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과 능력, 태도, 지각, 귀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창의성과 능력, 태도, 지각, 귀인

Ⅰ. 능력과 창의성: IQ, 다중지능, 인지 스타일과 창의성

1. 창의성과 다중지능
2. 창의성과 인지 스타일

Ⅱ. 태도와 창의성: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Ⅲ. 지각과 창의성

Ⅳ. 귀인성향과 창의성

본문내용

함으로써 창의적인 인지역량(cognitive potential)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V. 귀인성향과 창의성
귀인의 의미는 대부분 부정적이다. 핑계이거나 구실, 또는 탓을 돌리는 심리적 속성이 크다. 물론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자신감이나 자긍심, 또는 자기만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 자성적 주술이라고도 함)처럼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창의성과 귀인과
의 관계에 있어서는 창의성을 촉진시키는 요인보다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귀인성향과 귀인의 결정 요인들에 대해 논의를 하려 한다. 이들 중 "원초적 편견"과 "자기편의적 편견(Self-Serving Bias)" 등이 창의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원초적 편견이란 다른 사람들의 그릇된 행동이 외부적 요인보다 이들의 성격 등 내부적 원천요인에서 비롯된다는 강한 신념 때문에 생기는 편견이다. 외부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전적으로 배제하는데서 비롯된다. 예컨대, 지하철이나 원자력 발전의 사고에 대해 시민이나 경영자들은 시스템이나 시설 미비 등 외부 환경요인들 보다 운영자들의 능력이나 실수 때문으로 탓을 돌리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정치인들의 부정과 부패가 이들의 근본적 부패성향에서 비롯된다는 편견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IQ가 높으면 창의성이 높을 것이라는 편견도 이에 속하며, 창의성에 대해 환경적 요인을 배제하고 천재들의 전유물로 간주하는 것도 같은 오류에 속한다고 하겠다.
자기편의적 편견은 성공은 내 덕분이고 실패는 남의 탓이라고 여기는 성향을 의미한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 실패가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의 부족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고 성공이 운이나 외부적 요인의 도움이라고여기는 경우도 있지만, 실패에 대해 자기를 합리화하거나 면죄부를 받기위해 남이나 외부 환경에 그 탓을 돌리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지닌 자연스런 성향으로 간주된다. 창의적인 사람들의 경우 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을 내부요인에 두는 성향이 더 강하다. 창의성 관리에서도 이러한 점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창의적 천재나 예술가,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오는 과정에서 이들의 업적에 대한 내재적 요인들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창의성이 외부적 환경요인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회 생태학적(Social-ecological)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 성과가 내부나 외부 요인에 편향된 귀인과정의 산물이 아니라 사람과 환경의 상호작용과정의 산물이라는 열린 귀인 의식과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Kelley의 귀인 이론에서 말하는 합의성(consensus)도 창의성의 본질과 다른 입장을 취한다. 창의성이 독창적이라는 속성 때문에 남들과 같아야 하는 합의 또는 일치에 얽매이는 귀인 성향은 창의성을 저해할 수도 있다. 창의성과 관련된 귀인성향 중 합의로부터의 일탈이나 특이성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일관성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를 획일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다. 예컨대, 창의적인 사람의 업적에 일관성이 없다면 창의적이라 평가를 받기 어려울 것이다.
결론적으로 개인 수준에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성격, 태도, 능력, 지각, 귀인 등 다수의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도 동료, 집단, 리더, 과업, 환경, 사회 등 거시적 외부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금까지 미시적 관점에서 개인의 행동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조명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다음 장부터는 창의성과 동기부여와의 관계로까지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1.0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1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