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본문내용
등 게시판 콘텐츠 등이다.
5) Wiki 적용사례
① 전공위키백과(http://libwiki.skku.ac.kr)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에서 운영하는 전공위키백과로 주제사서들과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정보들을 함께 공유하며 만들어 가는 곳이다.
② 직지. 직지프로젝트. 한국의 Project Gutenberg.(http://www.jikji.org)
옛 직지는 고대, 근대, 현대 소설 등을 시대적으로 분류해 놓거나, 장르별로 분류해 놓고 작품을 직접 다운 받아 읽거나, 작품 세계 등을 찾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지위키는 회원제로 운영하며 영어와 한국어 선택이 가능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③ Gpgiki. 게임 개발자들의 위키.(http://gpgstudy.com/gpgiki/)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내용, 게임 제작, 게임 장르 정의, 관련 링크 모음 등 일반 위키 보다는 뉴미디어의 형식을 더 가미한 사이트이다. 게임에 관한 다양한 의사 소통 공간의 확보와 정보 공유를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게임 개발자들의 블로그 모음, 게임 관련 사이트, 게임 개발 컨퍼런스 등을 링크해 놓아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구성 되어있다.
④ GnomeKorea. 그놈(GNOME) 프로젝트.(http://gnome.or.kr/)
사용자를 위한 완전히 자유롭고 사용하기 쉬운 데스크탑 환경과 동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강력한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있다. 그놈은 GNU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자유 소프트웨어(흔히,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고 불린다)이다. 그놈은 많은 BSD와 GNU/리눅스에 포함되어 배포되고 있으며, 다른 여러 UNIX 시스템에서도 작동한다. 이 곳은 한국의 그놈 사용자들을 위한 여러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⑤ BioinfoWiki. 생물정보학 전문 위키 사이트(http://bioinfo.sarang.net/wiki)
이 사이트는 생물 정보학 전문 사이트로서 전형적인 위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함께 글을 써가고 편집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완성 파일을 볼 수 있다.
⑥ 의학정보 medwiz 위키 시스템.(http://www.medwiz.com)
1명의 특별한 사람이 아닌 10명의 보통 사람들이 만드는 것으로 의료 전문가들에 의해 검증된 정보를 합의, 지침 등으로 빠르게 제공하고 교류하여 합리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의학정보를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의학 참고서인 의학정보 위키 시스템이다.
⑦ 대학 교육에서의 위키 이용. (http://abouteverythingblogz.info/?q=+use+wiki+education+univer)
위키를 교육에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사이트이다. 여러 방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⑧ wikimatrix . 위키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http://www.wikimatrix.org)
위키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세상의 모든 위키를 비교하다'로 특징지을 수 있다. 각각의 위키 서비스 장단점을 쉽게 비교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특히 각 위키별 특징은 만든 사람이 가장 잘 알기 때문에 해당 위키의 제작자가 직접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6) 북마크릿을 활용한 책 검색 2.0(http://lomofan.cafe24.com/zb5/?sid=31)
먼저, 검색 가능한 도서관 리스트에서 검색을 원하는 도서관 주소를 복사하여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등록한다.
온라인 서점 사이트에서 원하는 도서의 상세화면에서 즐겨찾기에 등록된 도서관을 선택한다.
팝업창으로 뜬 해당 도서관의 검색결과 화면에서 도서상태을 확인한다.
Ⅲ. 정리하기
■ 학습평가
1. 다음 중 웹2.0(Web 2.0)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웹 2.0의 공통적인 특징은 개방성, 연결성, 참여지향성 및 상호작용성이다.
RSS, Mashup, Tagging, Wiki, API 등 다양한 웹 2.0 서비스 모델이 있다.
온라인상의 협업과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웹상에서 제공되는 2세대 서비스이다.
웹 2.0에는 파레토 법칙인 80대 20 법칙이 적용된다.
* 정답: ④ ==> 웹 2.0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롱테일 법칙이 적용된다.
2. 다음 중 웹 2.0서비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RSS: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만 제공 받는 편리한 방법
Mashup : 공개되어 있는 웹 서비스나 데이터 소스를 조합해 독자적인 콘텐츠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방법
Wiki: 사용자가 직접 만든 메타데이터
API: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집합이라는 뜻으로 개발자들은 이 기능을 가져다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
* 정답: ③ => ③은 Tag에 대한 설명이다.
3. (RSS서비스)를 통해서 도서관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도서관 공지사항, 신착자료 목록, 예약도서 도착통지, 신착저널 목차, 도서반납 예정 알림, 서평, 도서관 검색결과, 추천도서, FAQ, 건의사항, 게시판 콘텐츠 등이다.
■ 학습정리
1. Web 2.0은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의 협업과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웹상에서 제공되는 2세대 서비스이고, 1세대와는 달리 Web 2.0은 이용자들이 전통적인 웹페이지 보다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에 더 가까워지는 경험을 하도록 한다.
2. 웹 2.0의 공통적인 특징은 개방성, 연결성, 참여지향성 및 상호작용성이며, RSS, Mashup, Tagging, Wiki, API 등 다양한 웹 2.0 서비스 모델이 있다.
3. Library 2.0은 Web 2.0을 차용하여 도서관에 적용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적용사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서들이 만드는 시사용어 사전
도서관 사진 공유사이트
RSS: 도서관 공지사항, 신착자료 목록, 예약도서 도착통지, 서평, 추천도서 등
학술정보 소셜 북마킹
각종 전공위키
Ajax를 활용한 검색 화면: 빠른 검색결과 제공
북 마크릿을 활용한 책 검색 등
도서관 툴바 LibX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 구축 등
5) Wiki 적용사례
① 전공위키백과(http://libwiki.skku.ac.kr)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에서 운영하는 전공위키백과로 주제사서들과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정보들을 함께 공유하며 만들어 가는 곳이다.
