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이로고노미(色好み)’의 의미
2.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 825-880)
3.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를 통해 본 ‘이로고노미(色好み)’
결론
본론
1. ‘이로고노미(色好み)’의 의미
2.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 825-880)
3. 아리와라노 나리히라(在原業平)를 통해 본 ‘이로고노미(色好み)’
결론
본문내용
이상적인 남자인 나리히라의 이상적인 ‘이로고노미’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나리히라의 ‘이로고노미’는 후에 『겐지모노가타리』의 히카루겐지에 의해 정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로고노미’는 『이세모노가타리』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른 중고시대의 문학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정서이면서, 당시의 생활상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정서이다. 요즘과 같은 관점에서 보면 이해하기 힘든 정서이지만, 헤이안 시대의 문화와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알아두어야 하는 것이다. 처음 ‘이로고노미’를 접했을 때는 나도 얼굴을 찌푸렸지만, 정서나 미의식은 시대에 따라 다른 것이므로, 오늘날의 잣대로만 재서는 안 된다는 생각으로, 당시의 정서로서 이해하기로 했다.
<참고 문헌 및 웹문서>
양동국김유천 편저(2004), 『일본의 연애가』, J&C
고선윤(2001), 「『이세모노가타리』(伊勢物語)의「이로고노미」(色好み)-「이로고노미 」의 조건을 중심으로-」(『일본문화연구』제4집)
김성미(2002), 「伊勢物語について」(중앙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논문)
김태도(2001), 「『徒然草』에서의 <이로고노미(色好み)>에 관하여 -그 二重性과 統性을 中心으로-」(『일본문화학보』10권)
http://blog.naver.com/azansadad?Redirect=Log&logNo=7565267(2005.12.12)
http://maasa.cafe24.com/zak/kita/kaidan/kai_voc.htm(2005.12.12)
http://www.nuch.ac.kr/genji/5_bunka/51_10.htm(2005.12.12)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나리히라의 ‘이로고노미’는 후에 『겐지모노가타리』의 히카루겐지에 의해 정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로고노미’는 『이세모노가타리』뿐만 아니라, 나아가 다른 중고시대의 문학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정서이면서, 당시의 생활상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정서이다. 요즘과 같은 관점에서 보면 이해하기 힘든 정서이지만, 헤이안 시대의 문화와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알아두어야 하는 것이다. 처음 ‘이로고노미’를 접했을 때는 나도 얼굴을 찌푸렸지만, 정서나 미의식은 시대에 따라 다른 것이므로, 오늘날의 잣대로만 재서는 안 된다는 생각으로, 당시의 정서로서 이해하기로 했다.
<참고 문헌 및 웹문서>
양동국김유천 편저(2004), 『일본의 연애가』, J&C
고선윤(2001), 「『이세모노가타리』(伊勢物語)의「이로고노미」(色好み)-「이로고노미 」의 조건을 중심으로-」(『일본문화연구』제4집)
김성미(2002), 「伊勢物語について」(중앙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졸업논문)
김태도(2001), 「『徒然草』에서의 <이로고노미(色好み)>에 관하여 -그 二重性과 統性을 中心으로-」(『일본문화학보』10권)
http://blog.naver.com/azansadad?Redirect=Log&logNo=7565267(2005.12.12)
http://maasa.cafe24.com/zak/kita/kaidan/kai_voc.htm(2005.12.12)
http://www.nuch.ac.kr/genji/5_bunka/51_10.htm(2005.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