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ileus(장폐색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S-ileus(장폐색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2. 문헌고찰
3.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5. 진단을 위한 검사
6.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입원생활과 관련된 지식부족

본문내용

좋아 졌다고 함
12/9
NG 제거함, 복부통증 없음, NG remove후 복부 불편감·통증 호소하지 않음
12/10
복부 불편감 없음, SOW교육, SOW후 복부 불편감 호소하지 않음
(2) 약물치료(Medication)
약물 투여일
12/7
12/8
12/9
12/10
12/11
H/D1000ml
Glamin 500ml
pacetin 1g
2 via / q12h
Gaster 20mg
1 via
Tridol 50mg
1 amp
ows-b 2ml
1 amp
D/S(1:2) 500ml
5% D/S 1L
Urantac 50mg
1 amp
cefotiam
1 via / q12h
selbex 50mg
t.i.d
t.i.d
Albis
b.i.d
Medication 적응증 및 용법
약품명
Glamin
용량·용법
ㅇ1일 체중 kg당 총아미노산/디펩티드로서 1-2g(질소로서 0.17-0.34g)을 점적정주
ㅇ투여속도: 체중 kg당 1시간 동안 0.6-0.7ml(총아미노산/디펩티드로서 0.08-0.09g)
금기증
선천성 아미노산 대사장애 환자(페닐케톤뇨증 등), 심한 간부전이나 신부전 환자, 불안정하며 생명을 취협하는 순환계 이상(쇽) 환자, 대사성산증 환자, 세포산소공급 부족, 과수분공급증이 있는 환자, 저나트륨혈증 환자, 저칼륨혈증 환자, 과젖산혈증 환자, 혈청 삼투압증가가 있는 환자, 폐부종 환자, 대사성기능장애 심부전 환자, 본제의 구성성분에 과민증 환자
주의사항
소아
약품명
tridol
용량·용법
성인 : 1회 1~2앰플(트라마돌염산염으로서 1회 50-100mg)을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한 후 필요에 따라 4-5시간마다 반복 주사한다. 1일 최고 8앰플(400mg)까지 투 여할 수 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증
1) 급성 알코올중독 환자
2) 수면제, 진통제, 아편, 향정신성약물 등 중추신경계 작용약물 중독 환자
3) 심한 호흡억제상태 환자(가벼운 호흡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4) 두부손상, 뇌의 병변이 있는 경우로 의식혼탁의 위험이 있는 환자
5) MAO저해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 또는 최근 14일이내에 투약한 경험이 있는 환자
6) 임부, 수유부
7)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 및 아편에 대해 과민증 및 그의 병력이 있는 환자
8)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간질 환자
9) 마약 금단 증상 치료 목적의사용
주의사항
1) 모르핀 병용 또는 반복투여환자(동물 실험에서 가벼운 모르핀 길항작용이 인정되었으므로 금단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2) 담도질환 환자(동물 실험에서 대량 투여하는 경우 오디괄약근을 수축했다.)
3) 간 장애 환자(동물실험에서 혈청AST, ALT활성치의상승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4) 음주 환자
5) 아편에 대해 과민증 환자
6) 신 장애 환자(신 기능장애시 이 약 및 이 약의 활성 대사물의 배설속도와 양이 감소되므로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30ml/분 이하인 환자는 투여량을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중추신경억제 약물(알코올, 아편류, 마취제, 페노치아진계 약물, 신경안정제, 진정수면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감량 투여한다.)
약품명
urantac
용량·용법
성인 : 라니티딘으로서 1회50mg 1일 3-4회 정맥 또는 근육 주사한다. 정맥 주사의 경 우 이 약 50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 20ml에 희석하여 최소 2 분 이상 천천히 주사하거나 수액에 혼합하여25mg/hr의 속도로 2시간에 걸쳐 점 적 정맥 주사한다. 상부소화관출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주 이내에 효과가 나타나는데,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된 후에는 경구투여로 바꾼다. 마취 전 투약 (멘델슨증후군 예방)의 경우에는 마취유도 45-60분전에 50mg을 근육주사하거 나 1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사한다.
소아 : 소아에 대한 임상연구는 확립되어있지 않다.
신 장애 환자 :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50ml/min이하인 심한 신 장애 환자의 경우 투여량 을 줄여 1회 25mg을 투여하거나, 투여간격을 늘려 1회 50mg을 18-24 시간마다 투여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50mg을12시간 간격으로 투여 할 수 있으며 혈액투석은 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혈액 투석 직후 투약 계획을 재조정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금기증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주의사항
1) 신 장애 환자(이 약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중증 신 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혈장 농도가 증가한다. 투여량을 감소하거나 투여간격을 늘이는 등 2용법용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2) 간 장애 환자
3) 약물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4) 고령자
5) 이 약이 급성 포르피린성 발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임상 보고가 드물게 있으므로 급성 포르피린증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
2.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12/9
12/10
2
입원생활과 관련된 지식부족
12/7
12/8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운동부족과 관련된 변비 ( 12 월 9 일)
Subjective Data
“운동할 곳이 없어 운동을 안했더니 변비가 생겼어요”
Objective Data
29세 남자, 키:78, 체중:171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 변비 증상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plan
- 24시간 동안 적어도 3,000ml의 수분을 섭취하고 고섬유 식이를
하도록 권장한다.
-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필요시 하제나 배변완화제를 투여하도록 한다.
- 운동할 곳과 운동을 교육하도록 한다.
Implication
- 대상자에게 충분한 수분 섭취와 섬유질 섭취를 하게 하였다.
- 어떻게 운동을 해야 할 것인지를 교육 하였다.
- 배변완화제가 필요하여 투여하였다.
evaluation
- 수분과 섬유질 섭취, 그리고 꾸준한 운동으로 인해
변비증상이 없다고 함
참고문헌
1. NANDA 간호진단
2. KMLE 의학 검색 엔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10.20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