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동기원설
본토기원설
이동기원설과 본토기원설의 비교
평화의 정의
세계평화를 위한
본토기원설
이동기원설과 본토기원설의 비교
평화의 정의
세계평화를 위한
본문내용
민족이 고난의 사슬을 끊고 스스로 일어서면 세계평화 세계구원의 길이 열린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다 종교 상황과 동서 문명의 접전장이자, 압축 성장의 길을 가면서 수많은 인간 삶의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한국 사회는 인간 삶의 많은 본질적 문제에 대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훌륭한 토양이 될 수 있다.
우리 민족에게는 주변에 모인 세계 강대국의 이해 대립과 이데올로기와 갈등을 해소하여 세계평화와 새로운 문제를 창조하는 역할과 사명이 부과되어 있다.
우리 민족의 본바탕을 밝혀내면 우리 민족은 큰 기적을 행할 것이다.
우리 민족이 추구하는 목적은 예수님과 예수님의 복음 안에서, 예수님의 복음(福音)을 통하여 그리고 성령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과연 선진국이 될 수 있을까? 그것은 우리의 청소년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준비하는가에 달려 있다. 나라의 선진화를 위해서 청소년들은 세계경영을 위한 안목을 키우고 역사의 교훈을 통해 지혜를 축적해야 한다. 그래야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포용하며 소화하고 사생공영의 원리에 따라 평화(平和) 세계를 창조할 사명을 가진 민족이다.
우리의 민족 문화를 계승하거나 발전(發展)시키는 것은 한 민족의 후손인 우리의 고귀한 사명이다.
잃어버린 우리 영혼의 환국(桓國),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환하게 밝은 정치를 하는 나라인 우리 민족의 환국, 나아가 우리 인류의 환국을 찾기 위하여, 미완성으로 끝나버린 서구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완수해야 한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유교와 불교와 같은 동서 문명의 폐해를 가장 잘 아는 한국인이 동서문화를 종합할 자격이 있다.
한 민족은 한국만을 위해서 사는 민족이 아니라, 전 세계 인류와 그 인류를 위해 봉사할 민족이며 선택된 민족이다.
한 민족은 현대문화의 위기를 뚫고 동서 문화를 아우르는 세계 문화를 여는데 자격이 있다. 그 까닭은 한 민족이 유교, 불교, 물질문명,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나쁜 점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어떤 이념과 종교에 매이지 않고 모든 것을 종합하고 포용하는 일을 할 수 있다.
한 민족의 역사적 과제는 통일정신, 독립정신, 하나님 정신을 닦아내는데 있다. 이 셋은 작은 생각 버리고 크게 하나 됨에 있다.
한 민족이 고난의 길을 걷는 것은 자신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이다. 우리는 대임을 위하여 이 고통스러운 교훈의 초달을 견디어야 한다.
한국 종교계의 치열한 사상적 고투는 종교 자체로는 새로운 교리 신학적 성숙을 꾀할 수 있을 것이고, 더 넓게는 새로운 세기, 새로운 삶의 양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한민족은 세계사 속에서 짊어진 고난의 짐을 잘 짐으로 세계를 평화의 길로 이끌 수 있다.
한민족의 강인한 생명력과 생명사랑, 따뜻하고 밝은 생명을 추구하는 마음이 민족사의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살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위축되고 삐뚤어져 있다. 오늘 한민족의 생명이 위축되고 삐뚤어진 데는 민족사의 고난과 시련에만 그 이유를 돌릴 수 없다. 한민족의 사고와 감정 자체를 반성하고 검토해야 한다.
한반도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문명의 충돌과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서구의 분석적인 사유와 동양의 직관적인 사유가, 서양의 기독교와 동양의 불교가, 자본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가 서로 팽팽히 대립하면서도 교류하고 있다. 우리는 한반도에서 21세기를 향한 문명의 대전환이 이루어질 것임을 믿으며, 우리가 주체적 역할을 해야 할 것임을 자각해야 한다.
한반도에 지선과 극악이 공존하는 것은 지금이 소멸기이고 새로운 문명의 꼭지가 여기서 열리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다 종교 상황과 동서 문명의 접전장이자, 압축 성장의 길을 가면서 수많은 인간 삶의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한국 사회는 인간 삶의 많은 본질적 문제에 대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훌륭한 토양이 될 수 있다.
우리 민족에게는 주변에 모인 세계 강대국의 이해 대립과 이데올로기와 갈등을 해소하여 세계평화와 새로운 문제를 창조하는 역할과 사명이 부과되어 있다.
