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글로벌마케팅의 개념과 특유성
1. 글로벌마케팅의 개념
2. 글로벌마케팅의 특유성
1) 다국가 시장을 서브함
2) 해외시장의 환경 파악이 중요함
3) 시장별로 상이한 마케팅전략
4) 네트워크 마케팅
Ⅱ. 해외시장 선정
1. 글로벌 시장세분화
1)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개념
2)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이점
3)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기준
2.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
1) 세분시장의 평가
(1) 세분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2) 투자수익률 전망
2) 표적시장의 선정
3. 글로벌 포지셔닝전략
1. 글로벌마케팅의 개념
2. 글로벌마케팅의 특유성
1) 다국가 시장을 서브함
2) 해외시장의 환경 파악이 중요함
3) 시장별로 상이한 마케팅전략
4) 네트워크 마케팅
Ⅱ. 해외시장 선정
1. 글로벌 시장세분화
1)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개념
2)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이점
3)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기준
2.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
1) 세분시장의 평가
(1) 세분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2) 투자수익률 전망
2) 표적시장의 선정
3. 글로벌 포지셔닝전략
본문내용
자원을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기준
시장을 효과적으로 세분하려면 이질적인 전체시장을 동질적인 시장으로 나누는 기준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분화 기준을 선정하는 데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의미 있는 기준을 사용하여야 한다.
시장세분화의 기준
2.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
기업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글로벌시장을 세분화한 후, 상이한 세분시장들을 평가하고, 어떤 세분시장을 그리고 얼마나 많은 세분시장을 표적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1) 세분시장의 평가
1> 세분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특정 기업체가 세분시장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은 자사제품에 대한 세분시장의 현재규모와 미래잠재성이다. 세분시장의 규모와 잠재성을 가리키는 지표는 GNP/GDP규모와 1인당 소득 및 그들의 성장률, 중산층의 규모, 산업화 수준 등이다.
2> 투자수익률 전망
세분시장이 규모도 크고 성장가능성이 높더라도 기대되는 투자수익률 전망이 좋지 않으면 매력적인 시장이라 할 수 없다. 시장규모도 크고 성장률도 좋은 세분시장이 기대수익률이 낮은 것은 경쟁요인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표적 시장을 선정할 때에는 경쟁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세 가지 대안적인 표적시장 선정전략
(2) 표적시장의 선정
기업은 자사와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서브할 수 있는 세분시장의 유형과 진출할 시장의 수를 결정한다. 즉 특정 기준에 의해 세분화된 여러 시장 중에서 기업의 자원, 목표 등을 감안하여 단일세분화시장전략, 복수세분화시장전략, 전체 표준화전략 등을 선택한다.
3. 글로벌 포지셔닝전략
기업이 어떤 특정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한 후에는, 그 시장에서 제품의 포지셔닝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기업이 경쟁사와는 다른 차별적인 특징이나 이미지를 표적시장의 고객에게 인식시키는 한편, 기업의 전략적 위치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글로벌마케터는 표적시장 소비자에게 자사제품을 포지셔닝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시장 간의 욕구 차이를 반영하여 각 시장에 적합한 포지셔닝을 개발하는 시장별 포지셔닝 전략이다. 예를 들면 Honda의 Accord는 일본에서는 가족 차(family car)의 이미지를, 미국에서는 주로 통근용 세컨드 카(second car)의 이미지를, 아시아의 일부시장에서는 신분을 나타내는 차(status car) 유럽시장에서는 스포티 카(sporty car)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등 시장마다 각각 다른 제품포지셔닝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국별(지역별)세분화 방식에서 많이 사용된다.
둘째, 모든 시장에 동일한 포지셔닝을 적용하는 공동 포지셔닝전략이다. 예를 들면 Benz의 중대형 자동차는 각국의 고소득층을 공동의 표적으로 해서 신분을 나타내는 고급차로서의 제품포지셔닝을 구사하였다. 소비자들이 글로벌화 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접근방식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3) 글로벌 시장세분화의 기준
시장을 효과적으로 세분하려면 이질적인 전체시장을 동질적인 시장으로 나누는 기준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분화 기준을 선정하는 데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나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의미 있는 기준을 사용하여야 한다.
