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3) 예비 3-18,35 공통 게이트 증폭기, 트랜지스터 스위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2> 와 같은 전류파형을 얻을 수 있다. 입력펄스는 레벨 -V 및 +V사이를 변화한다. 이 경우 +V에서 트랜지스터는 오프로 되고, -V에서 온으로 된다. 입력펄스 v는 저항 R를 거쳐서 베이스에 가해진다. v가 순바이어스 방향으로 스위칭 되더라도 컬렉터 전류는 즉각적인 응답을 보이지 않으며, 온 상태로 들어가기 까지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진다.
① 지연시간(delay time : T)
- 전류파형이 포화되어 최대값의 10%로 올라가기까지의 시간이다.
② 상승시간(rise time : T)
- I의 10%에서 90%로 올라가는 시간이다. 최종치의 90%에 이르면 실질적으로 과도현상이 끝났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때 까지의 시간을 turn-on time(T)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 = T + T
On 상태에서 Off상태로 돌아올 때에도 역시 컬렉터전류는 즉각적인 응답을 보이지 않는다.
③ 축적시간(storage time : T)
- 입력펄스가 역방향으로 스위칭된 순간부터 I의 98%로 떨어지기 까지의 시간이다.
④ 강하시간(fall time : T)
- I의 90%에서 10%까지 떨어지는 시간이다. 축적시간과 강하시간과의 합을 turn-off time(T)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 = T + T
<그림 35-2> 스위칭 동작에서의 전류파형
그림 35-2(C)의 베이스전류파형 i에 대해 살펴보면, vi=V일 때 트랜지스터는 오프상태에 있으며 i0이다. 입력신호 v가 낮은 레벨 -V으로 점프(jump)할 때, i는 i파형보다 훨씬 빠르고 급격히 정상치 -V/R로 증대할 것이다. 이 때 V과 V는 각각 v보다 훨씬 크다고 가정한 경우이다.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스위칭 될 때의 i의 파형은 특이한 모양을 보인다. 스위칭 직후에 상당한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이 역방향 전류는 i의 크기가 거의 0으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한다.
(2) 교류전류에 대한 트랜지스터 스위치
그림 35-6의 회로에서 다이오드는 부(-)의 전압에 대해서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입력 신호의 +반주기에 트랜지스터는 포화되어지며 입력신호의 -반주기에 트랜지스터는 차단된다. 만일 입력 신호 전압의 진폭이 충분히 큰 경우 출력 신호는 11.99V ~ 0.2V 사이의 전압을 나타내는 구형파가 된다.
▣ 참고문헌
①전자회로기초및응용, 상학당, 남상엽 외2명
②Sedra/Smith, Microelectronic CIRCUITS, Fifth edidtion, OXFORD,2004.
③전자회로실험, 청문각, 김경태 외1명
④전자회로공학, 교우사, 최성재 외2명
http://blog.naver.com/3catas?Redirect=Log&logNo=60094543582&topReferer=http://cafeblog.search.naver.com&imgsrc=20091107_252/3catas_12575680651256gh9U_jpg/transister_3catas.jpg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23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