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q.i.d.
6-12세 : 150-325mg t.i.d.~q.i.d.
[부작용] 발적, 소양감, 과민반응, 오심, 구토, 신 장애,
인후 부종, 과량 시 간독성, 혈소판 감소증
Carol
(Ibuprofen)
용량 및 횟수
20mg/ml , 3ml * 1 prn
약리 작용, 투여방법,
부작용
[약리] propionic acid계 NSAID
[투여방법]
신생아, 영아, 4세 이하의 유아 - 안전성 미확립
다음 1회 용량을 t.i.d.~q.i.d. 투여
(30kg이하에서 max.dose : 500 mg/day)
1~2세:50~100mg, 3~6세:100~150mg,
7~10세:150~200mg, 11~14세:200~250mg
[부작용]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보통, 소화불량, 설사, 졸음, 우울
비급여-Hokunalin patch
용량 및 횟수
0.5mg/patch , 1patch*1 prn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부작용
기관지 천식 및 급, 만성 기관지염 치료제
Remark : 하루 1개씩 등 또는 가슴에 붙여주세요.
4. 진단적 검사
(1) Hematology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WBC
4.0~10.0
× 10³/dl
8.89
RBC
M:4.2~6.3
F:4.0~5.4
× 10/dl
4.92
Hgb
M:13~17
F:12~16l
g/dl
11.8
Hct
M:39~52
F:37~48
%
34.3
MCV
M:80~94
F:81~99
fL
69.7
MCH
27~31
pg
24.1
MCHC
33~37
g/dL
34.5
RDW
10.1~15.8
%
13.5
PLT
150~400
× 10³/l
195
Pct
0.146~0.368
%
.163
MPV
7.2~11.1
fL
8.36
PDW
9~18
%
16.2
Neutro
40~74
%
44.0
Lympho
19~48
%
41.4
M0
2~10
%
13.1
EO
0~7
%
1.33
BA
0~2
%
1.62
(2) Blood Chemistry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Glucose
70 ~110
mg/dL
105
creatinine
0.5 ~1.4
mg/dL
0.4
BUN
8.0 ~ 20.2
mg/dL
8
Protein
6.5~8.2
g/dL
6.7
ACT
0 ~ 40
IU/L
40
ALT
0~40
IU/L
16
Albumin
3.5 ~ 5.1
g/dL
4.2
Bilirubin total(Adult)
1.2 이하
mg/dl
0.3
hs CRP
0.3 이하
mg/dl
0.05
(3) Electrolyte battery serum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CO2
24~31
mEq/L
17
sodium
135~145
mEq/L
135
pottassium
3.5~5.5
mEq/L
4.5
Chloride
98~110
mEq/L
103
5. 간호과정
#1. 상기 질환으로 인한 안위변화
#2. 입원과 관련된 환경적 변화
#3. 객담 생성과 관련된 기도 개방유지 불능 (가상 설정한 것임)
날짜
시간
간호내용
간호사명
06-04-28
3pm
admitted via ER.
imp: Acute Bronchiolitis
상기 pt는 URI Sx 있으면서 쌕쌕거리는 Sx 보여 local 경유, ER통해 Adm함.
【SD】: \"none\"
【OD】: v/s 100/65-128-40-36.5°c checked
#1: 상기 질환으로 인한 안위 변화
#2: 입원과 관련된 환경적 변화
P2: 1. 병동 orientation과 안전관리 교육함
2. v/s checked
3. 의사에게 notify함
4pm
【SD】: \"none\"
【OD】: BT 38.2°c check 되어 prn 에 의해 AAp-S
po- medi하여 관찰중임.
가래 섞인 기침 간간히 하여 nebulization 격려함.
MN
【OD】: BT 39.4°c checked
P2: 의사에게 notify 한 후 po, AAp-s Apply함
06-04-29
4Am
【SD】: \"none\"
【OD】: BT 37.0°c로 fever down 보임
6Am
【SD】: \"none\"
【OD】: fluid 유지하며, 간간히 기침 증상 보임.
