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천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관지 천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관지 천식의 원인

Ⅱ. 기관지 천식의 병태생리/기전

Ⅲ. 기관지 천식의 증상
1. 천명
2. 기침과 객담
3. 호흡곤란

Ⅳ. 기관지 천식의 간호중재
1. 환자교육
2. 객관적 방법에 의한 폐기능 측정
3. 원인 알레르겐 및 악화 인자 회피
4. 면역요법
5. 약물요법

Ⅴ. 장기적 약물요법 지침: 단계적 요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1단계: 경증 간헐성 천식
경증 간헐성 천식 환자에서는 증상 조절을 위한 필요시 속효성 베타2 항진제를 사용하고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해야 한다. 속효성베타2 항진제의 사용횟수는 천식 조절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인데 매일 베타2 항진제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천식으로 밤에 깨는 경우에는 흡입 항염증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
2) 제2단계: 경증 지속성 천식
경증 지속성 천식 환자는 흡입용 항염증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다. 소아에서는 크로몰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테로이드제 보다는 효과가 낮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제 사용에 주저하는 경우에 처방한다.
3) 제3단계: 중등증 지속성 천식
천식이 저용량의 흡입용 스테로이드제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과거의 지침은 스테로이드 용량을 올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천식조절제의 개발에 따라 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올리는 대신 다른 조절제와 병합투여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저용량 스테로이드제와 병합투여가 가능한 약물로서 지속성 베타2 항진제, 저용량의 테오필린, 항 류코트리엔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2 항진제가 같이 들어있는 약제가 최근 개발되어 환자가 사용하는데 편리해져서 순응도가 향상되게 되었다.
4) 제4단계: 중증 지속성 천식
일부 환자에서는 고용량 스테로이드와 다른 천식 조절제를 병합투여해도 조절이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는 다른 기관지확장제를 시도해볼 수도 있고 기관지 확장제 분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천식발작이 자주 있는 경우, 베타2 항진제의 피하주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경구 스테로이드제로만 조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가능한 저용량의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해야 한다. 경구 스테로이드제는 부신피질의 억제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프레드니손 혹은 프레드니솔론을 하루 한번 투여하는 것이 좋다.
5) 투여용량 조절(Step-Up/Down)
일단 천식이 조절되면 치료약제의 용량을 줄이고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용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항염증 약제의 요구량은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꽃가루에 예민한 천식 환자인 경우에는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시기에는 스테로이드 용량을 높여서 증상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증상이 6개월 동안 전혀 없을 때는 흡입용 스테로이드 용량을 점차적으로 줄이고 이렇게 줄여 나가다 보면 일부 환자에서는 스테로이드를 완전히 끊을 수 있다.
6) 행동계획(action plan)
천식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천식을 자가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천식증상의 빈도, 속효성 β 항진제의 사용횟수, 최대 호기유속 등에 따라 치료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천식증상이 있거나 β 항진제 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 혹은 최대호기유속이 떨어지게 되면 환자 본인은 항염증 약제의 투여 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7) 기관지천식 환자의 기관 내 삽관과 기계적 환기
천식 발작 시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PaCO가 계속 증가하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과도한 호흡의 결과로 호흡근의 피로가 심한 경우가 환자의 의식에 손상이 오는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기관 내 삽관을 하고 기계적 환기를 시행해야 한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천식 및 알레르기 예방본부 http://www.wadpo.or.kr/
건강샘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103
-참고서적
한국기관지천식 치료지침, 2005, 군자출판사
박성규, 2006, 천식 알레르기 비상구, 효성
홍천수 역, 2005, 천식, 아카데미아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6.1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