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삼국사기
1. 김부식의 사관
2. 삼국사기의 체제 및 내용
3. 삼국사기의 의의
Ⅱ.삼국유사
1. 일연의 사관
2. 삼국유사의 체제 및 내용
3. 삼국유사의 의의
Ⅲ. 두 역사서의 비교
1. 김부식의 사관
2. 삼국사기의 체제 및 내용
3. 삼국사기의 의의
Ⅱ.삼국유사
1. 일연의 사관
2. 삼국유사의 체제 및 내용
3. 삼국유사의 의의
Ⅲ. 두 역사서의 비교
본문내용
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면에 있어서는 삼국유사는 삼국부터 서술하고 있는 삼국사기와는 달리 단군조선을 국사의 시작을 파악하여 단군조선부터 서술하였으며, 삼국사기에는 존재하지 않은 가야국기를 따로 수록하여 가야사를 강조하였다.
허나 이 두 역사서는 삼국시대를 중점으로 서술하였으며 특히 신라를 중점으로 서술하였다. 이는 김부식은 신라계 사람이며, 일연은 경북·경남을 중점으로 돌아다니며 서술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또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대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의 역할을 한다는 데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신영식, 『한국사학사』, 삼영사, 1999.
박진태 외,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2002.
정구복, 『삼국사기의 현대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허나 이 두 역사서는 삼국시대를 중점으로 서술하였으며 특히 신라를 중점으로 서술하였다. 이는 김부식은 신라계 사람이며, 일연은 경북·경남을 중점으로 돌아다니며 서술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또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대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의 역할을 한다는 데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참고문헌
신영식, 『한국사학사』, 삼영사, 1999.
박진태 외,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2002.
정구복, 『삼국사기의 현대적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