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지국가의 의의
1) 복지국가의 개념
2) 복지국가의 유형
1.
2.
3.
4
1) 복지국가의 개념
2) 복지국가의 유형
1.
2.
3.
4
본문내용
주적 복지국가).
사회적 조합주의는
정부, 노동, 자본 삼자가 물가와 복지 등의 문제를 상의, 결정하는
삼자협동주의가 핵심이다.
사회적 조합주의는
노동조합의 힘이 강할 때 나타나며, 복지국가의 확대를 가져온다.
(2) Forder et al.(1984: 149-152)
고전적 조합주의
: 사회를 여러 직능단체들의 집합체로 간주하며, 의회에 대해 부정적이다.
중세의 길드 사회주의가 대표적이고, 이탈리아 파시즘의 기원이 되었다.
19세기 조합주의
: 노동자 계급의 힘을 억제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시장을 통한 자본주의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국가가 나서서 사회단체들을 조직하여 일시적으로 사회안정을 기한다
(비스마르크 사회입법).
계약 조합주의(bargained corporatism)
: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조합주의로서 현대의 복지국가가 전형적이다.
자본과 노동이 자율성을 견지하면서
삼자협동주의에 따라 임금, 물가와 복지 등을 절충, 타협, 결정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3) Wilensky(1983: 53-55)
민주적 조합주의(corporatist democracy)
: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서독이 해당한다.
조직력이 강하고, 중앙 집권화된 노동, 고용주, 전문직 조직과
정부가 경제성장, 물가, 임금, 조세, 실업 및 사회복지정책과 같은
주요 과제를 협의, 결정한다.
분절된 조합주의(the fragmented and decentralized political economy)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선진복지국가라 할 수 없는 나라들이 해당한다.
이익집단들이 기득권과 편협한 이해관계를 유지하는데 매달리면서
국가적 과제를 놓고 협상하고 타협할 여지가 별로 없다.
노동자계급의 완전한 참여 없는 조합주의
(corporatism without full-scale participation by labour)
: 일본, 프랑스, 스위스가 해당한다.
정책결정과정에서 기업이 우월한 지위를 갖는다.
경제여건이 악화되면 노동을 배제하고,
사회적 평등을 억압하는 권위주의 통제로 대응한다.
(4) Lehmbruch
권위주의적 조합주의
: 권위적 권력으로 운영되는 체제이다.
자유주의적 조합주의(liberal corporatism)
: 대규모 사회집단이 국가의 공공정책의 결정에 참여하며,
참여하는 집단들의 협력관계가 유지된다.
사회적 조합주의는
정부, 노동, 자본 삼자가 물가와 복지 등의 문제를 상의, 결정하는
삼자협동주의가 핵심이다.
사회적 조합주의는
노동조합의 힘이 강할 때 나타나며, 복지국가의 확대를 가져온다.
(2) Forder et al.(1984: 149-152)
고전적 조합주의
: 사회를 여러 직능단체들의 집합체로 간주하며, 의회에 대해 부정적이다.
중세의 길드 사회주의가 대표적이고, 이탈리아 파시즘의 기원이 되었다.
19세기 조합주의
: 노동자 계급의 힘을 억제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다.
시장을 통한 자본주의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국가가 나서서 사회단체들을 조직하여 일시적으로 사회안정을 기한다
(비스마르크 사회입법).
계약 조합주의(bargained corporatism)
: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조합주의로서 현대의 복지국가가 전형적이다.
자본과 노동이 자율성을 견지하면서
삼자협동주의에 따라 임금, 물가와 복지 등을 절충, 타협, 결정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3) Wilensky(1983: 53-55)
민주적 조합주의(corporatist democracy)
: 네덜란드,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서독이 해당한다.
조직력이 강하고, 중앙 집권화된 노동, 고용주, 전문직 조직과
정부가 경제성장, 물가, 임금, 조세, 실업 및 사회복지정책과 같은
주요 과제를 협의, 결정한다.
분절된 조합주의(the fragmented and decentralized political economy)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선진복지국가라 할 수 없는 나라들이 해당한다.
이익집단들이 기득권과 편협한 이해관계를 유지하는데 매달리면서
국가적 과제를 놓고 협상하고 타협할 여지가 별로 없다.
노동자계급의 완전한 참여 없는 조합주의
(corporatism without full-scale participation by labour)
: 일본, 프랑스, 스위스가 해당한다.
정책결정과정에서 기업이 우월한 지위를 갖는다.
경제여건이 악화되면 노동을 배제하고,
사회적 평등을 억압하는 권위주의 통제로 대응한다.
(4) Lehmbruch
권위주의적 조합주의
: 권위적 권력으로 운영되는 체제이다.
자유주의적 조합주의(liberal corporatism)
: 대규모 사회집단이 국가의 공공정책의 결정에 참여하며,
참여하는 집단들의 협력관계가 유지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복지국가의 유형에 관한 질적비교분석; 개입주의, 자유주의 그리고 유교주의 복지체제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의 실태현황과 개선방안-미국,독일,스웨덴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복지국가][사회복지][사회복지시설][사회복지 평가][사회복지 전망]복지국가 유형과 사회복...
(사회학개론) 빈곤, 사회적배제, 그리고 복지국가 (최신 신문기사 및 사례 포함)보고서
한국의 주요 근로연계복지 프로그램, 근로연계복지의 유형화와 개념
사회복지정책과 복지국가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 엘리자베스 구민법, 구빈법의 변천, 탈구빈법, 복지국가의 성립시기
복지국가의 유형 4가지를 정리하고 우리나라는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와 복지국가의 유형화 이론 중 윌렌스키와 르보의 2분 모형과 티트머스의 3분 모형 ...
「아동복지(兒童福祉)」 아동복지의 범위 및 정책유형, 아동복지의 환경변화와 새로운 패러다...
티트머스의 사회복지정책 이념유형에서 선택적모형과 보편주의모형의 중간에 위치하는 산업적...
티트머스의 사회복지정책 이념유형에서 선택적 모형과 보편주의 모형의 중간에 위치하는 산업...
사회복지 급여의 유형별 비교(현금급여와 현물급여의 장단점 증서 기회 권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