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왕 9년(720)에 건립한 것으로 추측된다. 쌍사자가 마주 보고 서서 앞발로 중대)를 받들고 뒷발 밑에 연화좌가 있다. 중대의 둘레에 이중으로 연판을 새겼고 화대를 팔각으로 하여 위에는 개석을 덮었으며 그 위에 보주가 있다. 경남 합천의 영암사지석등, 국립광주박물관의 중흥산성 쌍사자석등과 함께 신라시대의 3대 석등으로 일컬어진다. 높이는 3.3m이다.
추천자료
80년대의 미술에 대하여 (80년대 미술계의 주요변화와 민중미술을 중심으로)
미학적 접근, 미술비평적 접근 및 미술사적 접근
다다(이즘)미술을 중심으로 살펴본 현대미술의 정신적 상황과 그 대표적 사례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
미술치료
러시아 사회사를 통해서 본 러시아 미술사
미술 속에 나타난 풍속의 표현과 사회 - 화상전과 풍속화를 중심으로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음악][문학][미술][발레...
서양미술사 9 필기자료
[미술감상][미술작품감상][미술작품감상방법]미술감상의 유형, 미술감상의 목적, 미술감상의 ...
인상주의(인상파) 미술의 의의, 인상주의(인상파) 미술 특징, 인상주의(인상파) 미술 배경, ...
미술감상지도(미술감상교육), 미술발상지도(미술발상교육), 미술판화지도(미술판화교육), 미...
[미술감상][미술감삼활동][미술작품감상][미술품]미술감상의 개념, 미술감상의 필요성, 미술...
중국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