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랑이란
2. 일제 학자들의 낙랑 연구, 영향
3. 낙랑의 생성과 존속 의의
4. 낙랑에 대한 시각 전환
2. 일제 학자들의 낙랑 연구, 영향
3. 낙랑의 생성과 존속 의의
4. 낙랑에 대한 시각 전환
본문내용
의 내재적 발전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한대문화 대 고조선 문화라는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반도의 한 지역의 문화’와 ‘몇 세기에 걸쳐 중국왕조로부터 들어온 지역문화’와의 복합이 장기간에 걸쳐 변용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즉 유입된 중원문화와 더욱이 군현이 설치된 한반도 내의 지역에서 새롭게 변용된 낙랑문화를 분별하는 방법적 시각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정인성,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이주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0
국립중앙박물관, 《낙랑》, 솔, 2001
이성시, <동아시아에서의 낙랑-과제와 방법에 대한 시론->, 2004
권오중, <중국사에서의 낙랑군>, 2004
‘한반도의 한 지역의 문화’와 ‘몇 세기에 걸쳐 중국왕조로부터 들어온 지역문화’와의 복합이 장기간에 걸쳐 변용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즉 유입된 중원문화와 더욱이 군현이 설치된 한반도 내의 지역에서 새롭게 변용된 낙랑문화를 분별하는 방법적 시각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정인성, <일제강점기의 낙랑고고학>,《이주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10
국립중앙박물관, 《낙랑》, 솔, 2001
이성시, <동아시아에서의 낙랑-과제와 방법에 대한 시론->, 2004
권오중, <중국사에서의 낙랑군>,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