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공원(도시공원)의 개념
Ⅲ. 공원(도시공원)의 유형
1. 어린이공원
2. 근린공원
3. 도시자연공원
4. 묘지공원
5. 체육공원
Ⅳ. 공원(도시공원)의 역사
Ⅴ. 공원(도시공원)의 조경학적 연구
Ⅵ. 꾸리찌바의 공원정책(도시공원정책) 사례
1. 홍수조절과 공원의 확보라는 일석이조
2. 저예산과 단순함, 검소함의 창조적인 공원정책
3. 물, 건축물, 빛과 숲이 어우러진 여백의 공간으로서의 공원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공원(도시공원)의 개념
Ⅲ. 공원(도시공원)의 유형
1. 어린이공원
2. 근린공원
3. 도시자연공원
4. 묘지공원
5. 체육공원
Ⅳ. 공원(도시공원)의 역사
Ⅴ. 공원(도시공원)의 조경학적 연구
Ⅵ. 꾸리찌바의 공원정책(도시공원정책) 사례
1. 홍수조절과 공원의 확보라는 일석이조
2. 저예산과 단순함, 검소함의 창조적인 공원정책
3. 물, 건축물, 빛과 숲이 어우러진 여백의 공간으로서의 공원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 건축물, 빛과 숲이 어우러진 여백의 공간으로서의 공원
공원에는 어디에나 물이 있다.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아늑함, 시원함을 주는 물이 공원 어디에서나 호수, 연못, 분수대의 형태로 있다. 바리귀공원, 우크라이나공원, 티누이공원은 홍수조절용의 넓은 호수와 늪이 있고, 독일공원, 일본공원에는 분수대와 계단식폭포가 있다.
또한 공원에는 어디에나 상징적 건축물이 있다.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미적 감각을 지닌 건축물이 공원의 한 요소를 구성한다. 우크라니아, 폴란드공원, 독일공원 등에는 그 나라의 전통적 건축형태를 재현하여 상징성을 부여한다. 철재와 유리로 만들어진 원형 유리돔은 비행기 트랙, 24시간 거리, 에스컬레이터 돔, 백화점 입구 등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 대표적 건축 형태로 친근감을 높인다.
빛도 공원의 중요한 요소이다. 방문기간 동안 브라질 전역이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어 야간 경관조명을 억제하고 있었지만 건축물, 숲, 물이 은은한 야경 빛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또한 공원마다 여백의 미가 있다. 동양화의 흰 여백이 편안함을 주듯 적절한 곳에 광장과 잔디를 조성해 편안한 여백의 미를 살려 놓았다. 꽉 찬 느낌이 안 든다. 매점이나 음식점, 화장실도 최소한의 필요량만 있거나 아예 없다.
이렇듯 공원 하나를 조성하면서도 IPPUC(꾸리찌바도시계획연구소)는 물, 건축물, 빛과 숲이 어우러진 여백의 공간으로 만들어 냈다.
Ⅶ. 결론 및 제언
도시가 고밀화 되고 또한 그 여파로 황폐한 느낌마저 드는 것이 요즘의 우리 도시의 모습이다. 도시 내 휴식공간에 대한 시민의 욕구는 날로 증대하고 있지만 시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여가를 보낼 수 있는 도시 내의 녹화된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서울의 공원면적은 도시자연공원, 근린공원, 국립공원, 어린이공원, 그리고 한강 시민공원 등을 합쳐서 총 152.47제곱 킬로미터에 이르고 있지만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근린공원과 어린이 공원은 전체의 23%에 불과하고 근린공원도 대부분 산지에 위치하고 있는 형편이라 시민들이 일상생활에 있어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1995년 서울시의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방향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시민은 대부분이 규모가 작아도 집이나 직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가까운 공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원을 조성하려고 하여도 지가가 높은 시가지내에 공원녹지를 확보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소규모 공지나 자투리땅, 그리고 도심내의 오피스의 외부공간으로서의 도시 소공원은 매우 긍정적인 해결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귀곤(1994), 도시 공원, 녹지 계획 설계론
김헌규(1987), 세계의 국립공원, 서울 : 청암출판사
도시공원법(1992), 한국토지공사, 조경설계기준
박용남(2006), 꿈의도시 꾸리찌바, 녹색평론사
환경과 조경(1992), 쌈지(마당)공원조성 기본계획, 통권 54
황길식(1997), 자연공원의 환경친화적인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원에는 어디에나 물이 있다.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아늑함, 시원함을 주는 물이 공원 어디에서나 호수, 연못, 분수대의 형태로 있다. 바리귀공원, 우크라이나공원, 티누이공원은 홍수조절용의 넓은 호수와 늪이 있고, 독일공원, 일본공원에는 분수대와 계단식폭포가 있다.