밤 동안 dydpnea 및 보챔 없이 잘 잠.
P2: Fever 양상 관찰중임. nebulizer 격려함.
10Am
【SD】: \"none\"
【OD】: BT 37.8°c checked. 보챔 증상 없음.
진 단
#3. 객담 생성과 관련된 기도 개방유지 불능
#3
【SD】: 엄마, 목에 뭐가 낀 것 같아~답답해, 으앙~~
【OD】: 환아는 객담으로 인한 목의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음
계 획
목표: 환아의 분비물을 배출시켜 답답함을 감소시킨다.
간호지시
- 처방된 항생제 치료의 전 과정과 식사가 약물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포함 하는 투약지침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한다.
- 환자가 급성 기관지염의 초기 증상과 징후를 깨닫고 의학적 도움을 얻도 록 한다.
- 기도손상 때문에 기관지염 후에도 마른기침이 계속 될 것이라고 환자에 게 충고한다. 침대 옆에 가습기를 작동시키고 건조한 환경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중 재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
* 효과적인 기도 청결 유지
- 지시대로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 하도록 교육한다.
- 수분공급, 흉부물리요법, 기침을 통해 분비물 배출을 증진 시킨다.
- 기관지경련을 감소시키고 객담배출을 증진시키기 위해 흡 입용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 하도록 교육 한다.
- 분비물이 마르고 정체 되도록 하는 진해제, 항히스타민제, 울혈제거제 등을 의사처방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때 주의 를 요한다. 점액 용해성 guaifenesin을 포함한 기침약을 사 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평 가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
- 기침을 하여 효과적으로 분비물을 배출
《참고 문헌》
Sigma Theta Tau Lambda.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조결자 외.「아동간호학 上」. 현문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모스비 의학간호학대사전」. 도서출판 현문사(2004)
서울대학교 약제부 홈페이지 (http://pharm.snuh.org/formulary/index.htm)
6-12세 : 150-325mg t.i.d.~q.i.d.
[부작용] 발적, 소양감, 과민반응, 오심, 구토, 신 장애,
인후 부종, 과량 시 간독성, 혈소판 감소증
Carol
(Ibuprofen)
용량 및 횟수
20mg/ml , 3ml * 1 prn
약리 작용, 투여방법,
부작용
[약리] propionic acid계 NSAID
[투여방법]
신생아, 영아, 4세 이하의 유아 - 안전성 미확립
다음 1회 용량을 t.i.d.~q.i.d. 투여
(30kg이하에서 max.dose : 500 mg/day)
1~2세:50~100mg, 3~6세:100~150mg,
7~10세:150~200mg, 11~14세:200~250mg
[부작용]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보통, 소화불량, 설사, 졸음, 우울
비급여-Hokunalin patch
용량 및 횟수
0.5mg/patch , 1patch*1 prn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부작용
기관지 천식 및 급, 만성 기관지염 치료제
Remark : 하루 1개씩 등 또는 가슴에 붙여주세요.
