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침강속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과정 중에서 정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염증이나 암 등에 걸렸을 때는 ESR test시 염증 단백질로 인해 수치가 높을 것이고 치료를 하면서 잘 되어가고 있으면 ESR test 수치가 낮게 나올 것이다. 이를 통해 치료가 잘 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다른 치료방법을 선택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이 test의 원리에서 보면 적혈구 사이의 음전하를 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적혈구 막 protein인 GPA, GPB 때문이다. 적혈구는 서로 밀어내는 성질 때문에 원심분리를 해도 약 25nm 이상 떨어져 있게 된다고 하는데, 적혈구가 모였다는 것은 몸에 이상이 생겼음을 말해준다. 적혈구가 모이는 것은 연전현상으로 혈구 주변 수십 nm내에서 혈장의 농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층이 생겨서라고 한다. 이렇게 농도 차가 생기면 삼투압이 발생해 농도가 낮은 적혈구 표면에서 농도가 높은 주위 혈장으로 물이 빠져나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주변의 다른 적혈구와 결합한다. Globulin과 같은 혈장단백질이 많아질수록 혈장과 적혈구 표면 사이의 농도 차가 커지면 삼투압도 커지기 때문에 연전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