② 직지. 직지프로젝트. 한국의 Project Gutenberg.(http://www.jikji.org)
옛 직지는 고대, 근대, 현대 소설 등을 시대적으로 분류해 놓거나, 장르별로 분류해 놓고 작품을 직접 다운 받아 읽거나, 작품 세계 등을 찾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직지위키는 회원제로 운영하며 영어와 한국어 선택이 가능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③ Gpgiki. 게임 개발자들의 위키.(http://gpgstudy.com/gpgiki/)
게임 프로그래밍에 관한 내용, 게임 제작, 게임 장르 정의, 관련 링크 모음 등 일반 위키 보다는 뉴미디어의 형식을 더 가미한 사이트이다. 게임에 관한 다양한 의사 소통 공간의 확보와 정보 공유를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게임 개발자들의 블로그 모음, 게임 관련 사이트, 게임 개발 컨퍼런스 등을 링크해 놓아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구성 되어있다.
④ GnomeKorea. 그놈(GNOME) 프로젝트.(http://gnome.or.kr/)
사용자를 위한 완전히 자유롭고 사용하기 쉬운 데스크탑 환경과 동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강력한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있다. 그놈은 GNU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자유 소프트웨어(흔히,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고 불린다)이다. 그놈은 많은 BSD와 GNU/리눅스에 포함되어 배포되고 있으며, 다른 여러 UNIX 시스템에서도 작동한다. 이 곳은 한국의 그놈 사용자들을 위한 여러 정보들로 이루어져 있다.
⑤ BioinfoWiki. 생물정보학 전문 위키 사이트(http://bioinfo.sarang.net/wiki)
이 사이트는 생물 정보학 전문 사이트로서 전형적인 위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함께 글을 써가고 편집하는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완성 파일을 볼 수 있다.
⑥ 의학정보 medwiz 위키 시스템.(http://www.medwiz.com)
1명의 특별한 사람이 아닌 10명의 보통 사람들이 만드는 것으로 의료 전문가들에 의해 검증된 정보를 합의, 지침 등으로 빠르게 제공하고 교류하여 합리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의학정보를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의학 참고서인 의학정보 위키 시스템이다.
⑦ 대학 교육에서의 위키 이용. (http://abouteverythingblogz.info/?q=+use+wiki+education+univer)
위키를 교육에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사이트이다. 여러 방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⑧ wikimatrix . 위키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http://www.wikimatrix.org)
위키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세상의 모든 위키를 비교하다'로 특징지을 수 있다. 각각의 위키 서비스 장단점을 쉽게 비교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특히 각 위키별 특징은 만든 사람이 가장 잘 알기 때문에 해당 위키의 제작자가 직접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6) 북마크릿을 활용한 책 검색 2.0(http://lomofan.cafe24.com/zb5/?sid=31)
먼저, 검색 가능한 도서관 리스트에서 검색을 원하는 도서관 주소를 복사하여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등록한다.
온라인 서점 사이트에서 원하는 도서의 상세화면에서 즐겨찾기에 등록된 도서관을 선택한다.
팝업창으로 뜬 해당 도서관의 검색결과 화면에서 도서상태을 확인한다.
Ⅲ. 정리하기
■ 학습평가
1. 다음 중 웹2.0(Web 2.0)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웹 2.0의 공통적인 특징은 개방성, 연결성, 참여지향성 및 상호작용성이다.
RSS, Mashup, Tagging, Wiki, API 등 다양한 웹 2.0 서비스 모델이 있다.
온라인상의 협업과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웹상에서 제공되는 2세대 서비스이다.
웹 2.0에는 파레토 법칙인 80대 20 법칙이 적용된다.
* 정답: ④ ==> 웹 2.0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롱테일 법칙이 적용된다.
2. 다음 중 웹 2.0서비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RSS: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만 제공 받는 편리한 방법
Mashup : 공개되어 있는 웹 서비스나 데이터 소스를 조합해 독자적인 콘텐츠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방법
Wiki: 사용자가 직접 만든 메타데이터
API: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집합이라는 뜻으로 개발자들은 이 기능을 가져다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
* 정답: ③ => ③은 Tag에 대한 설명이다.
3. (RSS서비스)를 통해서 도서관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도서관 공지사항, 신착자료 목록, 예약도서 도착통지, 신착저널 목차, 도서반납 예정 알림, 서평, 도서관 검색결과, 추천도서, FAQ, 건의사항, 게시판 콘텐츠 등이다.
■ 학습정리
1. Web 2.0은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의 협업과 정보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웹상에서 제공되는 2세대 서비스이고, 1세대와는 달리 Web 2.0은 이용자들이 전통적인 웹페이지 보다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에 더 가까워지는 경험을 하도록 한다.
2. 웹 2.0의 공통적인 특징은 개방성, 연결성, 참여지향성 및 상호작용성이며, RSS, Mashup, Tagging, Wiki, API 등 다양한 웹 2.0 서비스 모델이 있다.
3. Library 2.0은 Web 2.0을 차용하여 도서관에 적용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적용사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서들이 만드는 시사용어 사전
도서관 사진 공유사이트
RSS: 도서관 공지사항, 신착자료 목록, 예약도서 도착통지, 서평, 추천도서 등
학술정보 소셜 북마킹
각종 전공위키
Ajax를 활용한 검색 화면: 빠른 검색결과 제공
북 마크릿을 활용한 책 검색 등
도서관 툴바 LibX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 구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