4. 진단적 검사
(1) Hematology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WBC
4.0~10.0
× 10³/dl
8.89
RBC
M:4.2~6.3
F:4.0~5.4
× 10/dl
4.92
Hgb
M:13~17
F:12~16l
g/dl
11.8
Hct
M:39~52
F:37~48
%
34.3
MCV
M:80~94
F:81~99
fL
69.7
MCH
27~31
pg
24.1
MCHC
33~37
g/dL
34.5
RDW
10.1~15.8
%
13.5
PLT
150~400
× 10³/l
195
Pct
0.146~0.368
%
.163
MPV
7.2~11.1
fL
8.36
PDW
9~18
%
16.2
Neutro
40~74
%
44.0
Lympho
19~48
%
41.4
M0
2~10
%
13.1
EO
0~7
%
1.33
BA
0~2
%
1.62
(2) Blood Chemistry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Glucose
70 ~110
mg/dL
105
creatinine
0.5 ~1.4
mg/dL
0.4
BUN
8.0 ~ 20.2
mg/dL
8
Protein
6.5~8.2
g/dL
6.7
ACT
0 ~ 40
IU/L
40
ALT
0~40
IU/L
16
Albumin
3.5 ~ 5.1
g/dL
4.2
Bilirubin total(Adult)
1.2 이하
mg/dl
0.3
hs CRP
0.3 이하
mg/dl
0.05
(3) Electrolyte battery serum
항 목
정상범주
단위
2006-04-27
CO2
24~31
mEq/L
17
sodium
135~145
mEq/L
135
pottassium
3.5~5.5
mEq/L
4.5
Chloride
98~110
mEq/L
103
5. 간호과정
#1. 상기 질환으로 인한 안위변화
#2. 입원과 관련된 환경적 변화
#3. 객담 생성과 관련된 기도 개방유지 불능 (가상 설정한 것임)
날짜
시간
간호내용
간호사명
06-04-28
3pm
admitted via ER.
imp: Acute Bronchiolitis
상기 pt는 URI Sx 있으면서 쌕쌕거리는 Sx 보여 local 경유, ER통해 Adm함.
【SD】: \"none\"
【OD】: v/s 100/65-128-40-36.5°c checked
#1: 상기 질환으로 인한 안위 변화
#2: 입원과 관련된 환경적 변화
P2: 1. 병동 orientation과 안전관리 교육함
2. v/s checked
3. 의사에게 notify함
4pm
【SD】: \"none\"
【OD】: BT 38.2°c check 되어 prn 에 의해 AAp-S
po- medi하여 관찰중임.
가래 섞인 기침 간간히 하여 nebulization 격려함.
MN
【OD】: BT 39.4°c checked
P2: 의사에게 notify 한 후 po, AAp-s Apply함
06-04-29
4Am
【SD】: \"none\"
【OD】: BT 37.0°c로 fever down 보임
6Am
【SD】: \"none\"
【OD】: fluid 유지하며, 간간히 기침 증상 보임.
밤 동안 dydpnea 및 보챔 없이 잘 잠.
P2: Fever 양상 관찰중임. nebulizer 격려함.
10Am
【SD】: \"none\"
【OD】: BT 37.8°c checked. 보챔 증상 없음.
진 단
#3. 객담 생성과 관련된 기도 개방유지 불능
#3
【SD】: 엄마, 목에 뭐가 낀 것 같아~답답해, 으앙~~
【OD】: 환아는 객담으로 인한 목의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음
계 획
목표: 환아의 분비물을 배출시켜 답답함을 감소시킨다.
간호지시
- 처방된 항생제 치료의 전 과정과 식사가 약물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포함 하는 투약지침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한다.
- 환자가 급성 기관지염의 초기 증상과 징후를 깨닫고 의학적 도움을 얻도 록 한다.
- 기도손상 때문에 기관지염 후에도 마른기침이 계속 될 것이라고 환자에 게 충고한다. 침대 옆에 가습기를 작동시키고 건조한 환경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중 재
중재 날짜
중 재 내 용
-
* 효과적인 기도 청결 유지
- 지시대로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 하도록 교육한다.
- 수분공급, 흉부물리요법, 기침을 통해 분비물 배출을 증진 시킨다.
- 기관지경련을 감소시키고 객담배출을 증진시키기 위해 흡 입용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거나 자가 투여 하도록 교육 한다.
- 분비물이 마르고 정체 되도록 하는 진해제, 항히스타민제, 울혈제거제 등을 의사처방 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때 주의 를 요한다. 점액 용해성 guaifenesin을 포함한 기침약을 사 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평 가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
- 기침을 하여 효과적으로 분비물을 배출
《참고 문헌》
Sigma Theta Tau Lambda.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조결자 외.「아동간호학 上」. 현문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모스비 의학간호학대사전」. 도서출판 현문사(2004)
서울대학교 약제부 홈페이지 (http://pharm.snuh.org/formulary/index.ht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