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포골격>
1. 미세소관
2. 미세섬유
3. 중간필라멘트
4. 물질수송
5. 수동수송 : 에너지 사용하지 않음, 농도구배
6. 능동수송 : 에너지 이용, 농도에 역행해서 작용 “비가역적” , carrier 요구
7. endocytosis : 에너지 이용
8. 세포의 염색
9. 분화된 것 → 미분화상태 (캘러스: 분열을 계속하여 미분화세포 덩어리)
10. 효소
1. 미세소관
2. 미세섬유
3. 중간필라멘트
4. 물질수송
5. 수동수송 : 에너지 사용하지 않음, 농도구배
6. 능동수송 : 에너지 이용, 농도에 역행해서 작용 “비가역적” , carrier 요구
7. endocytosis : 에너지 이용
8. 세포의 염색
9. 분화된 것 → 미분화상태 (캘러스: 분열을 계속하여 미분화세포 덩어리)
10. 효소
본문내용
제에 부착해서 신경마비
malathion (살충제)
② 가역적 억제 : “약한 비공유결합” ex)수소결합
a) 경쟁적 억제자 : 효소의 활성자리에 억제가가 부착 -> 기질과 경쟁
ex) 숙신산 -> 푸마르산 ; 숙신산 탈수소 효소 ↔ 옥살로아세트산
페니실린 (transpeptidase와 경쟁), 아스피린(cyclooxygenase와 경쟁)
메탄올 중독시 에탄올을 투여하면 알콜 탈수소효소와 경쟁하여 배설시킴
b) 비경쟁적 억제자 : 효소의 활성자리 이외에 억제자가 부착해서 효소 활성자리의 모양을 변형 -> 기질과 결합을 억제
ex) 트레오닌 -> α-케토부티르산 ; 트레오닌 탈수소 효소 ↔ 이소류신
1/v
억제자
1/ V´max
1/ Vmax
1/v
억제자
1/ Vmax
-1/km -1/k´m 1/〔S〕 -1/km 1/〔S〕
< 경쟁적 저해 > < 비경쟁적 저해 >
Vmax 불변, km증가 Vmax ↓ , km 불변
기질의 농도를 높이면 Vmax에 도달 기질의 농도를 높여도 Vmax에 도달 못함
9) 효소의 활성 조절
(1) 유전적 조절기작
- 유전자에 의해 효소의 생성 여부 결정
(2) 효소 자체의 활성 조절기작
① 단백질 가수분해 (proteoly cleavage)
- proenzyme (zymogen) -> 활성상태 ex) 소화효소 : 펩시노겐 -> 펩신
② 가역적인 공유 결합의 형성 ; 인산화, 아세틸화 등,,,
ex) Na+-k+ pump : 인산기 붙여주면 pump의 모양이 변형되어 이온을 운반
cf) 인산화가 잘되는 잔기 :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OH기를 지님”
③ 조절단백질의 관여
ex) calmodulin, G-protein
④ 특이한 억제단백질이 결합하면 활성이 소실됨
ex) 항트롬빈Ⅲ에 헤파린이 부착하면 활성이 억제
⑤ 알로스테릭 조절 “가역적”
- 대사조절에 많이 사용 ; 주로 대사 첫단계에 관여
★ 되먹임 억제 (피드백저해) : 알로스테릭 조절 (피드백조절)
- 최종산물이 대사경로의 초기 촉매효소를 저해
* 양성되먹임 : 최종산물이 억제자로 작용
음성되먹임 : 최종산물이 활성자로 작용 “주로”
- 알로스테릭 효소
a) 여러개의 소단위로 구성된 효소 “4차 구조”
b) 활성부위 : 기질결합자리
알로스테릭 site : 조절물질 (활성자 or 억제자) 결합자리
c) 억제자 부착 : 반응억제
활성자 부착 : 반응촉진
- sigmoid 곡선 : 소단위체 간의 협동성 때문
malathion (살충제)
② 가역적 억제 : “약한 비공유결합” ex)수소결합
a) 경쟁적 억제자 : 효소의 활성자리에 억제가가 부착 -> 기질과 경쟁
ex) 숙신산 -> 푸마르산 ; 숙신산 탈수소 효소 ↔ 옥살로아세트산
페니실린 (transpeptidase와 경쟁), 아스피린(cyclooxygenase와 경쟁)
메탄올 중독시 에탄올을 투여하면 알콜 탈수소효소와 경쟁하여 배설시킴
b) 비경쟁적 억제자 : 효소의 활성자리 이외에 억제자가 부착해서 효소 활성자리의 모양을 변형 -> 기질과 결합을 억제
ex) 트레오닌 -> α-케토부티르산 ; 트레오닌 탈수소 효소 ↔ 이소류신
1/v
억제자
1/ V´max
1/ Vmax
1/v
억제자
1/ Vmax
-1/km -1/k´m 1/〔S〕 -1/km 1/〔S〕
< 경쟁적 저해 > < 비경쟁적 저해 >
Vmax 불변, km증가 Vmax ↓ , km 불변
기질의 농도를 높이면 Vmax에 도달 기질의 농도를 높여도 Vmax에 도달 못함
9) 효소의 활성 조절
(1) 유전적 조절기작
- 유전자에 의해 효소의 생성 여부 결정
(2) 효소 자체의 활성 조절기작
① 단백질 가수분해 (proteoly cleavage)
- proenzyme (zymogen) -> 활성상태 ex) 소화효소 : 펩시노겐 -> 펩신
② 가역적인 공유 결합의 형성 ; 인산화, 아세틸화 등,,,
ex) Na+-k+ pump : 인산기 붙여주면 pump의 모양이 변형되어 이온을 운반
cf) 인산화가 잘되는 잔기 :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OH기를 지님”
③ 조절단백질의 관여
ex) calmodulin, G-protein
④ 특이한 억제단백질이 결합하면 활성이 소실됨
ex) 항트롬빈Ⅲ에 헤파린이 부착하면 활성이 억제
⑤ 알로스테릭 조절 “가역적”
- 대사조절에 많이 사용 ; 주로 대사 첫단계에 관여
★ 되먹임 억제 (피드백저해) : 알로스테릭 조절 (피드백조절)
- 최종산물이 대사경로의 초기 촉매효소를 저해
* 양성되먹임 : 최종산물이 억제자로 작용
음성되먹임 : 최종산물이 활성자로 작용 “주로”
- 알로스테릭 효소
a) 여러개의 소단위로 구성된 효소 “4차 구조”
b) 활성부위 : 기질결합자리
알로스테릭 site : 조절물질 (활성자 or 억제자) 결합자리
c) 억제자 부착 : 반응억제
활성자 부착 : 반응촉진
- sigmoid 곡선 : 소단위체 간의 협동성 때문
추천자료
생명복제
염색체(chromosome)의 연구에 대한 자료
가타카 (영화로 철학 읽기)
줄기세포연구의 도덕적 윤리적 관점에서의 개인적 견해
영화 가타카 감상문
우리 나라 신약개발의 현황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형질전환동물 생산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GMO 약인가? 독인가?
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복제의 ...
나노 기술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차이점
생리학 - Exocrine, Endocrine, Ectocrine, Autocrine, Paracrine, Intracrine
간세포암종 케이스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