(Gas Plasma) 디스플레이 등이 있다. 오늘날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출력장치는 CRT 모니터이다.
CRT 모니터는 CRT의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형광 막에 충돌해서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한 화면 표시장치로써 전자의 충돌 위치는 편향 코일에 의해 주어지는 자계의 강도에 따라 결정되며, 전자의 흐름을 ON/OFF함으로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작고 휴대 가능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것은 두개의 유리 판 사이에 액정을
담고 이곳에 전압을 가하게 되면, 액정의 분자 배열 방향이 달라져서 빛의 통
과율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단점은 어두운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고 밝은 곳에서는 잘 보인다. 이러한 이
유는 액정 자체에서 빛을 발생하는 게 아니라, 액정 패널의 후면에 위치한 반
사 판에 의하여 빛을 반사할 때 나타나는 액정의 상태에 따라 명암을 구별하
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후면에 후면등(Back-Light)
을 내장하여 화면 장치를 구성하기도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LCD)에는 액정
셀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X, Y 매트릭스(Matrix) 구동 형식의 패시브 매트
릭스(Passive Matrix) LCD, 각각의 픽셀(Pixel)을 구동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Switching device)를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LCD, 그리고 강 유전성 액정을 사용하여 광선을 비추면 액정 배열의
방향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 광 구동 LCD 등이 있다.
전자발광 디스플레이는 유리 필름 사이에 끼워져 있는 발광 형광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발광시키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화면이 선명하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빠르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에 전자발광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박막의 유리판 사이에 플라즈마(Plasma) 혹은 네온
아르곤(Neon-Argon) 가스를 채우고,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때 발생하는
플라즈마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화면의
두께를 않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표시 장치로 사용
되고 있으나, 전력 소모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프린터(Printer)는 자료를 종이에 찍어서 보여주는 출력장치로서 출력 방식에 따라 충격식 프린터(Impact Printer)와 비충격식 프린터(Non-impact Printer)로 구분할 수 있다. 충격식 프린터는 잉크가 묻은 천을 양각된 활자나 핀이 눌러서 종이에 문자나 그림이 찍히는 방식으로써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Dot Matrix Printer), 데이지 철 프린터(Daisy Wheel Printer), 드럼 프린터(Drum Printer) 등이 있다.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는 작은 점들을 조합하여 종이 위에 문자나 그림 정보를 인쇄하는 출력장치로서 출력되는 정보를 2차원 배열 형태의 점으로 표현하고, 가로와 세로에 사용되는 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깨끗하고 선명하게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충격식 프린터는 대체로 가격이 저렴하고 유지비가 적게 들지만, 소음이 많고 인쇄의 질이 비충격식 프린터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비충격식 프린터에는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 잉크젯프린터(Ink-jet Printer),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er) 등이 있다. 레이저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LBP(Laser Beam Printer)라고도 불리며, 비교적 경제적인 가격 대에서 고품질의 인쇄 정보를 원하는 컴퓨터 사용자들에 의하여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프린터는 레이저빔을 토너에 투사하여 인쇄물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며, 고속으로 양질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잉크젯 프린터는 미세한 노즐(Nozzle)을 통해 잉크를 분사하여 문자나 그림
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 프린터는 잉크의 색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컬러
인쇄가 가능하고 노즐의 크기와 간격을 줄임으로써 고해상도의 출력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잉크젯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보다 훨씬 저렴하면서도 비
슷한 수준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고, 소음이 적고 유지비가 적게 드는 장점으
로 개인용 프린터로서 이용자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잉크가 종이에 번지는
경우가 많아 레이저 프린터만큼 양질의 출력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감열식 프린터는 특수한 용지에 열을 가하여 태워서 문자를 표현하는 것으로 프린터의 가격은 저렴하나 속도가 느리고, 용지가 비싸서 유지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