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시대, 새 목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새로운 시대, 이미지의 시대
현대의 목회 이미지 찾기(1) - 상처 입은 치유자(상처와 자비의 관계)
현대의 목회 이미지 찾기(2) - 종 된 지도자(섬김과 권위의 관계)
현대의 목회 이미지 찾기(3) - 정치적 신비가(정치와 신비의 관계)
현대의 목회 이미지 찾기(4) - 해방자들(다양한 문화들의 수용)
새 시대, 새 목회

본문내용

분야의 총체라기보다는 이론과 실천, 사고와 생활, 고전적인 신학적 분과의 응용적인 연구 분야들, 신학교와 지역교회 사이의 불행한 간격의 극복을 모색하려는 방식 안에서 신학과 교회와 세상을 상호 밀접하게 연관시키려는 시도이다” 도널드. E. 메서, 『새 시대 새 목회 - 현대의 목회상 탐구』, 236-237.
저자가 정의하는 실천신학의 범위는 필자가 개인적으로 알고 있던 범위보다 좀 더 확장된 개념이었다. 필자에게 실천신학은 그냥 목회적 프로그램에 치중된 한 분야로 이해했다. 그런데 저자는 분명히 말한다. ‘신학교와 지역교회 사이의 불행한 간격의 극복을 모색하려는 방식’을 추구한다. 그렇다! 단순히 지역교회를 향해 있는 것이 실천신학이 아니라, 그와 같은 실천신학을 통해 신학의 좀 더 넓은 확장과 새로운 통찰을 던져주는 것이 실천신학의 확장된 개념인 것이다.
현대의 목회자는 교파를 넘어서 새로운 실천을 바탕으로 한 삶의 현장과 그 현장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제시하는 신학의 현장을 함께 살아가야 한다. 그래야만 이론과 실천이 함께 이루어지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단계에 이르는 멋있는 목회자가 될 것이다.
새 시대, 새 목회
시대는 변한다. 그러나 그 시대만의 시대적 진리가 있고, 시대적 요청이 있다. 목회자는 그와 같은 시대적 진리와 요청을 빨리 이해하고 성서로 돌아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진리를 전하고 살아가는 사명(mission)을 부여받았다. 그렇기에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긴장관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저자는 이 긴장관계 안에서 5가지의 목회자 이미지를 잘 그려주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새 시대, 새 목회를 위한 새로운 목회자의 이미는 다섯 가지이다. 1)상처 입은 치유자, 2)종 된 지도자들, 3)정치적 신비가들, 4)해방자들, 5)실천신학자들이다. 그런데 필자는 이와 같은 저자의 다섯 가지 제안을 접하면서 한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했다. 바로, “통합, 조화”라는 것이다. 어느 것 하나 만을 택하는 입장이 아니라, 헤겔의 변증법처럼, 정반합의 새로운 조화를 추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화가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목회적 패러다임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아는 것은 많다. 어찌 보면 우리가 무엇인가를 모르기 때문에 그렇게 못사는 것은 아닐 것이다. 문제는 삶이다. 어떻게 해야 아는 것이 삶으로 내려올 수 있을까? 이 질문을 평생 숙제로 남겨둔 체, 본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01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