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Asthma)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천식의 개념
Ⅲ. 천식 발작의 원인
1. 알레르기원
2. 운동
3. 공기 오염원
4. 직업 요인
5. 호흡기 감염
6. 코와 부비동문제
7. 약물과 식품첨가물
8. 위식도역류질환
9. 심리적 요인
Ⅳ. 병태생리
1. 외인성(알레르기성)천식
2. 내인성 천식
Ⅴ. 임상증상
Ⅵ. 종류
Ⅶ. 합병증
1. 천식지속상태
Ⅷ. 진단검사
1. 건강력, 신체검진
2.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을 포함한 폐 기능검사
3. 최대호기유속률(PEFR)
4. 흉부X-선
5. 동백혈가스분석이나 산소포화도 측정
6. 피부 알레르기 검사
7. 호산구와 IgE의 혈액수치 확인
8. 일산화질소 수치확인
Ⅸ. 협력관리
1. 경증 간혈형과 지속성 천식
2. 급성 천식반응
Ⅹ. 약물요법
1. 항염증 약물
2. 기관지 확장제
3. 약물치료와 관련된 환자교육
4. 비처방성 복합약
Ⅺ. 천식의 간호관리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 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본문내용

애, 성장부진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해 하루 걸러 사용, 경구용은 아침 식사와 함께 또는 우유와 공급, 고용량 사용시 상복보 불편감 관찰, 장기간 복용시 솔다공증 예방을 위해 비타민 D와 칼슘을 투여
merhylprednisolone
(Medrol,Solu-
Medrol)
PO, IV
prednisone
PO
부신기능부전을 예방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서서히 줄여서 끊음, 용량을 줄이는 동안 증상이 재발할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함
beclomethasone
(Vanceril,Beclovent, VancerilDS,Qvar, Qvar HFA
MDI,
비강분무
아구창, 목이쉼, 인두자극, 구강건조, 기침, 전신적 효과
급성 천식 발작 시 사용하지 않음, 구강 곰팡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후 구강을 헹구도록 함, MDI사용시 spacer를 이용하여 아구창 예방, 알레르기성 비염 시 비강 스프레이 사용
triamcinolone
(Azmacort)
MDI
상동
상동, spacer가 달린 기구 사용을 추천
flunisolide
(AeroBid, AeroBid-M
MDI
상동
AeroBid-M은 멘톨을함유
fluticasone
(Flovent HFA,
flovent Diskus)
MDI,
DPI
이스트 감염
beclomethasone과 동일
budesonide
(Pulmicort Turbuhaler, Pulmicort Respules
DPI, PO
상동
mometasone
(Asmanex Twisthaler)
DPI
상동
▶비만세포 안정제(mast cell stabilizers)
-비만세포의 염증 조절 인자에 의한 IgE의 배출 조절을 방해하며 호산구 같은 다른 염증
세포의 활동을 억제
약물
투여경로
부작용
비고
cromolyn(Intal)
Nebulizer,
MDI
목의자극, 비교적 부작용 적음,
기관지 경련
운동전에 천식 예바을 위해 사용, 정확한 흡입기 사용법을 교육, 인두 자극 예방 위해 흡입 후 물을 마시도록 격려함, 최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몇주가 소요됨
nedocromil(Tilade)
MDI
상동,불쾌한맛, 비염
상동
▶류코트리엔 조절제
-Leukotriene의 활동을 막거나 합성을 방해
-급성 천식발작시 기관지 경련완화에는 사용할수 없으며 예방 및 치료유지에 사용
▶IgE에 대한 단클론성 항체
-Omalizumab는 순환하는 IgE수치를 감소
-Omalizumab은 비만세포에 IgE가 붙는 것을 막아 화학적 매개체의 방출을 예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흡입으로 조절되지 않는 중등증에서 중증지속형, 알레르기성 천식에
사용
2. 기관지확장제
▶β2-adrenergic agonist
-급성 기관지 경련을 완화시키는 가장 효과적 약물, 천식의 급성악화시 사용
-albuterol, metaproterenol, bitolterol, pirbuterol
-몇분이내 약효가 시작, 4~8시간 동안 지속
-세기관지의 β2-adrenergic을 확장, 점액 섬모운동을 증가
-주의점: 협심증, 심장질환시 사용금지, 과용시 기과지 경련
-부작용: 진전, 불안, 빈맥, 심계항진, 오심
▶Methylxanthine
-β2-adrenergic agonist보다 지속적인 기관지 이완효과는 약하다
-주의점(Theophylline): 환자에의 독성증상관찰(오심, 구토, 발작, 불면증), 카페인 피함
-수면전에 사용하는 지속성 Theophyllinedms 야간 천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
-부작용: 오심, 두통, 불면증, 위장계 불편감, 빈맥, 부정맥, 발작
▶항콜린성 제제
-아세틸콜린은 기도 내 점액을 증가시키고 평활근을 수축시켜 기관지를 수축
-천식에 있어 이 약물은 β2-adrenergic agonist보다 효과가 적으며 다른 기관지 확장제와
병행하여 사용
-30분~1시간내 최고에 달하며 4~6시간 효과가 지속
3. 약물치료와 관련된 환자교육
-약물의 이름, 용량, 투여방법, 식사 시간과 관련된 투여시간, ADL을 포함하여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
-목적, 부작용, 부작용 발생시 대처방법, 약물 오남용의 결과, 약이 떨어지기 전에 처방받는
것을 교육
-정량식분무흡입기는 일주일에 두 번정도 뚜껑을 벗기고 따뜻한 물로 헹구어 준다
-환자에게 기구의 사용법과 관리를 정확하게 교육한다
-약물의 과용량 사용을 막도록 교육
. 천식의 간호관리
1. 간호사정
-촉진 요인을 확인하고 과거력을 사정
-주관적 자료(건강정보-과거력, 복용약물, 기능적 건강양상-건강인식/건강관리 양상, 활동/ 운동양상, 수면/휴식양상, 대처/스트레스내성 양상)
-객관적 자료(일반적 자료, 피부, 호흡기계, 심맥관계, 소견내용)
2. 간호진단
-기도개방유지불능
-지식부족
-불안
3.간호계획
-개인의 최상 PEER, FEV1수치의 80%유지
-하루동안 밤낮으로 최소의 증상을 경험
-허용가능한 활동수준유지
-천식 악화의 재발이 없고 천식발작의 발생률 감소
-관리에 참여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갖춤
4.간호수행
-건강증진
·유발요인과 자극요인을 알고 피하도록 교육한다
·천식을 악회시키는 약물(아스피린, NSAIDs)은 반드시 피한다
·상기도감염과 부비동염의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를 교육한다
·하루에 2~3L의 수분섭취량 권장
·좋은 영양상태와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
-급성기 중재
·환자의 호흡기계와 심맥관계를 사정
·심각한 천식발작에서 호흡기계부전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 의학적중재가 필요함을 교육
·환자의 호흡부담과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
·산소투여, 기관지 확장제 및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하는 것과 지속적인 환자관찰
-이행기와 가정간호
·천식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노력하여 조절이 가능함을 알아야 함
·다양한 약품에 대해 알고 자가관리 전략을 수립
·좋은영양상태유지, 환자의 내성을 고려한 신체운동을 병행
·가족구성원을 참여시켜 관찰과 도움을 협조한다
·개인적, 가족의 사회적, 직업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와 가족의 상담필요
5.간호평가
·환자가 천식의 유발요인을 설명하고 자극요인을 피하고 관리
·적절한 양을 선택해 약물을 복용
·기구의 적절한 사용법을 시범함
·건강관리자에게 조절되지 않는 증상을 알림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3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