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세기 중엽에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기전체로 서술한 고려사가 편찬 되었으며 이어서 고려사절요(편년체)가 편찬이 되었다.
▲혼일강리도
▲신증동국여지승람
▲혼일강리도
▲신증동국여지승람
본문내용
구 등 경제·군사·행정적인 측면이 약화되고, 인물·예속·시문 등이 강화되어 있다.
또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의례서의 편찬도 이루어졌는데 세종때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 등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인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 하였다.
또 성종 때에는 국가의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하여 의례서인 국조오례의를 편찬 하였다.
또 유교적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의례서의 편찬도 이루어졌는데 세종때에 모범이 될 만한 충신, 효자, 열녀 등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인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 하였다.
또 성종 때에는 국가의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하여 의례서인 국조오례의를 편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