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기존 북한기근 대응의 문제점
Ⅱ. 북한기근의 원인
Ⅲ. 북한 기근의 대응
Ⅳ. 결론: 북한 기근 해결 위한 대책
Ⅱ. 북한기근의 원인
Ⅲ. 북한 기근의 대응
Ⅳ. 결론: 북한 기근 해결 위한 대책
본문내용
의 시장 활동을 해왔다. 또한 인민들을 책임질 수 없는 북한 정부 또한 이를 암암리에 묵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자원이 없는 북한의 상황적 특성상 이러한 시장은 원시적인 형태로 끝나고 말 가능성이 많다. 인적자원과 물적 자원을 적극 투입하여 북한의 자유로운 시장경제를 만듦으로써 아래로부터의 개혁을 도모해야 한다. 끝으로 북한정권의 선군정치 체제를 포기시켜야 한다. 체제유지를 위해 경제난과 식량난에도 불구하고 없는 자원까지 투입해서 핵무기와 미사일 등 군사력을 강화하는 북한정권은 인민들과 함께 몰락의 길을 걷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다. 여태까지의 미온적인 대응방식으로는 북한의 군사강화를 막을 수 없다. 적극적인 압박정책으로 더 이상 무력강화가 체제보장에 도움이 될 것이 없다는 상황을 인지시켜야 북한 정권도 이를 인정하고 국제사회에 적극 협조할 것이다.
<참고문헌>
정병호, 「북한기근의 인류학적 연구」, 2000.
이석,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통일연구원』, 2004. 12.
장의관, 「북한의 통치이념과 정치체제」,『북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8.
서의남, “경계해야 할 북한의 식량 위기전술,” 국방저널, 1996. 6, pp. 80~85.
임원혁, “이디오피아식 대규모 기근에 직면한 북한: 북한 식량난,” 조선일보사, 월간조선, 1997년 9월호.
정병호, “북한 기아 구호활동 민간단체의 현황과 과제,”,2000.
임길진 장남수 편, 북한의 식량문제: 실태와 대책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0).
나초스앤드류 저, 황재옥 옮김, 북한의 기아: 기아와 정치 그리고 외교정책 (서울: 다미디어, 2003), 제1장.
중앙일보, 1998년 4월 13일.
'대북 인도적 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토론회 ⓒ 뉴데일리NEWS.
박세용, 「북한 대기근 다시 오나?…올해 식량 생산량 '뚝'」, 『SBS 8뉴스』, 2009. 11. 1
D. L. Yang, Calamity and Reform in China (Stanford: Stanford Univ., 1996).
P. A. Sorokin, Man and Society in Calamity (New York: Dutton, 1942).
P. A. Sorokin, Hunger as a Factor in Human Affairs (Gainsville, Florida: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75).
Catherine Wanner, Burden of Dreams: History and Identity in Post-Soviet Ukraine (Penssylvani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8).
S. Lautze, The Famine in North Korea: Humanitarian Responses in Communist Nations (Feinstein International Famine Center, Tufts Univ., 1997).
<참고문헌>
정병호, 「북한기근의 인류학적 연구」, 2000.
이석,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통일연구원』, 2004. 12.
장의관, 「북한의 통치이념과 정치체제」,『북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8.
서의남, “경계해야 할 북한의 식량 위기전술,” 국방저널, 1996. 6, pp. 80~85.
임원혁, “이디오피아식 대규모 기근에 직면한 북한: 북한 식량난,” 조선일보사, 월간조선, 1997년 9월호.
정병호, “북한 기아 구호활동 민간단체의 현황과 과제,”,2000.
임길진 장남수 편, 북한의 식량문제: 실태와 대책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0).
나초스앤드류 저, 황재옥 옮김, 북한의 기아: 기아와 정치 그리고 외교정책 (서울: 다미디어, 2003), 제1장.
중앙일보, 1998년 4월 13일.
'대북 인도적 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토론회 ⓒ 뉴데일리NEWS.
박세용, 「북한 대기근 다시 오나?…올해 식량 생산량 '뚝'」, 『SBS 8뉴스』, 2009. 11. 1
D. L. Yang, Calamity and Reform in China (Stanford: Stanford Univ., 1996).
P. A. Sorokin, Man and Society in Calamity (New York: Dutton, 1942).
P. A. Sorokin, Hunger as a Factor in Human Affairs (Gainsville, Florida: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75).
Catherine Wanner, Burden of Dreams: History and Identity in Post-Soviet Ukraine (Penssylvani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8).
S. Lautze, The Famine in North Korea: Humanitarian Responses in Communist Nations (Feinstein International Famine Center, Tufts Univ.,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