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노벨_생리의학상수상자_로버트_에드워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0노벨_생리의학상수상자_로버트_에드워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난자들을 실험실에서 수정시켰으며, 덜 성숙한 여성의 자궁에 수정란을 착상시키려 노력했다. 마침내 78년 7월 25일 첫번째 시험관 아기인 루이스 브라운이 탄생했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400만명 이상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4일 에드워즈 박사가 전 세계 모든 부부 10% 이상이 겪고 있는 불임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에드워즈 박사를 대신한 부인 루스와 가족은 발표문을 통해 "너무도 기쁘다"면서 "연구의 성과는 전세 계 수백만 명의 삶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는 불굴의 의지로 연구를 개척해 성과물을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1926년 : 영국출생 번거리대에서 농학전공
1951년 : 에딘버르 동물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현미경으로 쥐의 난자를 관찰하면서 인간의 난자에 배양에 관심을 갖게 된 동기가 됨
1958년 : 런던 북부 국림의학연구소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인간 난자배양 연구시작, IVF,인공배양 착안, 그러나 윤리적인 문제로 연구어려움.
1963년 : 캠브리지 생리의학연구소에서 토끼와 햄스터를 이용한 체외수정성공
1967년 : laparoscope를 이용한 인간 체외수정프로젝트를 페트릭스텍튜와 함께 시작
난자의 배양액속에 정자를 뿌려 수정시키는데 성공
1972년 : 수정된 배를 자궁에 이식도전하였으나 연속적실패
1975년 : 착상시키는데 성공하였으나 자궁외임신,그후 배란촉진제나 호르몬투여량조절을 통해 여러번 실험, 연구생활 6년째 드디어 정상임신 성공
1978년 : 세계최초 첫 시험관아기 리즈브라운 탄생
느낀점
발생학수업을 들으면서 발생학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생명의 시작을 다루는 학문인 점에서 매력적인것 같습니다.
노벨상을 받기위해 연구를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다만 노벨상은 연구성과가 사후에 인간의 진보에 얼마만큼 큰 비중을 차지했느냐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진다 보여집니다.
특히 인류의 생명과 그 증진에 관한 노벨생리의학상은 생명연장은 물론 Quality of Life라는 관점까지 포괄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작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로버트에드워드박사는 자신의 연구를 통해 IVF를 개발하여 수많은 불임부부에게 희망을 주었습니다.
물론 생명윤리에 관하여 비난도 받긴 했으나 생명을 넘어 삶의 질까지도 인류에게 있어서는 중요하다는점을 시사해준다는점이 2010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의의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노벨상을 수상자의 공통점은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용기와 인내를 갖고 연구하는 불굴의 의지인것 같습니다.
좋은결과 뒷면에는 최선의 노력의 과정이 있습니다. 행운은 열심히 노력하는 자에게 주는 신의 선물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참고문헌
1. 연합뉴스 2010년 노벨상수상자 기사발췌, 연합뉴스 기사모음
2. 박종률. “노벨생리의학상, 인공 체외수정 개발 英 에드워즈”
3. a cartoon history of medicine
4. 위키패디아 검색
5. 사이언스동아 2010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1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