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왜구의 정의
2. 왜구 (경인년 왜구를 중심으로)
- 경인년 왜구란 -
- 등장배경 -
- 왜구의 출몰 -
3. 왜구에 대한 인식
- 일본/한국학계의 왜구 인식 -
4.맺음말
2. 왜구 (경인년 왜구를 중심으로)
- 경인년 왜구란 -
- 등장배경 -
- 왜구의 출몰 -
3. 왜구에 대한 인식
- 일본/한국학계의 왜구 인식 -
4.맺음말
본문내용
시대상황과 연관하여 지배나 세력 확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정치적 목적을 가진 집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구를 금압할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지닌 공권력이 존재하고 있었던 13세기 와 조선시대의 경우에는 왜구의 규모도 작았으며, 빈도 또한 낮았는데 경인년 이후로 왜구는 그 규모와 빈도는 엄청났으며 이 남북조 왜란기에 해당하는 경인년 왜구는 바로 왜구 금압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지닌 공권력의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남북조의 내란기에 해당하는 ‘경인년 이후의 왜구’는 바로 왜구 금압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갖춘 공권력이 규슈 지역에 부재하였기에 나타난 사회현상이었다.
오늘날의 한국, 일본의 양국학계는 자신들의 사료를 증거로 내세우며 왜구=고려인주체, 고려인조선인주체, 왜구=무장상인단, 제주도인=왜구와 같은 왜구의 주체성에 관한 논란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왜구의 주체성에 대한 논란을 끝내기 위해서라도 왜구에 대한 관심과 그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왜구, 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2005
경인년~병신년의 왜구와 규슈정세 - 이영
전환기의 동아시아 사회와 왜구 - 이영
왜구를 금압할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지닌 공권력이 존재하고 있었던 13세기 와 조선시대의 경우에는 왜구의 규모도 작았으며, 빈도 또한 낮았는데 경인년 이후로 왜구는 그 규모와 빈도는 엄청났으며 이 남북조 왜란기에 해당하는 경인년 왜구는 바로 왜구 금압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지닌 공권력의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남북조의 내란기에 해당하는 ‘경인년 이후의 왜구’는 바로 왜구 금압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실력을 갖춘 공권력이 규슈 지역에 부재하였기에 나타난 사회현상이었다.
오늘날의 한국, 일본의 양국학계는 자신들의 사료를 증거로 내세우며 왜구=고려인주체, 고려인조선인주체, 왜구=무장상인단, 제주도인=왜구와 같은 왜구의 주체성에 관한 논란을 계속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왜구의 주체성에 대한 논란을 끝내기 위해서라도 왜구에 대한 관심과 그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왜구, 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2005
경인년~병신년의 왜구와 규슈정세 - 이영
전환기의 동아시아 사회와 왜구 - 이영
추천자료
정신분열병 케이스
김치의 역사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고찰.
교회음악이 신앙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탐구식 역사 수업
역사, 정치, 경제 적인 부분에서 바라본 동북공정
[김치]한국 김치의 역사, 영양, 저장과 지역적 특징 및 김치의 외국 진출에 관한 고찰(김치 ...
김치의 역사
역사학 - 마르크스의 유물사관
[조직행위론][조직행위론 영역][조직행위론 역사적 고찰][커뮤니케이션]조직행위론의 개념, ...
[대학원 A 보고서] 사회복지사 이데올로기와 실천이론 비판적 고찰
서구와 아랍 간의 갈등에 대한 분석 및 고찰 - 십자군 전쟁을 중심으로
주제1: 영유아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 주제2: 주요대학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주제3: 생태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