시장세분화의 기준
2. 글로벌 표적시장 선정
기업은 적절한 절차에 따라 글로벌시장을 세분화한 후, 상이한 세분시장들을 평가하고, 어떤 세분시장을 그리고 얼마나 많은 세분시장을 표적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1) 세분시장의 평가
1> 세분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특정 기업체가 세분시장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은 자사제품에 대한 세분시장의 현재규모와 미래잠재성이다. 세분시장의 규모와 잠재성을 가리키는 지표는 GNP/GDP규모와 1인당 소득 및 그들의 성장률, 중산층의 규모, 산업화 수준 등이다.
2> 투자수익률 전망
세분시장이 규모도 크고 성장가능성이 높더라도 기대되는 투자수익률 전망이 좋지 않으면 매력적인 시장이라 할 수 없다. 시장규모도 크고 성장률도 좋은 세분시장이 기대수익률이 낮은 것은 경쟁요인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표적 시장을 선정할 때에는 경쟁요인을 고려하여야 한다.
세 가지 대안적인 표적시장 선정전략
(2) 표적시장의 선정
기업은 자사와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서브할 수 있는 세분시장의 유형과 진출할 시장의 수를 결정한다. 즉 특정 기준에 의해 세분화된 여러 시장 중에서 기업의 자원, 목표 등을 감안하여 단일세분화시장전략, 복수세분화시장전략, 전체 표준화전략 등을 선택한다.
3. 글로벌 포지셔닝전략
기업이 어떤 특정 세분시장을 표적시장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한 후에는, 그 시장에서 제품의 포지셔닝을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기업이 경쟁사와는 다른 차별적인 특징이나 이미지를 표적시장의 고객에게 인식시키는 한편, 기업의 전략적 위치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글로벌마케터는 표적시장 소비자에게 자사제품을 포지셔닝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시장 간의 욕구 차이를 반영하여 각 시장에 적합한 포지셔닝을 개발하는 시장별 포지셔닝 전략이다. 예를 들면 Honda의 Accord는 일본에서는 가족 차(family car)의 이미지를, 미국에서는 주로 통근용 세컨드 카(second car)의 이미지를, 아시아의 일부시장에서는 신분을 나타내는 차(status car) 유럽시장에서는 스포티 카(sporty car)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등 시장마다 각각 다른 제품포지셔닝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국별(지역별)세분화 방식에서 많이 사용된다.
둘째, 모든 시장에 동일한 포지셔닝을 적용하는 공동 포지셔닝전략이다. 예를 들면 Benz의 중대형 자동차는 각국의 고소득층을 공동의 표적으로 해서 신분을 나타내는 고급차로서의 제품포지셔닝을 구사하였다. 소비자들이 글로벌화 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접근방식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상그룹의 인도네시아 진출 과정
마케팅환경 분석과 마케팅환경 변화에 따른 성공사례
[국제경영]기업경영의 글로벌 확대와 이문화 마찰 극복방안
현대자동차 미국시장진출위한 글로벌 마케팅전략
2012년 2학기 마케팅특강 기말시험 핵심체크
현대자동차의 미국시장 마케팅 전략
[미샤][미샤 연혁][미샤 현황][미샤 마케팅믹스][미샤 화장품혁명][미샤 사업 전략]미샤의 연...
락앤락(Lock & Lock) 기업 경영분석및 마케팅전략 분석
2016년 2학기 마케팅특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하계계절시험 마케팅특강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마케팅특강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경영학과 마케팅특강 기말시험 핵심체크
글로벌화 또는 현지화 유발 요인을 이해한 상황에서 글로벌 산업의 유형과 기업의 국제화 단...
2018년 2학기 마케팅특강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