또한 공원에는 어디에나 상징적 건축물이 있다.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미적 감각을 지닌 건축물이 공원의 한 요소를 구성한다. 우크라니아, 폴란드공원, 독일공원 등에는 그 나라의 전통적 건축형태를 재현하여 상징성을 부여한다. 철재와 유리로 만들어진 원형 유리돔은 비행기 트랙, 24시간 거리, 에스컬레이터 돔, 백화점 입구 등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 대표적 건축 형태로 친근감을 높인다.
빛도 공원의 중요한 요소이다. 방문기간 동안 브라질 전역이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어 야간 경관조명을 억제하고 있었지만 건축물, 숲, 물이 은은한 야경 빛으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또한 공원마다 여백의 미가 있다. 동양화의 흰 여백이 편안함을 주듯 적절한 곳에 광장과 잔디를 조성해 편안한 여백의 미를 살려 놓았다. 꽉 찬 느낌이 안 든다. 매점이나 음식점, 화장실도 최소한의 필요량만 있거나 아예 없다.
이렇듯 공원 하나를 조성하면서도 IPPUC(꾸리찌바도시계획연구소)는 물, 건축물, 빛과 숲이 어우러진 여백의 공간으로 만들어 냈다.
Ⅶ. 결론 및 제언
도시가 고밀화 되고 또한 그 여파로 황폐한 느낌마저 드는 것이 요즘의 우리 도시의 모습이다. 도시 내 휴식공간에 대한 시민의 욕구는 날로 증대하고 있지만 시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여가를 보낼 수 있는 도시 내의 녹화된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서울의 공원면적은 도시자연공원, 근린공원, 국립공원, 어린이공원, 그리고 한강 시민공원 등을 합쳐서 총 152.47제곱 킬로미터에 이르고 있지만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근린공원과 어린이 공원은 전체의 23%에 불과하고 근린공원도 대부분 산지에 위치하고 있는 형편이라 시민들이 일상생활에 있어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은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1995년 서울시의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방향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시민은 대부분이 규모가 작아도 집이나 직장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가까운 공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원을 조성하려고 하여도 지가가 높은 시가지내에 공원녹지를 확보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소규모 공지나 자투리땅, 그리고 도심내의 오피스의 외부공간으로서의 도시 소공원은 매우 긍정적인 해결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귀곤(1994), 도시 공원, 녹지 계획 설계론
김헌규(1987), 세계의 국립공원, 서울 : 청암출판사
도시공원법(1992), 한국토지공사, 조경설계기준
박용남(2006), 꿈의도시 꾸리찌바, 녹색평론사
환경과 조경(1992), 쌈지(마당)공원조성 기본계획, 통권 54
황길식(1997), 자연공원의 환경친화적인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상암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시재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방법에 관한 연구
파주신도시 건설
도시화로 인한 사회 환경적 문제점과 해결방안(A+레포트)
파주 신도시 개발방안
수원 동탄신도시개발에 관해
[초고층건물]초고층건물(초고층건축물)의 개념과 도시환경, 초고층건물(초고층건축물)의 구조...
생태도시
도시경관과 경관계획 - 도시경관과 경관계획, 대표적 관점, 경관법 시행과 그에 따른 변화, ...
139,생태도시,친환경도시,옥상녹화사례,옥상녹화,옥상정원,1000
63,63,컴팩트시티,compact city,압축도시,컴팩트시티적지,3500,컴팩트 시티(compact city)의 ...
프랑스 도시계획제도
시카고의 친환경적 측면(도시계획) - 시카고 : 녹색 도시를 꿈꾸다.ppt
친환경 도시(N City) 만들기 프로젝트(N-city의 개념, 친환경 도시 만들기, N City의 방향, N...
건축학개론 우리나라의 생태주택 푸르지오 제너하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