우리 민족의 본바탕을 밝혀내면 우리 민족은 큰 기적을 행할 것이다.
우리 민족이 추구하는 목적은 예수님과 예수님의 복음 안에서, 예수님의 복음(福音)을 통하여 그리고 성령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과연 선진국이 될 수 있을까? 그것은 우리의 청소년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준비하는가에 달려 있다. 나라의 선진화를 위해서 청소년들은 세계경영을 위한 안목을 키우고 역사의 교훈을 통해 지혜를 축적해야 한다. 그래야 한 사람 한 사람이 각자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포용하며 소화하고 사생공영의 원리에 따라 평화(平和) 세계를 창조할 사명을 가진 민족이다.
우리의 민족 문화를 계승하거나 발전(發展)시키는 것은 한 민족의 후손인 우리의 고귀한 사명이다.
잃어버린 우리 영혼의 환국(桓國),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환하게 밝은 정치를 하는 나라인 우리 민족의 환국, 나아가 우리 인류의 환국을 찾기 위하여, 미완성으로 끝나버린 서구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완수해야 한다.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유교와 불교와 같은 동서 문명의 폐해를 가장 잘 아는 한국인이 동서문화를 종합할 자격이 있다.
한 민족은 한국만을 위해서 사는 민족이 아니라, 전 세계 인류와 그 인류를 위해 봉사할 민족이며 선택된 민족이다.
한 민족은 현대문화의 위기를 뚫고 동서 문화를 아우르는 세계 문화를 여는데 자격이 있다. 그 까닭은 한 민족이 유교, 불교, 물질문명,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나쁜 점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어떤 이념과 종교에 매이지 않고 모든 것을 종합하고 포용하는 일을 할 수 있다.
한 민족의 역사적 과제는 통일정신, 독립정신, 하나님 정신을 닦아내는데 있다. 이 셋은 작은 생각 버리고 크게 하나 됨에 있다.
한 민족이 고난의 길을 걷는 것은 자신의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이다. 우리는 대임을 위하여 이 고통스러운 교훈의 초달을 견디어야 한다.
한국 종교계의 치열한 사상적 고투는 종교 자체로는 새로운 교리 신학적 성숙을 꾀할 수 있을 것이고, 더 넓게는 새로운 세기, 새로운 삶의 양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로도 작용할 수 있다.
한민족은 세계사 속에서 짊어진 고난의 짐을 잘 짐으로 세계를 평화의 길로 이끌 수 있다.
한민족의 강인한 생명력과 생명사랑, 따뜻하고 밝은 생명을 추구하는 마음이 민족사의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살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위축되고 삐뚤어져 있다. 오늘 한민족의 생명이 위축되고 삐뚤어진 데는 민족사의 고난과 시련에만 그 이유를 돌릴 수 없다. 한민족의 사고와 감정 자체를 반성하고 검토해야 한다.
한반도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문명의 충돌과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서구의 분석적인 사유와 동양의 직관적인 사유가, 서양의 기독교와 동양의 불교가, 자본주의 체제와 사회주의 체제가 서로 팽팽히 대립하면서도 교류하고 있다. 우리는 한반도에서 21세기를 향한 문명의 대전환이 이루어질 것임을 믿으며, 우리가 주체적 역할을 해야 할 것임을 자각해야 한다.
한반도에 지선과 극악이 공존하는 것은 지금이 소멸기이고 새로운 문명의 꼭지가 여기서 열리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 사회과 역할놀이 수업 및 시뮬레이션 게임학습
진리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투쟁 (서평)
국가의 역할
동북아와 중국의 인권현황과 미국의 역할, 동북아 인권을 위한 지역공동체 마련방안
여성의 정치참여 현실과 확대를 위한 여성연대의 필요성 및 방안
UN의 행동강령, 베이징여성회의 행동강령, 아동매춘 관련 행동강령, 공직윤리 관련 행동강령,...
서양 중세 여성의 계급별 지위와 역할
한민족 공동체를 위한 디아스포라의 역할
[동북아평화]동북아시아평화(동북아평화)를 위한 도시건설, 동북아시아평화(동북아평화)를 위...
[경제권, 중화경제권, 화교경제권, 한민족공동경제권, 동북아시아경제권, 중화, 화교, 한민족...
[뉴스통신][뉴스통신사][뉴스통신 정부역할][뉴스통신 경쟁력강화]뉴스통신(뉴스통신사)의 성...
6자회담에 임하는 중국의 입장, 전략과 대안
[영유아교수방법론] 영아의 일과운영에 대해 서술하고 일과 운영 시 교사의 역할 중 가장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